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

        장성길(박사) ( Sung Gil J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4 No.-

        텍스트의 의미를 찾는 데 있어서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와 그 기능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본 논문은 히브리어 동사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유형의 동사들이 구약 성경 텍스트 상에서 무슨 기능을 하는지를 규명해 내는 데 있다. 히브리어 동사 체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본연구는 하나의 문법적 현상으로서 시제나 상의 관점보다는 양태 개념에 논의의 초점이 있다. 그러나 이 말은 필자가 시제나 상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 무엇보다 성경 히브리어의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기능을 밝히려면 양태 개념이 필수적이라는 말이다. 일찍이 일반 언어학계에서는 양태를 두 가지 서로 다른 범주(인식 양태와 의무 양태)로 구분하였다. 인식 양태는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아닌지 그리고 그 명제의 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시각과 가치 판단을 비쳐준다. 반면에 의무 양태는 지식이나 정보의 사실성보다는 행위자의 개인적인 동작 수행에 초점이 있다. 한편, 필자는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에 대한 우리의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언어분석 장치인 화행 이론을 도입하고자 한다. 화행이론은 언어철학자 오스틴(Austin)과 그의 제자 설(Searle)에 의해 체계화된 언어 철학 개념이다. 오스틴은 모든 발화는 본질적으로 수행적이라는 생각에서 언어 행위를 세 가지 범주(발화 행위, 발화수반 행위, 발화수단 행위)로 구분하였다. 화행 이론의 핵심 원리는 이것이다. 화자는 발화시에 명제 내용과 함께 화수력을 통하여 자신의 의도를 전달한다는 가설이다. 설에 의하면 각각의 발화 행위는 언어 사용에 있어서 주장, 약속, 지시, 표현, 또는 선언행위와 같은 화수점들을 갖고 있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필자가 화행 이론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발화수반행위이론이 양태성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서다. 이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서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은 언어의 문법적 현상인 양태와 화수력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성경 히브리어의 동사 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 기능이 양태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화자의 발화 의도와 텍스트의 기능을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a new system of textual analysis of yiqtol and weqatal in Biblical Hebrew verbal system(BHVS). What distinguishes it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intention is not on the grammatical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but that of modality. I am also agreed significance of tense and aspect in BHVS. However, the reason I have focused on modality is that modality is a key device to explain functions of yiqtol and weqatal in BHVS. In general linguistics, modality system can be illustrated by two different categories: deontic and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concerned with the speaker’s attitude to factual status of the proposition. By contrast, deontic modality relates to the speaker’s internal ability or personal activity. In this respect, recently some Biblical Hebrew linguists suggest that deontic modality is expressed by the verbal forms of yiqtol and weqatal. In order to set this study, however, another linguistic device is primarily necessary. That is speech act theory which focuses on the character of actions of performative utterances. Speech act theory has its roots in J.A. Austin’s and J. Searle’s philosophy of language. In speech act theory all utterances are performative in nature. According to Austin, there are three distinctive component acts: locutionary act,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In this category, a fundamental idea is that in utterances speaker makes his intention as propositional contents with a certain illocutionary force. According to Searle, individual utterances have primary illocutionary points of language use, such as assertive, commissive, directive, expressive, and declarative. So, my hypothesis is that these illocutionary acts are deeply connected with a grammatical concept of modality in Biblical Hebrew. As I mentioned above, the main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HVS is to describe the character of modality. On this basis, we can interpret the speaker’s intention and textual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iblical Hebrew.

      • KCI등재
      • KCI등재

        성경 히브리어 동사의 양태 특성 소고

        장성길(Sung-Gil Jang)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8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Biblical Hebrew verbal system that focuses on the value of modal concept. Until recently, some Hebraists insisted that the verbal system of classical Hebrew is tense-prominent, but scholars at the opposing end disputed the theory, and insisted it as aspect-prominent. In this context, some scholars suggest a new syntac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in the light of common understanding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 demonstrate that the value of modality is absolutely indispensible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verbal conjugations of Biblical Hebrew: qatal, yiqtol, wayyiqtol, weqatal and weyiqtol. As far as the verbal system is concerned, it is true that verbal forms could carry the value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But as Joosten, Hatav, Warren, and Andrason insist, epistemic and deontic modality gives various new perspectives to solve complex issues of the yiqtol and waw-consecutive weqatal forms. I propose that deontic and epistemic modality contributes to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meaning of yiqtol and weqatal.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qatal form, Hebraists generally advocate that the qatal expresses the meaning of indicative past and also the value of resultative construction, but sometimes the qatal conceptually could be shown to be modal, involving the remaining dominant sense of propositional/evidential modality. In this respect, I propose that the modal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mantic and pragmatic categories of Biblical Hebrew verbal system.

      • KCI등재후보

        미가서의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장성길(Jang, Sung Gil) 한국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20 No.-

        본 논문은 미가서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피는데 있다. 미가서는 소 선지서의 한권으로 주전 8세기 고대 근동의 복잡한 세계사적 정황 속에서 선포된 하나님의 말씀이다. 미가서의 연구사를 살펴보면, 1860년대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미가서 연구의 주된 이슈는 전승과 편집 그리고 자료의 진정성에 있었다. 그 근본 원인은 다른 선지서들과 마찬가지로 미가서 역시 심판 신탁과 구원의 선포가 넓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텍스트의 구성과 관련하여 메이즈와 핵스트롬은 미기서 본문을 두 단락으로 나는다. 한편 윌리스, 루돌프, 알렌, 심언손과 왈키는 1-2장, 3-5장, 6-7장으로 구분하는 반면, 앤더슨과 프리드만은 1-3장, 4-5장, 6-7장으로 본문을 나누고 있다. 한편 80년대 이후 하나의 흐름으로써 맥케인, 슈타데, 볼프, 봐게나르는 편집 비평에 기초하여 미가서 구성의 키를 규명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역사 비평적 방법론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메시지의 통일성(coherence)을 찾는 새로운 연구가 시도되었다. 한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수사 비평적 관점에서 본문의 주제적이고, 문예적인 특성들을 살펴봄으로 예언적 스피치의 기능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또 다른 한편 언어학적 분석 방법론에 기초하여 텍스트의 결속성을 찾는 연구가 핵스트롬과 제이콥스를 통해서 시도되었다. 미가서 본문 속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나 주제들의 기능, 그리고 텍스트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불변사나 부사들의 사용, 그리고 중심 개념들의 논리적 연관성을 파악함으로 텍스트를 구성하는 개념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문 중심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담론 상에서 다양한 주제들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전에 풀지 못했던 텍스트의 구성의 난제와 화자의 의도에 대한 제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recent study of the book of Micah in the Old Testament prophetic books. From the 1860s until the mid-1970s, the main issue of the study of Micah was the composition, dating and authorship. Stade and Ewald propose a hypothesis that Micah 4.1-5.14 and 6.1-7.6 was not based on the historical setting of eighth-century BC. Over the past century, however, many scholars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most difficult passages in the book of Micah was Micah 2:12, 13; 4: 1-5; 7:8-20. However, after the 1990s, some scholars (i.e. Shaw, Hagstrom, Jacobs, Waltke) have applied newly rhetorical criticism and discourse analysis of discerning textual meaning and coherence of the complicated passages. The result of the new approaches, which are based on the linguistic devices such as metaphor, discourse markers, lexical cohesion, and conceptual coherence show that the overall structure and textual meaning can be interpreted as a coherent unit.

      • KCI등재

        예레미야서의 담론 속에서 히브리어 명사 체다카와 미쉬파트 그리고 토라와 후카의 의미

        장성길 ( Jang Sung Gi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본 연구는 예레미야서에 나타난 의(체다카)와 공의(미쉬파트)를 주제로 삼고 있다. 선지서에 나타나는 의와 공의의 개념을 이해하려면 그 근간이 되는 신명기서를 살펴야 한다. 필자의 견해로는 체다카와 미쉬파트는 그것을 포괄하는 더 큰 범주라 할 수 있는 토라의 개념에 포함된다. 한편, 예레미야 본문 속에 법, 규정 또는 규례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어휘들(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 호크)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들 간의 상호 연관성과 본문 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가를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 [표 1]에서 확인하게 되는 바, 체다카는 상대적으로 그 빈도수가 적고 미쉬파트가 많이 쓰였다. 한편, 체다카와 미쉬파트가 하나의 병행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총 5번 사용되었으며 화자가 미쉬파트를 말한 이유는 하나님께만 감추어진 신적 속성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서 이 땅 위에 실현되어야 할 하나님의 통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미쉬파트가 단독으로 쓰인 경우, 9회를 제외한 나머지 용례들에서는 하나님의 징계나 심판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하나님의 통치를 뜻하는 말로 쓰이거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에도 쓰고 있다. 한편, 나머지 9번의 경우에는 쉬쿠츠와 토에바에 마음을 두지 말고 돌이켜 미쉬파트의 삶을 살 것을 촉구하는 내용에 쓰였다. 성전 설교를 통해서 예레미야는 유다 백성들을 향해 길과 행위를 바르게 하라고 촉구한다. 여기서 길과 행위는 미쉬파트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한편, 30:11에서처럼 하나님의 징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 토라와 후카의 용례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책에서 토라를 언급한 목적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유다 백성들이 토라를 따라 삶을 걷지 않았음을 질책하기 위함이었다. 예외적으로 31:33의 경우 나의 토라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하나님께서 미래에 회복의 때에 나의 토라를 그들 속에 둘 것이라고 약속하는 본문이다. 넷째, 후카와 호크는 용례는 많지는 않지만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인 것이 특징이다. 후카와 토라가 병행구로 쓰인 경우도 있으나 후카와 호크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천체의 운행 질서나 열방의 관습 또는 법적 규례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정리하면, 예레미야서에서 체다카와 미쉬파트의 의미는 토라와 호크 및 토에바와 쉬쿠츠의 의미론적 어휘결속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은 그의 백성들이 가증한 것들(토에바와 쉬쿠츠)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하나님의 법(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호크)를 따라 의와 공의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me of the Biblical Hebrew words sedaqa and mispat in the book of Jeremiah. To understand the notion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prophets, we have to look at the book of Deuteronomy, which is the basis for our understanding. In my view, sedaqa and mispat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ora, which is a larger category. In the book of Jeremiah, there are various terms to describe the meaning of law and statutes, such as, tora, sedaqa, mispat, huqa and hoq.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terms and what they mean in the text. 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frequency of sedaqa is relatively low rather them the term mispat. In the case where sedaqa and mispat are used in a parallel structure which is a rhetorical device of hendiadys, in total five times. The reason the speaker uses the term mispat is not to reveal the divine attributes hidden only by God but to show through the people of God. It is the principle of God's sovereign rule, which is realized in the world. When mispat is used alone, the image of God's punishment and judgment is prominent in other examples except its nine occurrences. It is first used (1) to mean the reign of God, or (2) to the problems that arise between the person and person. Second, in the cases of the remaining nine occurrences, mispat is used to urge the people of Judah not to set their minds on siquts and toeba but to repent and live a life of mispat. Through the prophetic temple sermon, the prophet Jeremiah urges the people of Judah to correct their ways and actions. My focus is that the way and ac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rm mispat. Third, the usages of tora and huqa also means a lot. In the book of Jeremiah, the prophet uses the term tora for the purpose of reproaching that the lives of the people of Judah did not walk along the tor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xceptionally, the term ‘my tora’ in Jer 31:33 means the law of God. Fourth, the usages of huqa and hoq are characterized by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ough not many examples are used. There is a case that the huqa and hoq are used as a parallel structure, but they are mainly used to refer to the order of operations of the celestial bodies that humans can not control, the customs of the nations, or legal regulations. In summary, the meaning of sedaqa and mispat in Jeremiah is revealed through the lexical semantic cohesion of tora, hoq, siquts and toeba. God's will is that the people of God do not lose their hearts to abominations (siquts and to eba), but live in the life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according to the law of Go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