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e „Zeitschrift für Geopolitik“ zwischen 1933 und 1944: Vom eurasischen Kontinentalblock zum Zweiten Weltkrieg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본 논문은 나치 독일 당시(1933-1944) 발행된 “Journal of Geopolitics”(Zeitschrift für Geopolitik)에 실린 “유라시아(Eurasia)”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의 초점은 히틀러의 참모이자 학자이기도 했던 카를 하우쇼퍼(Karl Haushofer)와 그의 동료들이 나치 독일과 소련의 협력 및 동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역할에 대해 논한 내용에 맞춰져 있다. Journal of Geopolitics는 전반적으로 1930년대 세계 세력 관계에 대해 현실주의적 시각을 나타내면서 나치 독일과 미국, 소련 간 전쟁에 대해 독자들에게 명확한 경고를 한다. 본 논문은 이와 더불어 할포드 맥킨더(Halford J. Mackinder), 니콜라스 스파이크만(Nicholas J. Spykman)과 같은 영미 학자들과 하우쇼퍼의 지정학적 견해의 유사성도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세계 정치에서 유라시아의 역할, 특히 유라시아 해안지역(림랜드, Rimland)에 대한 역사적 논쟁은 21세기 지정학적 사상 발전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nt of the “Journal of Geopolitics” (Zeitschrift für Geopolitik) regarding the theme of “Eurasia” as published during the Nazi period and until the closure of the journal (1933-1944).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ideas originating with Karl Haushofer and his fellow authors on cooperation between Nazi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and on the role of Japan in East Asia. Overall, the journal put forward a realistic view of the global relationship of forces during the 1930s and clearly warned readers against war between Nazi Germany and the USA and/or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similarities between the geopolitical ideas of Haushofer and Anglo-American authors, such as Halford J. Mackinder and Nicholas J. Spykman, are examined.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historical debates concerning Eurasia’s role in world politics and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urasia’s coastal areas (rimland) might still offer usefu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geopolitical thought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Die „Zeitschrift für Geopolitik“ zwischen 1951 und 1968 : Korea-, Vietnam- und Kalter Krieg aus deutscher und eurasischer Sicht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17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7 No.4

        본 논문은 지정학논총(Zeitschrift für Geopolitik)의 세 번째 출판시기를 연구한 것이다. 1951년부터 서독에서 출간된 이 시기의 잡지 편집자는 1951년부터 1955년까지 칼 하인츠 페퍼(Karl Heinz Pfeffer)였고,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롤프 힌더(Rolf Hinder)였다. 물론 이 잡지는 이미 바이마르공화국과 나치독일에서 출간된 바 있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편집자이자 사회학 박사인 페퍼박사와 힌더박사에 대해 짧게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고전적인 지정학자인 알프레드 T. 마한(Alfred T. Mahan), 핼포드 J. 맥킨더(Halford J. Mackinder), 지정학논총의 창간시기인 1924년에서 1944년까지의 편집자 인 칼 하우스호퍼(Karl Haushofer)와 니콜라스 J. 스파이크맨(Nicholas J. Spykman) 의 4명의 사상가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들의 냉전에 대한 때로는 모순적인 생각들이 어떻게 이용 되었는지 보여줄 것이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서독의 “내셔널 중립주의”의 발전시도를 다루고, 이어서 부분적으로 냉전 중의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의 경험에 반응하여 형성된 권력비판적이고 평화적인 입장에 대한 지정학논총의 관심을 다룬다. 결론 부분에서는 한편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블록 아이디어의 의미와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 러시아와 중국 사이의 현재진행중인 갈등 속에서 글로벌한 헤게모니 요구 (고전적인 지정학의 사고형태)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hird publishing period of the ‘Journal of Geopolitics’ (Zeitschrift für Geopolitik) following its re-founding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under the editorship of sociologists Karl Heinz Pfeffer (1951 to 1956) and Rolf Hinder (1956 to 1968). The monthly journal had already been published in two earlier periods, namely in Weimar Republic Germany and under the Nazi regime (1924-1944). The first section provides some biographical background on the two editors Pfeffer and Hinder. The second part discusses four classical geopolitical thinkers, namely Alfred T. Mahan, Halford J. Mackinder, Karl Haushofer (the founding editor of the Journal of Geopolitics in charge of the publication between 1924 and 1944), and Nicholas J. Spykman. This section further examines how their often rather contradictory geopolitical ideas were applied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third and fourth parts deal with efforts to develop a West German ‘national neutralism’ during the Cold War, examining shifts in the journal’s political line away from power politics and in favor of pacifism, which was at least partially motivated by the experience of the wars in Korea and Vietnam. The conclusion highlights the ongoing relevance of ideas of a Eurasian continental bloc, on the one hand, and of demands for global hegemony on the other – major themes of classical geopolitical thinking – in contemporary conflicts between the USA, Russia, and China.

      • KCI등재

        Germany’s Corona Crisis : The Authoritarian Turn in Public Policy and the Rise of the Biosecurity State (2020-2022)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2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2 No.1

        이 논문은 2020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의 독일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위기대응정책에 대해 연구한다. 이 시기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 위기대응정책의 모든 단계는 증가하는 권위주의와 불확실하고 결함 있는 커뮤니케이션으로 특징지어진다. 전 기간에 걸쳐, 정책은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기관들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있는 폐쇄적인 자문 그룹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른 전문가들은 토론과 의사 결정에서 제외되었다. 정치는 거의 전적으로 mRNA 백신 캠페인의 빠른 실행에만 초점이 맞추어 졌다. 즉, 위기가 제약회사의 개입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되었다. 이 전략은 새로운 형태의 권위주의 국가성, 즉 '바이오안전 국가 (biosecurity state)’의 도입을 의미한다. 제2장부터 4장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 위기 발생 이후 독일 정부 정책에서의 행위자, 이념 및 조직의 영향에 관해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서 독일의 투명하지 않은 폐쇄적인 정치과정이 자유 민주주의의 규범과 가치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Corona crisis policies in Germany between January 2020 and March 2022. During this period, Corona crisis management can be analytically disaggregated into four different time periods. Each stage of policy-making included steadily growing authoritarianism combined with unclear objectives and erratic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policy-making was driven by a closed community of advisors linked to government-financed research institutes, while other groups of experts were excluded from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The almost single-minded emphasis on the rapid rollout of mRNA ‘vaccines’, i.e. efforts to ‘solve’ the crisis by way of pharmaceutical intervention, results currently in the imposition of a new form of authoritarian statehood, namely a ‘biosecurity state’. The three substantial chapters in this paper (II-IV) will discuss, in turn, how actors, ideas, and institutions affected German government policies since the start of the Corona crisis. It is argued that Germany’s closed style of policy-making under crisis conditions severely undermines the norms and values of liberal democracy.

      • KCI등재

        Explaining the Crisis and Electoral Decline of the German Social Democratic Party (SPD) in the Era of Welfare State Retrenchment: 2002-2012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1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2 No.4

        본 논문에서는 2002년 이후 하르츠(Hartz) 개혁 당시 독일 복지국가 축소에 있어서 독일사회민주당(SPD)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실과 SPD 지지자의 급격한 감소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SPD의 최근 정치사를 검토해봄으로써 게르하르트 슈뢰더(Gerhard Schröder) 정부가 SPD의 핵심 지지자들을 이탈하게 만든 복지삭감정책을 어떻게 발전시켰는지를 설명한다. 결론에서는 복지삭감정책이 선거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기 위한 SPD의 능력에 대하여 어떻게 새로운 구조적 장애물을 만들어내는지 설명하기 위하여 정당 사회학자인 오토 키르크하이머(Otto Kirchheimer)의 포괄정당론(catch-all party theory)에 대하여 언급한다.

      • KCI등재

        Germany’s Post-Reunification Effort to Achieve National Reconciliation: Muddling Through,Routinization, and Policy Failure

        Jörg Michael Dostal 통일연구원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28 No.2

        This article reexamines the track record of German unification after three decades. The focus is placed on economic issues, while cultural, social, and geopolitical dimensions are dealt with more briefly. Following the introduction, Section II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of Germany’s national division and the East German political events in late 1989 and early 1990 that produced the unification of the two Germanies on 3 October 1990. Sections III to V subsequently discuss the major political and economic events during the Kohl, Schröder, and Merkel Chancellorships, respectively. Section III focuses on the high political and social costs of the initial economic disruption in the East due to the near single-minded focus on the rapid privatization of the former GDR enterprises. In Section IV, the negative feedback of the economic shock is discussed, namely high unemployment, the fiscal crisis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demographic collapse in the East. Section V sketches how the Great Recession of 2007-2008, the subsequent Euro currency, and the southern EU states’ debt crises collectively crowded out the topic of intra-German reconciliation. The emerging overall picture advanced in Section VI is that a combination of muddling through, routinization (here also termed as “reconciliation by accident”), and policy failure most adequately describes the outcome of Germany ’s unification experience. Finally, Section VII puts forward some policy suggestions for Korean audiences deriving from the German case. It is argued that the geopolitical situation of the two Koreas is fundamentally different. Thus, South Korea ’s main focus must be placed on patient inter-Korean engagement, focusing on conflict prevention while also engaging with all relevant external stakeholders.

      • KCI등재

        Germany’s Corona Crisis: The State of Emergency and Policy (Mis)learning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2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의 독일의 코로나 위기관리정책을 분 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이론적인 전망을 제시하였다. 첫째, “위기상황”의 국 가의 개입과 자유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그 영향력에 관한 것으로서, 공론장이 폐쇄되고 탑다운 방식의 행정명령적인 정치로의 대체를 꼽을 수 있다. 둘째, 위기환경에서 정치적 인 학습의 다양한 형태를 다루었다. 정치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 장이 폐쇄되었기 때문에, 독일 정부 위기관리는 효율적인 정책 실행에는 실패했다는 점이 요지이다. 이로 써 위기는 비효율성과 연결된 권위주의와 결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슬로우’에 대한 다양한 분석틀이 소개되고 평가된다. This article analyzes Germany’s policy-making in response to the Corona crisis between January 2020 and March 2021.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are advanced. The first concerns how the government’s imposition of a ‘state of emergency’ affects liberal democratic policy-making resulting in the closure of deliberation in favor of top-down imposition. The second perspective looks at different types of policy learning under crisis conditions. The central thesis is that Germany’s emergency regime failed to facilitate effective policy-making since it closed down venues in which policy learning could occur. Thus, the state of emergency combined authoritarianism and inefficiency. A variety of explanations are advanced to clarify causes for the sluggishness of the German fede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to meet Corona-related challenges.

      • KCI등재

        Die Bundestagswahl 2013 : Demokratische Beteiligungslücke und Dauerkrise der SPD

        Jörg Michael Dostal 한독사회과학회 201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3 No.4

        2013년 독일연방선거에서 기민당/기사당(CDU/CSU)의 옛 연정파트너였던 자유민주당(FDP)의 패배에 힘입어 기민당/기사당(CDU/CSU)이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정당시스템은 두 가지 측면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투표참여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서, 전통적인 양대 국민정당 (기민당/기사당(CDU/CSU), 사민당(SPD)) 지지층의 정당에 대한 결속력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대 국민정당들은 와해의 국면에 처해있다. 둘째, 비대칭적인 위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민당/기사당(CDU/CSU)은 그나마 비교적 완만한 속도로 지지율을 잃고 있는 반면, 사민당(SPD)의 정당지지율은 급속히 감소하고 있으며, 당원 또한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에는 옛 동독지역과 서독지역간의 사회적 양극화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일반시민계층 지지자들의 투표권 행사 비율은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여러가지 다른 원인들과 함께 사회적 소외계층들의 투표참여가 줄어들고 있는 사회적 양극화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의 일반시민계층에 기반을 둔 정당들과 비교하여 사민당(SPD)과 좌파당(Die Linke)은 사회적 약자들의 지지 기반이 더 절실한 실정임에도, 민주적 참여공백이 나타나고 있어 특히 사민당(SPD)과 옛 동독지역의 좌파당(Die Linke)이 영향을 받고 있다.

      • KCI등재

        Marine Algae and Early Explorations in the Upper North Pacific and Bering Sea [Review]

        Michael J. Wynne 한국조류학회I 2009 ALGAE Vol.24 No.1

        A synthesis of early exploration and the discovery of marine algae in the upper North Pacific and Bering Sea is presented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730s to around 1900.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these early efforts to gather natural objects, including seaweeds, and names of these algae are enumerated. The first collections of marine algae in this broad region were those made by Steller and Krasheninnkov from the Kamchatka Peninsula, Russia, during the Second Kamchatkan Expedition (1735-1742) and were described by Gmelin (1768). The first known algal collections in Alaska were those made by Merck in his 1790-1791 visits to Unalaska Island during the Billings expedition (1785-1794). British-sponsored expeditions for commercial purposes and for exploration and discovery allowed surgeon-naturalist Archibald Menzies to gather seaweeds that Dawson Turner and others worked up back in Europe. Several of the Russian expedition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had naturalists aboard. The first Russian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1803-1806), with the ships ‘Nadeshda’ and ‘Neva,’ under the command of Capt. Adam von Krusenstern had naturalists Langsdorff, Tilesius, and Horner, all of whom collected seaweeds. The naturalist Adelbert Chamisso accompanied the Romanzof Expedition (1815-1818) on the Russian vessel ‘Rurik’ under the command of Otto von Kotzebue and made collections of algae in the Aleutians as well as in the Kurils and Kamchatka. The Lütke expedition of 1826-1829 consisted of two ships. Feodor Lütke was in command of the ‘Seniavin’ with K.H. Mertens aboard as physician-naturalist, and the ‘Moller’ was under the command of Staniukovich accompanied by the naturalist G. Kastalsky. The first American-sponsored scientific expedition (1838- 1842) was that commanded by Charles Wilkes, and the algae that were collected were worked up by J.W. Bailey and W.H. Harvey. The Russian naturalist Ilya Voznesenskii spent the period 1839-1849 in Russian America (Alaska and northern California) energetically traveling and making numerous collections of natural objects as well as ethnographic artefacts. His algae were described by F.J. Ruprecht back in St. Petersburg. The Swedish scientific vessel, the ‘Vega’ (1878-1880), was under the command of Nordenskiöld. The naturalist F.R. Kjellman made algal collections from Port Clarence, Alaska, as well as from Bering Island and St. Lawrence Island in the Bering Sea. The Harriman Alaskan Expedition in the summer of 1899, with the ship ‘George W. Elder,’ was sponsored by railroad magnate E. H. Harriman of New York City and had several scientific personnel aboard, including the phycologist De Alton Saunders. Algae were collected in Alaska and Washington. During the same summer of 1899 a scientific expedition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d including W.L. Jepson, L.E. Hunt, A.A. Lawson, and W.A. Setchell as participants also visited Alaska and made collections of algae from various loc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