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저임금 인상에 관한 언론 보도 프레임 연구 : 중앙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김기환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최저임금 인상 이슈를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우리 사회에서 보수와 진보 진영을 가르는 하나의 잣대로 작용하고 있다. 보수 진영은 한국 경제가 감내할 수준 이상의 최저임금 인상이 경제에 부담을 준다고 주장한다. 인건비 증가에 따른 기업 부담, 일자리 감소, 경제 성장률 둔화 등 부작용을 근거로 든다. 진보 진영은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주장하며 대한민국이 대표적인 ‘저임금 장시간’ 노동 국가란 점을 근거로 든다.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진 서민 복지 수준을 끌어올리려면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런 논의에 불을 붙였다. 2017년 7월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서 2018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을 전년(6470원)보다 1060원 인상한 7530원으로 의결한 것이다. 1988년 최저임금제를 도입한 뒤 가장 높은 인상액인데다 인상률도 2001년 이후 최대라 언론도 보도를 집중했다.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이슈일수록 대중이 정확하고 균형잡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언론의 역할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 인상을 결정한 2017년 7월부터 인상된 최저임금이 처음 적용된 2018년 1월을 분석 기간으로 삼아 각각 대표적 보수ㆍ진보 매체인 중앙일보와 한겨레신문의 최저임금 인상 관련 보도량과 시기별 차이, 취재원, 보도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보도량에 있어서는 한겨레신문이 중앙일보보다 14건 많았다. 진보 매체가 보수 매체보다 최저임금 인상 이슈를 적극적으로 다뤘음을 알 수 있다. 기사 유형에 따른 보도량은 신문사를 막론하고 해설ㆍ분석 기사가 36.8%로 가장 많았다. 다만 중앙일보는 논조를 좀 더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사설과 칼럼ㆍ기고 보도량이 한겨레신문보다 많았고, 한겨레신문은 강렬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사진 기사를 4.9% 보도해 사진 기사를 전혀 내지 않은 중앙일보와 대비됐다. 시기별로는 두 신문사 모두 2017년 7월과 2018년 1월에 보도가 집중되고 나머지 기간에는 저조해 비슷한 추이를 나타냈다. 기사에 등장한 취재원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보가 더 적은 기사에서 더 많은 취재원을 활용해 기사당 더 많은 취재원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중앙일보가 최저임금 인상의 부작용을 주장하는 전문가(29%)를 취재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반면, 한겨레신문은 최저임금 인상을 안착시키려는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는 입장의 정부 관계자(26.2%)를 가장 많이 활용했다. 보도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보는 최저임금 인상의 경제적 부작용을 강조하는 경제적 영향 프레임(37.3%)이 가장 많았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최저임금 인상을 위해 노력하는 정부의 모습을 강조한 노력하는 정부 프레임(39.2%)이 가장 많았다. 신문사별로 가장 적게 활용한 프레임을 보더라도 중앙일보는 기업, 언론, 정치인 등이 최저임금 인상에 비협조적인 것을 지적하는 비협조 프레임이 한 건도 없었다. 한겨레신문은 비협조 프레임이 17.6%였던 반면, 최저임금 인상을 정부의 ‘퍼주기식 복지’라고 지적하는 복지 포퓰리즘 프레임이나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정 집행을 지적한 권위주의 프레임이 한 건도 없었다. 복지 포퓰리즘(7.2%)이나 권위주의(10.5%)는 중앙일보가 다수 활용한 보도 프레임인 것과 대비된다. 중앙일보가 주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했다면, 한겨레신문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긍정적 효과나 정부의 노력을 강조했다. 이는 두 신문사의 보도 시각에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 준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찬반이 극명하게 갈리는 최저임금 인상이란 이슈를 중앙일보와 한겨레신문이라는 보수ㆍ진보 매체가 활용한 보도 프레임에 비추어 살펴보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전개한 논의가 향후 언론이 최저임금 인상 이슈를 보다 생산적인 논의로 보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중앙지와 지방지의 통신사 의존도 비교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인일보, 중부일보, 국제신문을 중심으로

        박민경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최근 종이신문은 뉴미디어 매체와의 경쟁,독자 취향의 변화,광고시장의 세분화 등으로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다. 종이신문의 전반적인 위기 가운데서도 가장 심한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은 지방지이다. 한국방송광고공사의 2006 소비자행태보고에 실린 선호신문유형을 살펴보면 종합일간지가 2005년 57.7% 에서 2006년 63.7% 로 상승세를 기록한데 비해 지방지는 5.7% 에서 4.2% 로 내려앉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지와 지방지의 통신사 의존도를 알아봄으로써 지방지의 지면의 질 개선을 촉구해 지방지가 위기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앙지와 지방지의 통신사 기사 의존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중앙지와 지방지의 통신사별 기사 의존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문제 3 중앙지와 지방지의 분야별 통신사 기사 의존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문제 4 중앙지와 지방지의 통신사 사진 의존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지 중에서 조선일보,중앙일보,지방지 가운데 경인일보,중부일보,국제신문에 2007년 9월 1일부터 2007년 9월 7일까지 게재된 모든 기사와 사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지방지의 통신사 사진 의존도가 중앙지의 통신사 기사 의존도 보다 높았으며,중앙지와 지방지 모두 연합뉴스에 대한 기사 의존도가 뉴시스,외국 통신사 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지는 중앙지에 비하여 통신사 의존 기사의 분야가 광범위하였고,통신사 사진 의존도는 중앙지와 지방지 간에 뚜렷한 차이점이 없었다. 이 같은 결론은 지방지가 자체 기사 발굴을 위한 노력을 통하여 통신사 의존도를 낮춰 자기만의 정체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중앙지와 지방지가 기사의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해서 연합뉴스 외의 통신사의 기사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고 있다. 또한 지방지는 자체 기사 발굴 노력을 전 기사 분야에 걸쳐서 실시하여야 한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고,중앙지와 지방지가 자체 사진 발굴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지방지는 독자 위주의 차별화된 지면으로 승부수를 던져야 한다. 그동안 지방지들은 지면의 질적 개선 보다는 광고 늘리기를 통한 증면,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지면 제작 등에 치중해 온 경우가 많다. 이제는 철저히 독자 위주의 신문을 만들어야 한다. 이와 함께 지방지는 신문사간 공존을 위한 공동연구,읽는 신문에서 보는 신문으로의 변화,지역사회에 대한 능동적 개입,보도 기능의 사유화 배제,미래의 독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표현,합리적인 경영 시스템 도입 등을 과감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지방지가 이 같은 제안을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실행한다면 꾸준히 독자 곁을 지키는 신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paper news media have come to a crisis with competitive new media, readers' taste changes, and advertising market fractionation. Among newspapers, of which crisis is most severe are local newspapers. According to the Consumer Behavior Report of th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the preference of general daily newspapers changed from 57.7% in 2005 to 63.7% in 2006, whereas that of local newspapers from 5.7% in 2005 to 4.2% in 2006.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ws agency dependence of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and then grope after a strategy for local newspapers to survive the crisis through its quality improvement.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of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dependence?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dependence with article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dependence by fields? Fourth, what is the difference of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dependence with photographs? In order to get an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the investigator examined all the articles and photographs inserted in two metropolitan newspapers, such as the Chosun Ilbo and the JoongAng Ilbo, and three local newspapers, such as the Kyeongin Ilbo, the Joongboo Ilbo and the Koojae Daily News, for a period from September 1 to 7, 2007.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article dependence is higher than that of metropolitan newspapers. All the study subjects' dependence on the Yonhap News Agency is higher than their dependence on such other agencies as the Newsis or overseas news agencies. Local newspapers' news agency dependence by fields are wider than that of metropolitan newspaper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ws agency photograph dependence between local and metropolitan newspaper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local newspapers must secure its identity and lower its news agency dependence through its own discovering of articles. Both local and metropolitan newspapers must expand their article diversity by taking other news agencies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to the Yonhap News Agency. Local newspapers must make every effort to discover its own articles in every field. And both local and metropolitan newspapers must make every effort to discover its own photographs. Local newspapers must compete with its reader-oriented differentiated articles. All the while, local newspapers have attached importance not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ts pages, but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ges via increased advertising or the political interest-oriented page composition by and large. But it is high time they made reader-oriented newspapers. In addition, local newspapers must daringly carry out such strategies as joint researches on coexistence among them, changing from reading newspapers to viewing ones, positive intervention into local communities, removal of private ownership of report functions, consistent consideration of future readers, and introduction of reasonable management systems. When local newspapers carry out the above strategies actively, they can consistently secure their readers.

      •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관한 CEO와 종사자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장석민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관한 CEO와 종사자의 인식을 주관성 측정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인터뷰는 CEO 14명과 기자 20명, 총 34명을 대상으로 17일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PQ Method 프로그램을 통해 유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관한 CEO와 종사자의 인식은 '수익 중시형', 현실 비관형', '저널리즘 중시형', '포털 중시형' 등 총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인 '수익 중시형'은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있어 수익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두 번째 유형인 '현실 비관형'은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있어 외부환경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경영성과를 높이기는 어렵고, 이는 기자들의 잦은 이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세 번째 유형인 '저널리즘 중시형'은 인터넷신문사의 뉴스는 속보성에 있어 강점이 있고,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마지막 '포털 중시형'은 인터넷신문사 경영에 있어 포털의 영향이 크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 유형 간 유사성과 상이성 또한 분석하였으며, 인터넷신문사의 직무환경, 포털의 영향, 뉴스의 흥미성, 선정성 등에 대해 전체 유형이 대체로 유사한 입장을 보였다. 반면, 포털의 뉴스 서비스 환경, 뉴스콘텐츠의 다양성, 인터넷신문윤리강령 준수 여부 등에 대해서는 각 유형이 다른 의견을 나타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types of CEO (employer) and employee on managing the Internet newspaper by employing a renowned subjectivity measurement tool, Q methodology. A total of 34 individuals (CEO: 14; reporter: 20) were interviewed for about 17 days, and the perception types were analyzed by the PQ method. The findings show that the perceptions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which are: ‘profit-oriented,’ ‘reality pessimistic,’ ‘journalism-oriented,’ and ‘portal-oriented.’ ‘Profit-oriented’ types considered the profitability the most while managing Internet newspapers. ‘Reality pessimistic’ types perceived that external environments are important, which challenged newspaper agencies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s and thus stretched to frequent job turnover of reporters. ‘Journalism-oriented’ types recognized that the Internet newspapers are fair, objective, and have strengths in breaking news, whilst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observing and criticizing the social power. Finally, ‘portal-oriented’ types highlighted that the portal has a substantial effect on managing Internet newspapers. Through the assessment of similarity/dissimilarity of overall perception types, the study identified that every type had a similar position on the office environment, the effects of a portal, and the interest and sensationalism of news regarding the Internet newspapers. However, each type had a different opinion in terms of the portal’s news service environment, the variety of news contents, and the Press Moral Code abidance.

      • 방송진행자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대학생들의 수업요구도 분석에 따른 강의안

        김현영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Faced with the digital technology advancement, the broadcasting companies require new dimensional approach on contents production and professional broadcast personnel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audiences today. Especially, the broadcaster training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a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the public education reinforcement for broadcasting talents needs to be addressed sooner than later. However, current college programs could not provide practical and substantial for the press and broadcasting field since they only have provided theoretical classes for their students. With having the issues above, I would like to address what kind of programs including contents should be employed and how the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train professional broadcasters(announcers) at the press and broadcasting colleges and institutions. Eventually, I tried to vitalize broadcaster education after a thorough research in current college students’ demands of broadcaster education. First, I looked into the qualifi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broadcasters, career paths distributions and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d broadcasters, and the need of broadcaster educ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Then, I captured the problems of broadcas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programs, and sought desirable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broadcaster employment allocation. In the research, the analysis subjects ar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broadcaster programs. This research intended to understand students’ preferences and thoughts about broadcaster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subjects. Below are subjects for inquiries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1st subject for inquiry]How do colleges currently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bout broadcaster programs? [2ndsubject for inquiry] What kind of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sirable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What do students think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broadcaster? [3rd subject for inquiry] For those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become broadcasters as their professions, do private institutions satisfy students for adequate recruiting information of corresponding broadcastingand institutes? Also, do students recognize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compared with college education programs? 현 방송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발전은 새로운 차원의 콘텐츠 제작방식을 필요로 하며 또한 변화한 시청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출 수 있는 전문 방송인력 또한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방송시대를 이끌 전문 방송진행자의 양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와 함께 방송인력 양성을 위해 공교육 강화는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학에서는 언론 및 방송 교육이 실질적이고 실용성 있는 교육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이론 위주의 구성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변화한 방송환경에 부합하는 전문 진행자를 육성하기 위해 국내 방송, 언론관련 대학에서 시행해야할 교육방향과 교육내용은 무엇이며, 방송진행자를 꿈꾸는 대학생들이 실제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방송진행자 교육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진행되었다. 우선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진행자의 자질과 전문성을 알아보고, 인력현황 및 취업현황, 디지털시대 진행자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변화하는 방송진행자 채용형태를 분석함으로써 필요한 교육내용을 찾고, 국내 방송진행교육 현황파악을 위해 공교육과 사설교육기관을 비교해 대학에서의 방송진행자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육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대학생으로 선정해 교육 현황과 선호도를 분석하고 방송진행자 관련 수업에 대하여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현재 대학 내에서 진행 중인 방송진행교육의 현황과 이에 대한 대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연구문제2] 대학생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방송진행자의 자질과 본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커리큘럼은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연구문제3] 방송진행자를 직업으로 택하고자하는 학생의 경우 해당 방송사 및 기관의 채용요강에 합당한 정보를 얻고자할 때 사설교육기관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보는가? 또한 그 정보내용의 질은 학교교육체계와 비교할 때 무엇이 다르다고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가? 방송진행자가 되기 위해 대학생들 스스로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에 대한 탐색결과 우선적으로 방송진행에 필요한 실무교육을 받을 필요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방송진행자 취업을 위해서는 대학 교육만으로는 실기교육이 턱없이 부족한 탓에 높은 비용을 들여 사설아카데미에서 별도의 이중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연구를 통해 사설아카데미가 상대적으로 학교에서 제공하는 방송진행 강좌에 비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내용을 제공한다는 강점이 있고, 또한 실제로 취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또, 만약 이와 같은 실습교육이 대학에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는 높을 것으로 연구결과로 분석됐다. 방송진행자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대학전공과목이나 교양수업, 또는 별도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 실질적 교육을 기초로 학생들이 진정 필요로 하는 학습방법이나 모형을 제안하는 연구를 해야 한다고 본다. 우선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방송전문 인력양성을 위해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공교육의 강화는 무엇보다 필요하며 장기적이고 다양한 이론교육과 함께 그동안 사설기관에서 보충했던 현장실무교육이 조화롭게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방송진행자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모형제시에서 대학교 학년별 준비과정을 제안하고, 연계과목 형태로 1,2학년, 3,4학년에 해당하는 교육에 차별성을 두어 15주 학년별 방송진행자 교육 강의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의 방송진행과목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실제 제작에서 필요한 개인별 맞춤 커리큘럼과 교육방식을 도입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진심으로 대학에서 바람직한 교육을 시도할 변화의 그날이 오길 소망한다.

      • 대통령 뉴스사진 프레임 연구 : 노무현, 이명박 전 대통령 취임 후 100일간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를 중심으로

        서재훈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요즘 현대인들은 일반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소통을 위해 가장 유용한 매개체를 사진으로 여긴다. 사진에 의한 메시지 전달 방법이 순간적이고 그 이미지에 대한 반응이 반사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취임 후 국정에 나선 대통령도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뉴스사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신문으로 뉴스를 접하는 사용자들은 신문을 볼 때 지면 가득 작성된 텍스트 기사 보다는 시각적인 부분을 먼저 접하게 되며 이로 인해 뉴스사진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려 대중들의 직관적 이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1948년 1대 대통령 이승만 때부터 시작해 2022년 현재 20대 대통령 윤석열 까지 이어오는 동안 대통령의 취임 후 100일간 게재 및 발행된 뉴스사진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같은 중요성 때문에 본 연구는 대통령의 취임 후 100일간 뉴스사진의 프레임 분석에 집중했다. 정권의 대척점에 섰던 노무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취임 후 100일 동안 국정을 진행하는데 있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의 신문들이 뉴스사진을 어떻게 사용했으며 이는 어떤 프레임을 보였는지를 분석했다. 대상 선정은 2021년 ABC협회의 발표를 따랐고 분석방법은 취임 후 100일간 세 매체의 신문에 게재된 뉴스사진 542장을 분석해 게재된 위치, 빈도수, 크기, 표정, 촬영기법 등으로 분류해 카이제곱과 t-test, 아노바 검정을 진행했다. 이 같은 10개의 교차검정 중 크기 검정에서 카이제곱과 t-test로 분석한 결과가 다른 값이 나왔는데 우선,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 카이제곱으로 분석한 결과 세 신문 모두 '차이없음'이 나왔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분석이 나왔다. 이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해 세 신문 모두 일정한 사진을 사용했지만 이 전 대통령으로 넘어오면서 세 신문 모두 특정한 프레임이 나타났다는 걸 뜻 한다. 또 t-test에서도 한겨레신문을 제외한 동아일보와 한국일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한겨레가 노 전 대통령과 이 전 대통령 모두에게 차이없는 크기의 사진을 사용했지만 동아일보와 한국일보는 뉴스의 흐름에 따라 사진을 사용했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는 ‘진보성향의 신문은 진보출신 대통령에게 우호적이고 보수성향의 신문은 보수출신 대통령에게 우호적이다’는 주장이 통계적으로 일정 부분 근거 있음을 밝혀냈다. Photography is considered the most useful medium of individual and social communication these days, as it is capable of delivering messages instantaneously and drawing reflexive responses from its viewers. Presidents, after their inaugurations, also tend to actively use press photos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while conducting state affairs. Newspaper readers tend to focus on visual components on paper before text-centered articles and thus, press photos have far-reaching effects on people’s intuitive understanding of political affairs.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country’s first President Syngman Rhee in 1948 until the latest President Yoon Suk-yeol, there has been no study analyzing visual framings of Korean presidential press photos during their first 100 days in office.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d on visual framing analysis of presidential press photos during the first 100 days in office of former presidents. This study analyzed how three Korean newspapers — Hankook Ilbo, The Hankyoreh and Dong-a Ilbo — used press photos and visual framing in presidential reports during the first 100 days in office of former Presidents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whose administrations stood at opposite ends of the political spectrum. The targets of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the 2021 announcements by the Korea Audit Bureau of Certification (ABC). A total of 542 press photos used in the three newspapers’ presidential coverage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position in print (on front page or on inner pages), frequency, size, facial expression, and camerawork and they went through a chi-square test. As a result of ten cross-validations, the argument that “a progressive newspaper tends to favor a progressive president while a conservative newspaper tends to favor a conservative president” was proven partially valid, statistically.

      • 한국 신문의 문화기사 분석 연구

        김민주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95

        지금까지 한국신문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 측면으로의 과도한 관심으로 치우쳐 왔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문화기사는 빈약한 연구업적을 보였고 논의 역시 매우 적었다. 1990년대 이후 경제적 여유로 인해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특히 죄근에는 주 5일 근무제의 시행 확산으로 문화 생활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의 무게 중심이 전체적으로 ‘일 중심’에서 ‘삶의 질 중심’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매체의 변화로도 이어졌는데 신문의 문화면도 많이 변화하였다. 이 연구는 신문 문화면을 통해서 보도되는 일상적 삶에 대한 뉴스들은 어떠한 형식으로 보도되며 어떠한 주제로 보도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문화보도에 나타난 경향을 분석하여 대중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해야할 문화기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는 대상은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신문 4개 일간지의 가로세로 15cm 이상의 문화기사이다. 표본추출은 스템펠(Stempel)의 연구를 참고하여 2000년, 2001년, 2002년 3년 동안 각 해마다 12일씩 36일치를 분석하여 4개 일간지 총 분석일자는 144일에 해당한다. 표집된 기사 건수는 2000년 342건, 2001년 381건, 2002년 348건으로 3년동안 가로세로 15cm이상의 기사는 총 1,07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1 - 문화기사 유형은 어떻게 분류 분할되어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보도>부문이 전체의 6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인터뷰&#8228;대담> 형식이 15.9%, <해설>이 9.9%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문제 2 - 문화기사는 어떤 장르의 기사들로 분류 분할되어 있는가?>는 <출판&#8228;문학>이 전체 16.99%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방송&#8228;연예>, <건강&#8228;의학>, <영화>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 - 신문사별 문화기사 게재 건수와 비율은 각각 어떻게 다른가?>가로세로 15cm이상의 문화 기사가 조선일보는 총 291건으로 전체1,701건 중 27.2%에 해당하는 비율을 보였고, 동아일보는 276건으로 전체1,701건 중 25.7%에 해당하는 비율을 보였고, 중앙일보는 256건으로 전체1,701건 중23.9%에 해당하며, 한겨레 신문은 248건으로 전체1,701건 중 23.2%에 해당하는 비율을 나타냄으로써 조선일보가 가장 많은 문화기사 게재건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구문제 4 - 신문사별 문화기사 년도에 따른 변화는?> 조선일보가 291건의 문화기사를 100으로 놓고 볼 때 2000년에 33.3%, 2001년에 32.3%, 2002년에는 24.4%를 나타내면서, 점점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앙일보는 전체 256건중 2000년 29.9%, 2001년 36.3%, 2002년 34.4%를 보였고, 동아일보는 전체 276건 중 2000년 31.9%, 2001년 41.3%, 2002년 26.58%를 나타냈다. 동아일보는 2001년에 특히 문화기사의 건수가 대폭 증가하였음을 볼수 있다. 한겨레 신문은 전체 248건중 2000년 33%, 2001년 32.2%, 2002건 34.7%에 해당하는 비율을 보였다. 다른 신문들도 전체적으로 2001년에 문화기사가 대폭 증가하였음을 볼수 있었다. <연구문제 - 5. 신문사별 문화기사의 기사유형과 장르는 어떻게 다른가?> 각 신문사 별로 문화기사 유형분류는 조선일보는 <보도> 163건, <인터뷰&#8228;대담> 57건, 중앙일보도 <보도>151건, <인터뷰&#8228;대담> 45건, 동아일보는 <보도> 165건, <인터뷰&#8228;대담> 34건, 한겨레 신문은 <보도>181건, <인터뷰&#8228;대담> 34건으로 <보도와 인터뷰> 부문의 기사 유형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각 신문사별 문화기사 장르는 조선일보 <출판&#8228;문학>42건, <인물소개&#8228;문화감상>34건, <방송&#8228;연예>31건 순서로 나타났고, 중앙일보는 <출판&#8228;문학>이 53건으로 , <영화>가 23건, <인물소개&#8228;문화감상>21건 순이고, 동아일보는 <출판&#8228;문학> 53건, <건강&#8228;과학>29건, <교육>20건 순이며, 한겨레 신문은 <출판&#8228;문학>34건, <방송&#8228;연예>34건, <건강&#8228;과학>21건 순에 해당함을 볼수 있었다. 위의 <연구 문제 1 - 5>에서 알수 있듯이 각 신문사별로는 상관없이 기사 유형은 <보도>부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장르는 <출판&#8228;문학>이 가장 큰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수 있다. 그 외에 여러분야에서 골고루 문화기사를 볼수 있다. 이는 문화기사가 연성기사임에도 불구하고 뉴스성이 강한 기사가 많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비평기사는 51건으로 4.8%의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문화기사의 비평부재 현상을 드러내고 있다. <출판, 문학>이 타분야에 비해 중점적으로 보도되었다. 그러나 문화기사의 제 장르나 분야에 골고루 관심을 가지고 지면량도 여러 분야에 걸쳐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배정되고 있었다. 문화기사는 문화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문화상품이 생산되고 전달되고 소비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과 비판이 따르는 문화기사가 증가돼야 한다. 또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문화보도는 국민들에게 문화에 대한 상을 심어준다는 중요성을 갖기 때문에 문화지면을 구성하는 신문사의 문화부에서 그 심각성을 인식하고 충분히 고려한다면 신문의 문화기사는 그 자체로도 하나의 대중문화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노무현 관련사건의 자살 전·후 뉴스 프레임 비교 분석 : 신문사의 사설을 중심으로

        마정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은 국내에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분향소에는 많은 참배객들이 길게 줄을 늘어서는 모습을 보였다. 방송매체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 추모 방송을 내보내고, 신문들은 호외를 발행했다. 한국 사회는 전 대통령의 자살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겪으며 사회적 갈등과 함께 인간적 삶의 존엄성과 자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계기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관련 사건에 대한 세 신문사의 프레임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를 사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진보와 보수 그리고 기업사주라는 다른 배경을 가진 신문사들이 사설이라는 신문사의 자주적 목소리를 이용하는데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세 신문사 사설의 프레임을 통하여 신문사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겨레 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를 선정하였다. 이념적으로 대비되는 한겨레 신문과 조선일보를 선정하였고, 중앙일보는 기업사주로서 진보와 보수와는 다른 이념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선정하였다. 귀납적인 방법을 통하여 내용분석을 하여 8개의 프레임을 추출하였다. 프레임은 비리의혹 프레임, 수사촉구 프레임, 부패 프레임, 개인적 불행 프레임 추모 프레임, 실망 프레임, 책임 프레임, 자살의혹 프레임으로 8개가 추출되었다. 첫 번째는 노무현 관련 사건의 신문사별 양적 분석은 신문사 개별적인 사설의 보도량은 거의 대동소이했다 하지만 월별 보도량을 살펴보면 2009년 4~5월의 2개월동안 총 사설 보도량의 66.3%를 보도했다. 세 신문사가 노무현 사건 관련 사설을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편중해서 보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노무현 관련 사건 사설의 핵심 프레임은 자살전에는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자살이 있었던 5월 이후에는 한겨레 신문은 추모와 책임프레임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수사촉구와 추모 프레임을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겨레 신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에 추모와 정부와 검찰에 책임을 묻고 있으며,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자살에 대한 추모는 하고 있지만 검찰의 수사는 계속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살 전과 자살후의 사설의 보도량은 한겨레 신문은 증가하였고,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줄어들었다. 사설의 프레임은 자살 전에는 비리의혹, 수사촉구, 부패 프레임이 주류를 이루었고, 자살 후에는 추모와 책임프레임이 주류를 이루었다. In 2009, the ex-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Mu-Hyun Roh's suicide gave a big shocking to inside of South Kore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Many worshipers waited for a line to get in the Mu-Hyun Roh's memorial altar. Broad-casting medias broadcast a program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Mu-Hyun Roh, and the newspapers issued an extra. Korean society finally had an opportunity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dignity of man, suicide and social conflict together by undergoing the shocking incident, ex-president's suicide. In this paper, it would like to show you the column focused analysis that how the representative three newspapers have been changing their news frames about Roh's suicide. It will be also showing you that how the various newspaper companies that have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progressive, conservative and private company owned display differences to emphasize their opinion by using their editorial articles. Moreover, it also wants to analyze the three representative newspapers' differences by using their own editorial article's frames. the representative three newspapers, subjects of analysis are HanKyere news,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each of them is seriously selected because the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anKyere news is the representative for progressive and Chosun Daily is the representative for conservative. Besides, Jungang Daily is the representative for private company owned. There are eight abstracted news frames that are analyzed by using inductive method. The eight abstracted frames are unreasonably doubted frame,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decay frame, personal misery frame, cherishing frame, disappointment frame, responsibility frame, and suicide doubted frame.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ewspapers for Roh's incidents, the newspapers' editorial article numbers are almost even. However, if you look at the amount of news for a month about Roh, 66.3% of all the editorial news are reported from April 2009 to May. It was concentrated in two months. From the fact above, you can see that the three major newspapers tried to report too much of their editorial articles about Roh's incidents in short two months. Second, the essential frame for Roh's incident was actually not changed too much before his death. However, after may 2009 that he committed suicide, Hankyere news mainly used Cherishing and responsibility frames. On the other hand,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mostly used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and cherishing frame. HanKyere news charged the Government and the prosecution with responsibility for Roh's death and cherished the memory of him. On the other side,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also cherished but they still wanted the prosecution to investgate Mu-Hyun Roh. Lastly, Hankyere news increased the amount of editorial articles during the incident season, but Chosun Daily and Jungang Daily decreased the quantity of columns for Roh's incident. Columns' frame was focused on unreasonably doubted frame, investigation demanded frame and decay frame before Roh's incident. After his death, cherishing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were the main currents.

      • 한국 프레스 옴부즈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변혜경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1695

        언론의 책임과 윤리의식의 제고를 통해 수용자로부터 더 나은 신뢰를 얻으려는 언론의 자구책으로서 각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옴부즈맨제도는 수용자주권 회복과 함께 언론인이 전문직화를 실현하는 장이다. 우리나라 프레스 옴부즈맨제도는 그 역사가 짧아 아직 10년도 되지 않았으나 어느 때보다도 독자의 신문에 대한 불신이 높고 수용자 중심의 언론개혁이 요구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그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서의 옴부즈맨제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옴부즈맨제도는 스웨덴의 외회 옴부즈맨제도에서 유래되었으나 프레스 옴부즈맨제도의 시초는 1967년 미국이다. 프레스 옴부즈맨제도는 그 형식과 기능면에서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스웨덴의 경우처럼 국가적 차원에서 일반 대중의 불만을 처리하는 유형, 둘째 미국의 경우처럼 개개의 언론사가 자체적으로 이 제도를 도입하여 일반 대중의 불만, 고충 등을 처리하는 유형이다. 스웨덴형은 프레스 옴부즈맨을 프레스 평의회 내에 두고 조사나 보고에 대한 최종평결을 프레스 평의회 의결로 처리하고 있다. 반면 미국형은 언론사 내에 설치된 자체 기구가 기사에 대한 심의 또는 시민으로부터의 불만 등 각종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조치하고 있다. 미국 프레스 옴부즈맨제도의 기능은 각 언론사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크게 다음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신문보도에 대한 독자의 불평.불만을 접수하고 조사하는 일, 둘째 오보 여부를 밝혀서 정정보도나 사과문을 게재하는 일, 셋째 매일 지면심의를 통해 기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부비평을 수행하는 일, 넷째, 고정 칼럼을 통해 자기의 견해를 발표하는 일 등이다. 우리나라의 옴부즈맨제도는 스웨덴이나 미국의 경우처럼 옴부즈맨 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과거 독자투고를 접수하던 독자부 내지는 독자부의 일부분에서 맡고 있다. 즉 일반적인 톡자의 의견을 접수하던 독자면을 확대하고 여기에 자사의 보도에 대한 비판을 수렴하여 그에 대한 해명이나 정정을 게재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옴부즈맨제도는 과거 독자면과의 지면 구분이 모호하고 그 담당자도 대체로 독자부의 기자와 혼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프레스 옴부즈맨제도는 스웨덴이나 미국의 경우처럼 신문기사에 의한 독자들의 인권침해를 보호하고 독자들의 불평, 불만을 접수하고 기사오류와 오보에 대한 독자들의 지적을 받아 들이는 등의 본래 옴부즈맨제도의 목표와 기능 외에, 일반적인 독자의 의견을 접수하는 기능까지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일보의 옴부즈맨제도 조직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조선일보사는 1993년 3월 18일 사내 일부기구 개편을 통해 사장직속기구로 사장실을 신설하고 편집국에 속해 있던 독자부를 이에 흡수하여 프레스 옴부즈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현재 프레스 옴부즈맨 업무는 국장급인 실장을 비롯해서 1명의 부장과 3명의 일반기자 그리고 3명의 여직원이 전담하고 있다. 조선일보사에서 옴부즈맨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사장실 독자부는 옴부즈맨제도의 주요 업무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첫째, 독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둘째, 독자의 지적에 대한 답변을 하며, 다섯째, 오보로 인한 명예훼손 등 권익침해를 적극적으로 구제한다. 독자부의 옴부즈맨 업무범위를 살펴보면 다양한 경로를 통한 독자의견과 내부 검토에 의한 불만 및 비판사항을 독자부에서 매일 오후 옴부즈맨 접수상황 보고서라는 회람형식으로 작성하여 담당부서나 주필 등에 전달을 한다. 담당부서에서 독자 부로의 회답이 없을 경우에는 미처리 보고서를 재발송하여 3일이내에 회람이 다시 수령되도록 촉구한다. 중앙일보는 동아일보와 함께 옴부즈맨 칼럼을 게재하고 있는데 옴부즈맨을 임명한 것은 중앙일보가 처음이다. 또한, 내부 비평이 가능한 조건을 갖춘 필자를 옴부즈맨 칼럼니스트로 6개월 단위로 선정, 옴부즈맨 칼럼을 정기적으로 게재, 현실화하고 있어 내부 비평 부분에 있어서 그 기능을 가장 제대로 실현하고 있다고 인정받고 있는 중앙일보 독자란을 통해 운영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는데 2000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6∼7p에 걸쳐 게재된 오피니언란 내용 중 독자 투고, 중앙일보 기사에 대한 투고, 독자투고에 대한 개인 및 단체의 재투고, 옴부즈맨 칼럼 84건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일보의 지면구성은 크게 일반적인 사회현안에 대한 독자의 비판, 생각, 느낌 등의 의견이 게재되는 열린 마당 , 민원성 투고 즉 민원, 항의 등이 게재되는 쓴소리 그리고 사회저명인사가 중앙일보를 비판하는 옴부즈맨 칼럼 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내용 성향 분석의 결과 옴부즈맨제도 본래의 기능인 신문기사에 의한 독자들의 인권침해 보호, 불평.불만 접수, 오류.오보 지적 과 관련한 내용은 2000년 11월 한달 동안 총 84건의 게재 내용 중 단 6건(비평성향 건수)에 그쳐 7.2%의 비중을 차지했을 뿐이다. 즉, 단순 의견, 반론, 사과 등의 내용이 옴부즈맨면의 대부분을 차지해 옴부즈맨제도의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옴부즈맨 칼럼 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중앙일보 옴부즈맨 칼럼은 중앙일보 예찬론 일색이거나 비판을 한다고 하더라도 부록처럼 내용이 끼어있는 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체비판의 경우에는 언론계 전체의 문제로 확대, 객관화하여 기술하든지, 뉴스 소재선택이나 지면배당 등 형식적인 사안에 대한 단순 지적으로만 이루어져 있었다. 우리나라 프레스 옴부즈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네가지 영역에서 논의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프레스 옴부즈맨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내부 감시기능을 확대하고자 하는 경영주의와 기자, 옴부즈맨의 의식전환이 절실하다. 둘째, 옴부즈맨 칼럼은 자사 두둔, 자사 홍보의 논조를 배제하고 수박겉�기식의 단편적인 자사 비판이 아닌 심도깊고 다양한 차원에서의 비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독자의견 처리과정의 개선을 위해 조직구성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독자부의 특성상 타부서의 게이트키핑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업무체계를 정비하여 독자의 의견이 왜곡없이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정간법內사내 옴부즈맨 의무조항 신설로 더욱 안정적인 언론비평기능이 사회적으로 활성화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비판이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옴부즈맨제도는 기사 오류에 대한 정정은 물론이고, 본의 아니게 오보로 인해 불이익을 당한시민, 독자들의 권리를 찾아주려는 언론사 스스로의 적극적인 시도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옴부즈맨제도 도입은 언론자유를 부단히 외치면서도 자기비판에는 인색했던 언론이 스스로 누리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을 독자들에 의해 검증 받겠다는 공개선언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신문사나 신문의 신뢰도를 높이고, 독자들의 지속적인 피드백에 의해 보다 신중한 기사작성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처럼 정확성, 공정성, 객관성, 전문성을 기하고 독자의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옴부즈맨제도는 언론의 책임과 윤리실천 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for the self-rescue measures of press through uplifting of the responsibility of press and moral spirit-Ombudsman is being for realizing the right of reader's and professional press. Ombudsman has been in Korea less than 10 years, but now it's the time to reform presses, and reader's mistrust is getting upper. So we should make new plan for Ombudsman to be useful. Ombudsman is from Sweden but originated in U.S. Press Ombudsman is separated two types. The first one is Government solves reader's problems like in the case of Sweden. The next one is each press company has the part of controling system in the case of U.S. First one is sending Press Ombudsman to Press Conference, and takes the result from the conference. On the other hand, second one has self-criticism system and makes improvements by themselves. U.S Ombudsman has four main faculties even there is some difference in each company. First, investigating the reader's complaints about newspaper. Second, making apology. Third, from the consideration on paper everyday, criticizing reporters. Fourth, expressing self-opinion on settled column. In Korean ombudsman's case, one of press parts has these faculties like U.S Ombudsman, not special separated part. In other words, it expands reader's part to check reader's suggestions and treats its answers and opinions. As it is, Korean Ombudsman, reader's part is confused with last reader's part and also its reporters are not separated clearly. That means Korean Press Ombudsman has two faculties, it takes not only mis informations, reader's complaints and suggestions like Sweden and U.S but reader's normal opinions. In March 18, 1993, Chosunilbo, through the reorganization, put the reader's part in the president part, the new one. This part carries out the work of Ombudsman. This part is been in charged of one president, one vice president, three reporter, three women staffs. This part has several functions. First, picking up opinions of readers. Second, answering questions of readers. Third, answering proposals of readers. Fourth, correcting misinformations. Fifth, solving problems like bringing disgrace on individuals from misinformations. This reader's part makes reader's opinions from various roots and complaints through self-investigation to circulation report in every afternoon and turn in it to each charged part or paper. If there is not any answer from charged part, they make 'unsolved report' and re-send it. It is supposed to be answered within three days. Choongangilbo has Ombudsman column with Dongailbo, it is the first case to appoints Ombudsman. Also in this newspaper, Ombudsman columnist who is in charge of this part for 6 months, carries the news on column in regulation. To observe this system, we invested reader's part of this newspaper called the best actualized Ombudsman system, 6-7pages from November 1st, 2000 to November 30th. We took the 84 cases from contributions of readers, groups and about newspaper. Let's check results. First, this paper has 'Opened Pageant' that is showing reader's opinions from general social things, 'Bitter sounds' that is showing public resentments and 'Ombudsman Column' is showing personages' opinions about newspaper. Second, writings about protecting infringements of human rights, taking complaints and pointing out misinformations from newspaper's reports are only 7.2%(6 of 84 cases for one month). That is to say, all of writings on Ombudsman were just simple opinion, opposite thoughts and apology etc. It is not be able to be said this Ombudsman is working well.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Ombudsman Column', it is self-praising or self-criticism as an appendix. Moreover in the case of self-criticism, they expand their problems to all presses', simple pointing about perfunctory matters. Problems of Korean Ombudsman is discussed in four parts. First management's thoughts to take reader's and self criticisms actively, reporter and Ombudsman must be more professional. Second, Ombudsman Column must criticize sincerely in various parts by themselves with excluding rough criticism. Third, to answer reader's requests reforming group should be independent, autonomous and reflected reader's opinion in paper to avoid gatekeeping problems with other parts. Fourth, the reasonable Ombudsman should be set in company to criticize and communicate each other with holding a stable position. Ombudsman is reasonable with all these problems, because it is active self-trying to fix misinformation and help damaged readers from misinformations. Also it is important point that the settlement of Ombudsman in the press that had been stingy to criticize self in spite of insisting on press-freedom, is the declaration to self-verify by readers. This is giving the trust of paper and company to readers and helping to make more serious report by reader's correct feedback. Ombudsman system is for getting responsibility and ethical practice of presses in the sense of taking accuracy, justice, object, speciality and also criticisms from readers actively by this system.

      • 신문사설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에 관한 연구 : 중앙일보·한겨레 공동연재 ‘사설 속으로’를 중심으로

        허성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중앙일보와 한겨레신문이 공동으로 기획하고 연재하는 ‘사설 속으로’에서 나타나는 이념적 시각차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두 신문사에 연재된 사설을 수집하여 의제의 구성을 살펴본 뒤, 분야별로 구분해봤다. 또한 분류된 의제를 유형화시켜 이를 토대로 사설 속에서 나타나는 두 신문의 보수와 진보의 이데올로기적인 입장 차이를 확인하고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제를 국내정치, 대북정치, 정치외교, 국방외교, 국제정치로 분류했으며, 이를 대분류 정치적인 논점으로 묶었다. 미시경제, 거시경제, 경제 분야의 복지는 대분류 경제적인 논점으로 구분했고, 사회교육, 사회문화, 사회제도, 사회 분야의 복지, 지역사회는 크게 사회적인 논점으로 분류했다. 다음으로 이에 대한 빈도를 살펴봤는데, 우선 대분류에서는 정치가 다소 높긴 했지만, 경제, 사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세 분야가 각각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둘째, 분류한 의제를 바탕으로 정치, 경제, 사회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데올로기를 분석했다. 정치 분야에서는 보수정당과 진보정당, 정부 및 집권여당과 야당, 지난 정권과 현재 정권 간의 다양한 정파적 입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중앙일보와 한겨레신문에서는 시각차가 드러났다. 경제 분야에서는 중앙일보는 친기업적인 성향과 기존 경제정책에 대한 고수를 표방했으며, 한겨레신문은 기존의 정책과 제도에 대한 개혁의 입장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비리, 부정 등 사회 정의적인 측면에서 두 신문 모두 강한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부유층, 불평등 등의 이념적인 요소에 대한 시각차는 존재했으며, 진영 노선 따른 입장에도 차이를 드러냈다. 끝으로 ‘사설 속으로’에 연재된 사설을 각각의 신문사별로 종합해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보의 사설에서는 현 정권과 대북 관계에 대해 비교적 신중한 자세로 복합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고, 정치적인 분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보수의 입장을 나타냈다. 한겨레신문의 사설에서는 중앙일보에 비해 보다 뚜렷한 이데올로기적 속성이 드러났으며, 현 정권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비판의 강도가 높았다. 반대로 대북관계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중앙일보와 마찬가지로 한겨레신문 또한 정치적, 경제적 분야에서는 이념적 속성이 보다 강하게 드러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는 보수와 진보를 대표하는 신문사의 사설을 통해 드러나는 이념적 차이에 대한 인식과 그 중요성, 언론의 이데올로기적 행태와 혼란 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현명한 수용자’의 입장을 재고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ideological differences in point of view shown in the 'Into the Editorial' which is joint-published and planned by Joongang Daily and Hankyoreh Newspaper. In this regard, the editorials of the two newspaper compani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agenda, they were categorized. Also, after typifying the categorized agenda, it was used to confirm the idealogical differences in opinion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aspects of the two newspapers represented in the editorials.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agenda was categorized into domestic politics, inter-Korean politics, national defense diplomacy, and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were bound into the big classification of Political Issues. Microeconomics, macroeconomics, and welfare in the field of economics were bound into the big classification of Economic Issues, and social education, social culture, social systems, welfare in the field of society, and local community were bound into the big classification of Social Issues. Next, the frequency of these classifications were examined which showed that firstly, as for big classifications, the Political Issues were high in frequency, but the gaps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Issues were not great which indicated that all three classifications had similar frequency values. Secondly, based on the categorized agenda, the ideology was analyzed in the three big aspects of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In the Political field, the conservative political party and progressive political party, the government and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the various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previous regime and current regime wer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confirmation, the differences in point of view of Joongang Daily and Hankyoreh newspaper were revealed. In the Economic field, it was found out that Joongang Daily claimed to advocate the adherence on the pro-business tendency and previous economic policies, while Hankyoreh newspaper was standing in the position of reformation on the previous policies and system. In the Social field, both newspapers showed strong voices in the social justice aspects such as irregularity, corruption, etc. However, the differences in point of view on the ideological factors of the wealthy class, inequality, etc. existed,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opinion regarding camp lines. Finally, as a result of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editorials published in 'Into the Editorials' by each newspaper company, Joongang Daily's editorials were complexly evaluating the current regime and North Korean relationships in a comparatively careful manner, and in terms of politics or economy, showed conservative opinion. Hankyoreh newspaper's editorials showed clearer ideological properties than Joongang Daily, and the strongly criticized the policies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regime. On the contrary, on the matter of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etc., it showed a comparatively lukewarm opinion. Same as Joongang Daily, Hankyoreh newspaper also showed stronger ideological properties in the field of politics and economics. Consequentially,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rethink the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the ideological differences revealed through the editorials of the newspaper companies representing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as well as the opinion of the 'wise audience' who does not waver in the ideological behavior and confusion of the media

      • 평창동계올림픽의 준비현황에 대한 중앙지와 지역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연구 : 조선일보와 강원일보를 중심으로

        함석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We count World Cup, Winter·Summer Olympics, World Championship in Athletics as the Four Sports Competitions of the World. We won the bid to host Winter Olympics 2018 in PyeonChang and honored to become 6th country to hold this Olympics in the world. Considering Korea’s geographical condition and inferior climatic environment, it is very meaningful that we won the bid in 30 years since Summer Olympics 1998. Through this worldwide sports festival, Korea needs to catch this good opportunity to increase its profile as sports powerhouse all over the world and promote and develop Gangwon-Do, an underdeveloped region quickly not only enjoy being happy with the fact that we are holding the games. To achieve this, all related people need to pay full attention to in order to mount a successful Winter Olympics, a sports event across the country nad also need to build up national strategies in a variety of ways to stimulate local economy through coexistent local development To win successful bid of national core business like this Winter Olympics, media should consistently try to satisfy the right to know of people and lead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by sports games. When media persistently carries out the role of monitoring and connect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ould possibly become a medium for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newspapers and local newspapers on reporting of preparation status and issues of PyeongChang Winter Olympics 2018, an upcoming sports event. Thus, we tried to discuss the difference for reporting between them as well as tried to see what frame type each of them takes for reporting targeting the Chosun Ilbo, a representative national conservative newspaper and the Gangwon Ilbo, a local newspaper well reflecting geographical qualities of Gangwon-Do. We created total 5 kinds of frames to get results and tho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ublic relations frame focuses on reporting a series of policies for development and preparation of Winter Olympics. In case of politics act frame, it is the frame to observe the moves of related major organization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other groups members working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it shows their political tendencies and direction they chase for the Olympics. Policy conflict frame sorted out the articles show conflicts and crossed antagonism on particular issue. Additionally, it includes the articles investigate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and demand to correct or set up countermeasures targeting the contributing organization or person. As for policy suggestion frame, it provides right direction on the pending issue and leads civic betterment as well. Finally, Sports frame gives information on current status of various games, sports players, national team members and the other events enjoying increased demands during the period. The founding shows public relations frame ranked the highest as 33.1% and next is the sports frame of 23.6%. Policy suggestion frame is 22.3% and policy conflict frame is 17.1%. As for politics act frame, it ranked the lowest as 3.7% When it comes to examine by the media, the Chosun Ilbo covers the sports frame most as 38.3% while the Gangwon Ilbo covers public relations frame most as 36.0%. The Chosun Ilbo carries the articles focusing on sports frame and especially, they draw people’s attention referring to the latest news often of sports players and related games for Winter Olympics. This shows that the Chosun Ilbo covers the story oriented articles a lot more than conflicts on local issue and practical problems. In case of the Gangwon Ilbo, they tried to share the local pending issues and political issues from the concrete and regional point of view with people. Specifically, they disclosed a variety of topics for discussion such as local enterprise participating business and benefits, the issues on the special acts promoting for Olympics, budget asking for government expenditure and stadium dispersion etc. and they gratified people’s curiosity. We could see the local newspaper supplies related articles a lot more detailed than the national newspaper. Through this,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considerably on finding out the fram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newspaper and local newspaper. This study is to see how much domestic media concern on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reporting articles between national newspaper and local newspaper. We hope this study helps upcom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s 2018 held successfully expecting media plays the proper roles for. 세계 4대 스포츠대회로 월드컵, 동·하계올림픽, 세계육상선수권 대회를 일컫는다.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세계에서 역대 6번째로 전 대회를 유치하게 되는 영광을 안았다. 대한민국의 지리적 여건과 기후 환경의 열악함을 고려했을 때, 1988 하계올림픽에 이어 30년 만에 올림픽을 유치 할 수 있게 된 점은 대단한 의미가 있다. 대한민국은 올림픽 유치에 만족하는 것을 넘어 동계올림픽이라는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를 통해 대한민국의 스포츠 강국의 위상을 널리 알리고 더욱이 강원도라는 낙후 지역을 초고속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관련된 주체가 관심을 가져 범국가적 차원의 스포츠 이벤트인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방면의 국가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국가 핵심 산업의 성공적인 유치를 위해서 언론은 끊임없이 대중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스포츠를 통한 사회·문화·경제의 발전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언론이 지속적인 감시 기능과 유기적 연결고리 역할을 꾸준히 실천함으로써 평창 동계올림픽이 사회통합의 좋은 매개체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가오는 스포츠 이벤트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대표 신문들이 준비현황과 전망 그리고 쟁점들을 보도하는 데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표보수 신문의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와 강원도의 지리적 특성이 잘 반영된 강원일보를 연구 대상으로 각각 선정하여 어떠한 프레임으로 보도하고자 살펴보는 동시에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사이에 어떤 보도 차이점이 있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도출을 위해 총 5가지의 프레임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홍보 프레임은 동계올림픽 개발과 준비과정 일련에서 나타나는 정책 사안들에 대한 보도에 초점이 맞춰있다. 정치권행보 프레임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이끄는 주요 기관 및 국회의원, 기타 단체 인사들의 행보를 관찰하는 프레임으로 각 인사들이 추구하는 올림픽에 대한 방향과 정치적 성향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정책갈등 프레임은 특정 사안에 대한 엇갈린 대립으로 이견을 보이거나 갈등을 나타내는 기사들을 선별했다. 또한 그 문제점의 원인 제공이 되는 기관 또는 개인에 대해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그 주체를 대상으로 시정 대책을 촉구하는 기사가 포함된다. 또한 정책제시 프레임에서는 정책 현안에 대한 올바른 방향 제시와 시정 개선을 유도하는 기사를 규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스포츠프레임에서는 동계올림픽과 관련된 다양한 종목들에 대한 현황과 소개, 스포츠스타 소개, 올림픽 이유 인물, 올림픽으로 인한 다양한 수요가 발생하는 올림픽특수, 기타 행사이벤트 들에 대해 언급한다. 분석 결과 정책홍보 프레임이 33.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스포츠 프레임이 23.6%로 뒤를 이었다. 정책제시 프레임이 22.3%로 나타났으며 정책갈등 프레임이 17.1%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정치권행보 프레임이 3.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언론사별로 살펴보면 조선일보는 스포츠프레임을 38.3%로 보도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원일보의 경우에는 정책홍보 프레임이 36.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선일보는 스포츠프레임에 가장 큰 비중을 두어 기사를 실었는데 특히 동계올림픽 관련 종목소개와 스포츠스타들의 최신 뉴스를 자주 언급하면서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여론 관심을 유도했다. 조선일보는 지역 사안에 대한 갈등이나 현실적인 문제보다는 올림픽 스토리 중심의 보도 전개가 더 많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강원일보는 보다 국지적이고 구체적인 시각에서 지역별 현안에 대한 문제와 정책이슈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시도했다. 특히 올림픽 특별법 추진 문제, 국비 지원을 호소하는 올림픽 예산문제, 경기장 분산 개최 문제, 지역 기업체 참여 확대 사업과 우대방안 등 보다 다양한 논의 꺼리를 내놓으며 지역 이슈의 궁금증들을 풀어나갔다. 해당 지역의 일간지가 중앙일간지 보다 구체적으로 관련 기사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프레임 차이를 드러내는 데 상당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내 언론사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을 기대하며 더 나아가 향후 다가올 2018년 평 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작게나마 도움이 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