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상업고등학교 교육의 위기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갑성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Approaching at 1990's, our industrial education is difficult being placed. Though it has a multibranch reason, the curriculum cannot follow with the change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most. Because or increasing of national income and with academic clique policy, we are confronting with the decrease of entra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increase of college entering. The now when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 base society spread, also the commercial world high school which takes charge of a fundamental vocational education confront in change and information relation subject establishment which suits in reorganization and manpower demand of curriculum, it falls and a change development effort of the re-expansion back to lead it plans, 1970,1980's to the social rival bedspread and the recognition which rancid is unattainable. Though 7th curriculum which emphasizes information education is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problem point of commercial education is the doubt which is solved, Rather it brings about the policy confusion of the middle class vocational education which begins a commercial education and even specific territory it disappears and it is going to educate the commerce which cultivates the fundamental occupation ability which comes to be demanded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which changes and the management worker, it discharges and the commercial education which in economic development it contributes is the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to our societies certainly, Consequently in information society proper education it is complete more when accomplishing, the thing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a social recognition change. the hazard which will reach with the subject establishment which is huge stands education of the subject which is various compared to the thing must be reorganized with curriculum of fundamental knowledge and temperament of commerce and management area of expertise. it knows, not the commercial education is controlled like existing by an economic growth and a shift in policy, but base occup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cultivate the manpower which is necessary to a social development social climate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my role must be created, In order for the academic clique to be formed to know the culture which considers seriously an ability, system device is necessary. With a proper direction and a developmental plan change process of our country commerci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researched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character, it presented the commercial world high school curriculum. 우리의 실업교육은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큰 어려움에 처해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산업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르지 못하는 교육과정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대졸자 우대의 학벌 정책으로 말미암아 입학 학생 수의 감소와 졸업자의 대학진학 증가로 인한 파행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정보화와 지식기반 사회가 만연한 요즘, 기초 직업 교육을 담당하는 상업계 고등학교도 변화에 대응하여 교육과정의 개편과 인력수요에 부응하는 정보관련학과 개설, 기자재확충 등의 노력을 통하여 변화 발전을 도모하고 있지만,70~80년대 누렸던 사회적 수요와 인식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보화 교육을 강조한 제7차 교육과정이 진행 중이지만, 상업교육의 문제점은 해소될지 의문이며, 오히려 상업교육을 비롯한 중등직업교육의 정책적 혼란을 초래하여 고유 영역마저 사라져 가고 있다.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요구되어지는 기초 직업 능력을 함양한 상업 및 경영 종사자를 교육하고 배출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상업교육은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교육이며, 따라서 정보화 사회에 알맞은 교육을 더욱 충실하게 수행할 때 사회적인식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대한 학과개설과 다양한 교과과목의 교육보다는 상업 및 경영 전문분야의 기초 지식과 자질의 교육과정으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상업교육이 기존처럼 경제성장과 정책변화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기초 직업 교육 기관으로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회적 풍토가 조성되어야 하며, 학벌이 아니라 능력을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업교육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기존문헌을 바탕으로 연구하여,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올바른 방향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실태 연구

        이영의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우리 사회는 기존 교육의 반성과 함께 교육권 회복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이미 오래 전부터 기존의 제도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 실천이 시도되어 왔지만 대안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1990년대 이후부터였다. 이후 1997년 인성교육 중심의 특성화고등학교를 법제화하면서 대안교육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 활성화 되었고 제도권 곁과 밖에서도 다양한 대안학교가 활발히 운영되었다. 대안학교의 성격과 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처음 제도권 안으로 대안학교가 들어갔을 때 대부분의 특성화고등학교는 부적응 학생이나 문제아가 다니는 곳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대안교육이 실행되어 오면서 대안 교육은 좋은 환경과 교육내용, 학생의 적성과 진학을 위한 교육의 세 주체 즉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최상의 선택이요 바람직한 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의 열망의 산물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제 사회적 필요에 의해 다양한 이념을 가진 대안학교들은 우후죽순처럼 곳곳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처럼 대안교육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 속에 대안학교의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태동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안교육의 역사, 이념,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의 실태를 파악하는 광의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안학교에서 행해지는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는 2000년이 되어서야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나마 교과교육에 관한 연구는수학이나 예체능 관련 분야의 논문만 몇 편씩 나와 있고 타 교과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국어나 국사와 같은 주요 과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현재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어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내용을 공유하고 국어교육 본래의 이상과 이념을 실현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와 더불어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실태를 파악해 부족하고 미흡한 점은 보충하고, 발견된 문제점은 대책을 마련해 발전 방향을 제시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5년 현재 인가된 대안학교와 미인가 대안학교에 설문지를 E-mail로 의뢰하였다. 이 중 인가된 대안학교 7개교(간디고등학교, 경주화랑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지리산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와 미인가 대안학교 4개교(꿈꾸는 아이들의 학교, 성미산 학교, 전원학교 새벽나래,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의 국어교사가 작성한 설문지를 회수(회수율 68.75%)해 문항별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기초 자료 조사에 대한 문항이 3문항, 교사 현황에 대한 문항이 10문항, 근무 환경에 대한 문항이 6문항, 국어교육의 운용 체제에 대한 문항이 9문항으로 전체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28문항 중 단답형 문항은 11문항이며 서술형 문항은 17문항이다. 회수된 설문지 중 단답형 질문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서술형 질문은 요약·정리해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된 자료를 종합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대안학교 국어 교사에 관한 것으로 국어교사 중 50% 이상이 5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지고 있었고 대안학교에 근무하면서 93.3%의 교사가 교육 대학원이나 연수, 국어과 교사 모임, 기타 대안학교 관련 및 상담 관련의 다양한 강좌를 들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대안학교 교사들이 끊임없이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안학교를 지원한 동기와 대안학교에 근무하면서 느끼는 자부심에 대한 교사들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대안학교 교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있었고 대안학교의 이념과 철학에 부합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위기감과 자괴감을 묻는 질문에서는 자신의 열정이 식고 타성이나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을 우려하는 자아 성찰 답변과 열악한 근무조건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답변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교사의 근무 환경에 관한 답변을 분석한 결과 국어과를 담당하는 교사의 인적자원 지원의 확대를 원하는 답변이 많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어과 외의 학교 제반 업무와 타 교과까지 지도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개인 연구 및 학생과 피드백 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이는 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보완책으로 과도한 업무 분산과 담당교사 보충이라는 응답이 61.5%로 집계되면서 교사들 자체적으로도 이러한 현실적 근무 환경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어교육의 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보통교과로의 국어과목 중 선택과목으로 문학이나 독서, 작문과 같이 교과서 위주의 수업보다는 생활 속에 필요한 과목을 개설해 교육하고 있었다. 또한 국어 수업 시간이 많았고 선택과목 중 문학 과목은 기준단위보다 높은 단위를 학교 자체적으로 채택해 교육하고 있었다. 이는 국어 과목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다. 국어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는 매우 다양한 교과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었는데 개설 과목을 종합해 분류한 결과 특성화 교과 대부분이 글쓰기, 독서, 발표력 향상에 관련된 과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안학교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국어를 정확하게 이해하며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이라는 국어과 교육의 이상적 목표에 부합된 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위해 조사하고 분석하면서 얻어진 결론을 통해 대안학교에서의 국어 교육의 발전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는 대안학교의 인적 자원의 확대와 교육 환경을 안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속적인 재정 지원의 확보를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의 관심과 협조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로 대안학교 교사들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일반 제도권 교사들과의 만남과 정보 교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국어교육에 국한된 요청이 아닌 대안교육 전반에 대한 확고한 인프라 구축과 발전을 위한 제언이다. 마지막으로 대안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겠다. 특히 현재 대안학교에 관련된 모든 논문이 특성화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미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때 진정한 대안교육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it reached mid-1990s, in our society, the education-right recovery movement was actively developed with the reflection of existing education. Although a practice pursuing new educ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had already been tried long before, it was after 1990s that the real discussion about the alternative education started. When humanity oriented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legislated in 1997, the alternative education was activated in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various alternative schools were actively operated as well out of the systematic education. There was a lot of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and recognition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When the alternative schools firstly entered into the systematic education most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recognized as a place for maladjustment or problem children. But having been practiced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education, it was realized that it was the product of ardent wish of the people who wanted desirable education, and the best selection of the tree subjects which are teacher, student and parents of the education, for entering upon studies and aptitude of the students, and good environment and contents. Now by a social necessity, alternative schools with various ideas have spread here and there like bamboo shoots after rain. Like this way, in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from the fatal movement to present time, as the importance of the alternative schools rose to the surface, wide sense of researches which grasp history, idea, curriculum and environ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al discussion for the studies about the subject education done in the alternative schools barely began by 2000. Even so the studies about subject education were some part of thesis which related mathematics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actual condition on the studies about other subjects are hardly accomplished. Among them, studies about important subjects like Korean language or history are wholly lacking. In this present circumstance, this study set its purpose on shar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realizing the original goal and the idea of the alternative school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about Korean education which are done in present alternative schools. Together with this, it also set its purpose on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which were discovered during the study and guiding the applicable ways to develop the Korean educa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s. For this purpose, some questionnaires were requested to the approved and unapproved alternative schools as of 2005 through e-mail. Among them, the returned papers (collection ratio : 68.75%) from the Korean teachers of the approved 7 schools (Ghandi high school, Gyungju Hwarang high school, Dalgubeol high school, Dure natural high school, Sanmaul high school, Jirisan high school, Hanbit high school) and the unapproved 4 schools ( Dreaming kid's school, Sungmisan school, Awaken the dawn school, Poolmoo agricultural school ) were analyzed and arranged by the question item. The contents of the total 28 questionnaires are 3 items about basic data inquiry, 10 items about present condition of teachers, 6 items about working circumstances, 9 items about Korean education operating system. Among 28 items, short answer type is 11 and description type is 17. From the returned question papers, the short question type was arrang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escription type is analyzed through summery and arrangement. The conclusion which acquired form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is as below. First, regarding the Korean teachers of the alternative schools, more than 50% of the teachers have teaching experience over 5 years and 93.3% of them are member of master course, Korean teachers association or various lecturing program concerning alternative schools or consulting institutes, showing that most teachers are making effort to develop themselves at all times. And by analyzing the answers concerning the motive to volunteer and the pride that they have, most of the teachers have the pride of being teachers of the alternative schools and the sense of value that coincides the idea and philosophy of the alternative schools. On the contrary, regarding the questions about sense of crisis and shame, the main current of the answers were self-awareness worrying mannerism and diminishing passion and about bad working condition and unstabl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teachers, there are many schools that wanted more human resources of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subject and it was realized that most teachers had not enough time for feedback from the students because of general affairs which are not connected to their subject. This shows that the most necessary supp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is break-up of the overwhelming work and recruiting more human resources, which was the 61.5% of the answers, and most of them hoped that their present working conditions to be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among the general Korean subjects, literature, reading or composition is preferred, which are necessary in common daily life. And not only that the classes are many but also literature subject is being taught more than the standard level. This shows that Korean subject takes a lot of proportion as a matter of fact. Specialized subject concerning Korean subject are operated in various ways which analyzed that they are connected to writing, reading and developing presentation. This shows that the alternative schools are practicing the education which complied with the object of the education law that try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appreciation and usage of Korean subject correctly in daily life. Finally,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is study, it produces a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First, it requests cooperation for financial aid from the municip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 use of human resources and renovation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cond, it suggests that the informative exchange between the teachers of both schools is needed to construct stable infra structure. Finally, multi dimensional studies about Korean subject education of alternative schools are needed and as the thesis regarding Korean subject are mostly about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study include unapproved alternative schools.

      • 디렉터를 利用한 멀티미디어 補助學習시스템의 設計 및 具現

        황선종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컴퓨터의 발달은 기존의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교수·학습에서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회과는 사회 전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교과 과목이기 때문에 단순한 이론의 주입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현재 및 과거에 일어난 사건의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여 폭넓은 경험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교육 개혁도 수업 방법의 개별화를 지향하고 있다. 개별화 수업이 추구하는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최적의 학습 조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고, 따라서 학생들이 개인의 능력에 따라 자연스럽게 완전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지적 욕망을 충족시키고 나아가 민주 시민으로서 자질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등학교 공통사회(단원 Ⅰ, Ⅱ)의 내용을 개별화 학습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중점을 두고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설계 및 구현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CAI와 학습이론·학습형태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사회 교과 관련 멀티미디어 요소를 추출·분석하여 디렉터로 타이틀을 구현하였다. 본 타이틀은 각 단원을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도우미, 탐구과제, 동영상, 슬라이드, 형성평가로 구분되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각종 문자, 음성, 영상,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과 같은 여러 매체들을 병합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학생 수준에 맞게 수준별로 구성하여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개별화 학습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makes individual studies possible, fading teacher-centered learning method. As soci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covers the whole field of society, it is learned not by over feeding some theories but by showing the various materials through multimedia which make understand the backgrounds of the present and the past events. Also, educational reformation aims at individual studies which intend to give each students the optimal circumstances. And we need to develop learning program in order to help each student be satisfied with his work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grow as a democratic citizen. In this thesis we design and implement Multimedia Assisted Learning System which models a topic in high school textbook, focusing on individual studies and self-leading studies. We now examine multimedia, the educational use of it, authority tool, CAI, Learning theories and methods. On the basis of this, we implement multimedia title by extracting and analyzing multimedia factors concerned with subject. The title which unifies various kinds of multimedia data - texts, animation, moving pictures, vision and sound -consists of objects, contents, helpers, inquiry assignment, moving pictures, slidefilm, formative test in each topic. And it has multi-leveled steps according to student's ability.

      •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 연구

        최금란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education by ICT utilization unifies ICT into the curriculum for achieving the aim of teaching·learning in each subject most effectively. And it utilizes ICT as educational media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learning and the daily life on a basis of capabilities of basic information attainments. It can supply great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by using ICT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promote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lso, the learners choose the aim of learning and the proper strategy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can extend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supplying in order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result of learning on their own initia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cessity of ICT educ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for groping for a plan for extend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education by ICT utilization in the class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to suggest a plan for extend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developing a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patterns and by applying it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8 ICT utilization instruc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environment in the teaching·learning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the chapter 1, it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research through the necessity and aim of ICT utilization educ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prerequisite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related to this study, supply instrument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by media. In the chapter 2, it i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education of ICT utiliza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it needs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in the teaching·leaning process and the relation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the ICT utilization.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theoretical contents and the curriculum about the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by the grade about the character of Korean language and the education of ICT utilization. In the chapter 3, it i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atterns and models for ICT utilization.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8 concepts of teaching·learning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procedure for proceeding the teaching·learning about each pattern like searching the information, analyzing it, guiding it, discussing the web, researching the cooperation, communicating with the experts, making a pan pal in the web, making the information.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examine the teaching·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ICT utilization by dividing into the teaching· 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considered as general teaching·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shape of classroom. Also, as for the shape of classroom, it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of 1 PC per 1 student in the general classroom, 1 PC per 6 students in the gathered classroom, 1 PC per 1 student in the computer classroom. In the chapter 4, it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odel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apply it.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teaching·learning pattern appropriate to the aim and contents in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suggest a plan for the utilization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about the 8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in order to make a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lso, in the paragraph 3, it is to apply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the 2nd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8 teaching·learning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utilization by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general classroom,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gathered classroom, and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computer classroom. In addition, in the paragraph 3, it is to apply to this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and to examine the students' consciousness research whether it affects the extension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r not. As a result of it, it presented that the students became gradually improved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e frequency of utilizing the learning materials, the degree of interest, and it was very helpful to the extension o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after school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is study has great meanings in the point that it made the students extend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the flow of the times that the utilization of ICT is positively recommended preparing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CT 활용 교육이란 각 교과의 교수·학습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ICT를 교과 과정에 통합시켜, 기본적인 정보 소양 능력을 바탕으로 학습 및 일상 생활의 문제해결에 교육적 매체로써 ICT을 활용하는 교육이다. 국어교과에서는 ICT를 활용함으로써 풍부하면서도 다양한 학습 자료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촉진하며,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의 목표 및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정하고,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신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어교과 수업에서의 ICT의 활용 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교과에서의 ICT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2학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 전 영역을 차시별로 8가지 ICT 활용 수업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 수업환경에 따른 ICT 활용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에서는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본 연구와 관련된 용어 정의와 ICT 활용 지원 도구 및 매체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절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필요성과 ICT 활용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국어교과 교육에서 교과 성격과 관련하여 ICT 활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2학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 전 영역을 차시별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을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과 교수·학습 모형 적용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1절에서는 정보 탐색하기, 정보 분석하기, 정보 안내하기, 웹 토론하기, 협력 연구하기, 전문가와 교류하기, 웹 펜팔하기, 정보 만들기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의 개념과 각 유형별 교수·학습 진행 절차, 국어교과에서의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수업환경를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수업환경을 일반교실은 1실 1PC 환경, 모둠교실은 6인 1PC 환경, 컴퓨터교실은 1인 1PC환경으로 구분하여 교수·학습 활동 과정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국어교과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1절에서는 국어교과 목표와 내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유형을 알아보고 2절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기 위하여 고려할 점을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를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을 수업환경에 따라 일반교실에서의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 모둠교실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 컴퓨터교실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4절에서는 본 ICT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해보고 국어교과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학생과 교사의 의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대비하여 제7차 교육과정 시행과 ICT 활용이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려고 노력한 점에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한 硏究

        오송남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이해하고 진로상담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진로성숙도(태도, 능력)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지도 방법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한다. 둘째,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셋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태도, 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내에 소재하는 4개 중학교 2학년 8개 학급 260명의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로는 Coopersmith(1967)가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는 한국 교육 개발원(1991)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는 각 학생의 2002학년도 1학기말 고사 성적 가운데 학년 석차 상위 1/3을 상집단, 하위1/3을 하집단, 그 나머지를 중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 수준 상, 중, 하의 각각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변량분석 결과 유의한 차를 나타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와의 상관관계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자, 여자로 나누어서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성별에 따른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로 나누어서 자아존중감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성별에 따른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태도, 능력)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진로성숙도(태도, 능력)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나 학부모는 학생 스스로 자기 가치감을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자기존중의식을 고취시킴은 물론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한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성숙도(능력)가 더 성숙하였다. 즉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직업세계, 직업선택, 의사결정에 있어서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이 진로성숙도(태도)의 독립성, 결정성에서는 더 성숙하지는 않았지만, 결정성에서는 더 성숙하였다. 이는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이 더 성숙한 진로성숙도(태도)를 발달시키는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태도, 능력)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여 주어 여학생이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에 더 성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태도, 능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진로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진로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남녀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남, 여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에 대한 남, 여간 차이가 없으며, 비슷한 자아존중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 교육이 보다 유능하고 생산적인 사회인, 직업인을 키우고 자기의 삶에 만족과 보람을 느끼며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을 키우기 위해서는 진로교육이 필요하므로 중학교 수준에서 올바른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세계를 조기에 발견하여 자신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ffer specific and practical data available to school counseling aimed at understanding the students and giving them career guidance, and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method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will the self esteem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reer maturity(attitude, ability)? Second, will the academic achievement affect on the career maturity? Third, will sex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reer maturity(attitude, ability) or self 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0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eight classe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Jeonju, Jeollabukdo province. Self-Esteem inventory presented by Coopersmith(1967)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ang Jong gu(1986) was used as framework to measure the self esteem. The device developed by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1)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career maturity. As data of academic achievement, the first term marks of each student were used and the students were grouped by their ranks; 1/3 from the upper ranks belonged to the advanced group, 1/3 from the lower ranks was the lower group, and the rest of them , the intermediate group.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the career maturity by self 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value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var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Post verification was done to distinguish each group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s. An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career maturity(attitude, ability) was found. To reveal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the value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found separately. And the analysis on the variation value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The above process was adapted equally to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lf 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attitude, ability) got higher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self esteem. It means that the self esteem has a great affect on the career maturity. Therefore, for increasing the career maturity, teachers or parents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have positive self esteem and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pply it to attain the goal. Second, the research data revealed that the career maturity rose in proportion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the students who ge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re tend to have reasonable decision on their choosing of profession.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ose who are immature in the area of the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attitude) were mature in the area of decision. This show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have indirect a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attitude).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middle school girls were maturer that middle school boys in the field of career maturity(attitude, ability). They scored higher marks in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herefore, sex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or performing the career educ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field of self esteem. In conclusion, the career education is needed to educate the students to be members of society who are capable for the jobs, voluntarily help others, and can be satisfied with their own lives. Therefore, systematic career education meets the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done. Through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mselves clearly and find suitable job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 중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진로의식 연구 연구대처방안

        채규상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21세기의 사회환경은 세계화, 개방화, 자동화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사회의 조직과 직업이 점차 복잡하여 진로선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그로 인한 급격한 기술과 변화는 직업을 갖기 위한 전문적인 훈련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급격한 사회변화에 신속한 적응을 요구하는 경향이 가속화되고 있다. 중학교 학생은 제 2의 탄생이라고 하는 자아정체감 형성기이다. 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 중에는 진로문제에 관한 비중이 대단히 크다. 각급 학교는 청소년기의 성장단계에 맞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해야 학생들의 진로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래야 학교가 학생 개인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사회적으로도 건강한 사회를 이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과 교사의 진로의식과 중학교 현장의 진로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을 중학생의 진로의식과 진로교육 실태에 관한 문제, 교사의 진로의식과 진로교육에 임하는 태도에 관한 문제,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방안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설문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2종의 설문지를 작성, 전북지역의 8개 중학교 학생 370명과 11개 중학교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배부 회수하여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학생들은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학교의 진로교육에 대하여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그 이유는 진로정보 자료의 부족이나 학교의 무관심으로 나타났다. 학생 자신의 적성 인식과 진로목표 설정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생활수준이 낮은 학생보다는 높은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직업선택 의식에서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서 직업의 귀천과 남녀의 직업차별에 반대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생의 진로 선택의 방해요인으로 학업성적에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고, 학생의 진로결정에 학교나 교사가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진로교육의 태도에 대다수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교육의 실태에서 비교적 낮은 반응이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의 교사보다는 농촌지역의 교사가 또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더 적극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에 대한 이해 측면을 살펴보면 진로교육을 진로선택 능력의 신장,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진로 탐색이라고 다수의 교사가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위치와 기능을 교과 속에 포함되는 활동의 위치와 기능으로 보았고, 진로교육의 시작단계로서 중학교에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고, 교과서의 진로탐색 정도가 미흡하다는 응답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중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진로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첫째로, 진로교육은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깊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안하여 학생들에게 투입해야 하겠다. 둘째로, 학생에 대한 진로상담은 상담교사 뿐만 아니라 담임교사, 교과담당교사 등 전교사가 적극적으로 진로상담에 임해야 하겠다. 셋째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 탐색과 진로목표 설정에 깊은 관심을 갖고 학교와 교사가 많은 정보를 공급하도록 요구해야 하겠고, 학업성적이 진로선택의 중요한 장해요인임을 인식하고 기본적인 학력신장을 위해서 노력하는 태도를 보여야 하겠다. 넷째로, 학교현장에서 진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진로지도 능력 신장을 위한 각종 연수를 강화하고 학교 및 관련단체에서는 진로관련 각종행사를 활성화해야 하겠다. 그럼으로써, 중학교 과정에서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교육은 학생들이 바람직한 진로의식을 갖고 장차 사회에 진출했을 때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 선택을 통하여 행복한 일생을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가장 중요하고 보람있는 교육이 될 것이다. 1. Purpose of Research It is to grasp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areer awareness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The specific aims are as follows : 1) To clarify the realities of career education 2) To analyze the rea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variations. 3) To offer the referential data for directions of career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2. Method The sample was chosen total 519; 304 middle school students are from the cities and from rural areas, 215 teachers were chosen from the cities and rural areas in Jeon-buk Territory. In order to analyze the response to each question, frequence and percentage were computed. To see the sexual, regional and variational differences, Chi-square was used in analyzing the results. The questionnaires were prossed by the program called Spss pc+. 3.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showed that students are feeling much need of career course education. However, they don't hav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because of the insufficient opportunity to have good career education. Second, it showed that in the career awareness, they are very interested in career guidance for themselves but they didn't know well their aptitude for themselves. Third, most of the teachers think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instruct their students and they show their positive attitude for the career education at school. The teachers from rural and male teachers are instructing the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better than the teachers from the city and female. 4.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feeling much needs of career guidance and they are also interested in career education. But it appeared that they didn't have good career education from their school. The school and teachers should try to instruct good career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try to find their aptitude and talents and perceive the career education as an curriculum. They also must ask career information and instruction of teachers and their schools. Third, most of the teachers as well as counseling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the career education to their students and try to improve the skill of career guidance. Schools and communities should try to career camp and various kinds of events concerned with career education for the adolescence.

      • 전북지역 고교생의 인터넷 활용실태에 대한 연구

        이선민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과 관련된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인터넷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전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2개교의 고등학교 학생 1,350명이었다. 인터넷 활용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문항구성은 학생의 일상생활, 인터넷의 이용환경, 사용경험, 사용습관, 교육적 활용 현황의 차이로 나누었다. 분석방법은 응답자의 배경특성을 학교급별, 성별, 거주지역별, 성적수준별, 가정생활 정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pc^(+)10.0 프로그램을 이용, 문항내용과 분석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각 배경 변인에 따른 반응상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χ² (chi-square)검증과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 test)을 통한 평균차와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프라구축이 미흡한 학교나 저소득층 가정의 문화 불평등의 해소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능동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교육주체들의 교수-학습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교사는 창의적인 인터넷 교육 자료의 개발과 인터넷 활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학생은 스스로 절제 및 통제 능력을 길러 건전한 인터넷 게임문화를 창출하고 교과학습발달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부모는 인터넷이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자녀와의 동질성을 유지시켜 대화의 단절을 미연에 방지, 해소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 사회 및 환경 : 청소년들의 여가 활용을 위한 개방된 장소나 놀이문화의 장이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실질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통해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 및 인터넷 중독 대처요령 습득으로 건전한 인터넷 문화의 정착이 필요하며,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 인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주기적인 진단 및 치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학교에는 전문 상담교사가 배치된 상담실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유해정보 접속차단 프로그램 설치를 의무화하여 청소년 보호를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으로 한정된 설문조사로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인터넷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개발과 올바른 인터넷 이용 교육을 위한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및 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way to use the Internet. The resource of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examining the quality of students' access to computers and understanding problems of their frequent Internet use. The subjects of examination were 1,235 students of twelve different high schools in Jeon Buk province. The written inquiries on the Internet use were the main sources of the information. The topics on the inquiry were how the everyday life of the students are affected by sex, educational level and goals, communities, and students' standard of living,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condition of access to the Internet, experience and habit of Internet use, and educational usage of the Internet.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inancial support for low-income families and public schools without infra-network system is constantly needed. Second, outdated teaching skills at school should be reformed to drive students' creativity and independence on line. On-line-based educational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by teachers to increase students' ability to use the Internet in appropriate ways. Students' self-restraint and moderation of excessive internet games, media, web messengers, or any kind of web services can refurbish the teen culture and maximize advantage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on the internet. Parents ought to learn the Internet technology at suitable times to be more communicative with their children. Public place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diverse events other than aimless Internet use for students are needed especially in Korea. Third, Education of actual communication rules and etiquettes on line can prevent abusive language on the Internet and addiction of Internet. The students need to learn how to face and solve those problems before they panic. School counseling program and special advisors for Internet use will help those seeking guidance. Software that blocks harmful web sites should be mandatory for schools. One cannot generalize these results as the sample area was limited to the Jeon Buk province. Successive investigation of flexible instruction-learning models on the Internet will bring students' recognition of Internet as a sound educational method.

      • 公敎育과 私敎育의 調和로운 發展을 위한 硏究

        김종철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이지만 그 나라의 국력을 대변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국민들의 교육수준이다. 이처럼 중요한 교육이 우리나라에서는 과거나 지금이나 지속적으로 좀 더 발전된 개선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수차례 시행착오를 겪어 왔다. 특히 교육정책면에서 더욱 그러하다. 갈수록 학교 교육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급격한 사회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요청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존의 학교교육 체제를 보완해 주고 지원해 주는 차원에서 현존 학원 교육과 학교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래서 학원 교육과 학교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 방안을 모색한 결과 학교 교육의 보편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고 개인적 성정과 사회적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서 사설 학원 교육의 순기능을 신장시키고 역기능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 오늘의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래서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는 과연 무엇이며 현 실태는 또 어떠하며 해결방안은 없는가? 한번 짚고 넘어갈까 한다. 즉 공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또한 사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의 현실을 짚어보고, 공교육과는 반대로 갈수록 번창하는 사교육 문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외국의 사례와 비교를 통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조화로운 발전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학교교육과 학원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학교교육의 기능과 한계를 규명하고 학원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분석하여 학교교육과 학원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중·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실태와 교육적 활용방안

        정은숙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우리 사회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로 인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정보화와 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지식기반사회의 역사적 대전환기에 서 있다. 이러한 역사적 대전환기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이며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기본 요건이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이 이용자의 ‘무작위성이나 익명성’ 때문에 반도덕적, 반사회적 정보로 이용되어 사회적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년들로 하여금 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작용의 위험성을 인식시키고, 인터넷을 건전하고 유익하게 사용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원지역의 중·고등학생들이 어떻게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문제는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을 보다 건전하게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현재 남원지역 중·고등학교(중학교 5개교, 고등학교 7개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터넷 이용 환경과 이용 경험, 이용 습관, 교육적 활용 현황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및 문제점으로는 실업고와 읍··면지역의 인터넷 이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실태 미흡, 게임, 채팅 등의 과다한 이용, 무분별한 음란물 사이트 접속, 유해한 요소가 있는 PC방의 잦은 이용, 잘못된 이용습관으로 인한 학습장애, 학습사이트 활용 부진, 인터넷 이용에 대한 교육과 지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부모의 인터넷 이용 교육을 확대·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해정보 접속 차단 소프트웨어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 계층 내부의 인터넷 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 넷째, 건전한 PC방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다섯째, 인터넷의 올바른 이용을 위한 교육시간을 교육과정에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에 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또래 집단 모임을 활성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시설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교육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된다. Today, our society has been changed regarding information based on knowledge. We stands at a turning point in history because of our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and globalism. In this turning point in history, our ability in using the Internet is very necessary for modern people and is the most indispensable tool used by the modern society. However, Internet has been used as an anti-moral and anti-social sources of information because of the randomness and anonymity of the user and there are social reverse-functions. Therefore, the necessity of guidance is required that recognizes for adolescents the dangerous side effects that occur from using the Internet; these guidelines should help them to use the Internet in a healthful and useful mann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observe how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Nam-Won use the Internet, and the problems that occur, and how to grope the plans which use Internet more educational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Nam-Won(5 middle schools and 7 high schools). The study used questionnaires on the environment of using Internet, using experience, using habit, and educational application stat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It analyzed statistics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show problems in lacking infra-construction conditions, abuse of games and chatting, indiscrete access the obscene sites, frequent visit to the PC room which has harmful factors, such as learning disorders caused by poor using habits, not using educational sites, and the lack of the education and guidance about Internet use.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for solving these problems are: first, education for patents' Internet use has to be extended and enforced; second, installation of the harmful information access intercept software should be an obligation; third, inequality of internet use in the adolescent group has to be solved; fourth, a healthy PC room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fifth, some hours for the right use of Internet should be in the curriculum; sixth, a professional advisor should be dispatched in school and the group meeting of that age should be activated; seventh, financial support for the facilities an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needed for activating the class using the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