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사회의 자연재해 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 2010년 아이티 지진을 중심으로

        강성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87

        국문 요약 국제사회의 자연재해 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2010년 아이티 지진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역개발학 전공 강 성 주 한국의 OECD/DAC 가입 직후 2010년 1월 중미·카리브해 아이티에서 수십만 명이 사망하는 대지진이 발생하였다. 한국은 원조 수혜국에서 최초로 국제사회의 공여국 일원으로 지진재해 대응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신흥 원조 공여국인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대형참사 발생 시 원조 공여국들의 국가이익과 국제공조라는 대의명분 사이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대응체제에 관한 사례 연구를 축적하고 향후 국제사회의 자연재해 발생 시 바람직한 대응체제 수립 논의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당시의 국제공조는 인도적 긴급구호 문제와 더불어 아이티 재건계획 수립 및 이행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국제협력은 아이티의 원조 수용정책과 원조 공여국들의 대외원조정책, 그리고 양자 사이를 조정하는 UN 중심의 국제기구의 지원역할을 기반으로 한 3자 간 협력의 과정이요 산물이었다. 아이티의 자연적·인문적 조건 분석을 통해 아이티의 원조 수용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주인의식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지리적 근접성, 역사·문화적 관계, 지역 패권국 관계, 경제적 이해관계 등 4가지 구분 항목을 통해 미국, 도미니카공화국, 캐나다, 프랑스, 스페인, 브라질, 베네수엘라, 대한민국 등 8개 원조 공여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후, 공여액, 범정부적 조치, 서비스 정책, 글로벌경제가치사슬이라는 4개의 요소를 기준으로 이들 각국의 원조 대응방식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아이티와 원조 공여국 간 조정역할을 담당했던 국제기구가 UN을 중심으로 어떤 이니시어티브를 취했는지 검토하였다. 상기 분석을 토대로 종합한 국제사회의 대응체제는 아이티 지진 발생 이전부터 구축되기 시작한 UN 중심의 파트너십 활동에 따른 아이티 발전전략에 대한 사전 공감대 형성과, 재난 이후 UN 주도 하의 구호기금 모금과 공단조성을 추진하려는 적극적인 국제협력 체제 구축으로 요약된다. 하지만 이 체제는 재해 당사국 아이티가 가진 내생적 한계인 주인의식 문제까지는 극복하지 못했었다. 아이티 재건 문제는 인접국을 단일 경제권으로 바라보는 개발전략과 농촌지역개발사업과 같은 장기적인 비전을 가진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재검토되어야 한다. 향후 자연재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체제는 UN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재해를 입은 국가의 우방국과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민간단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또한 일자리 창출 및 전력생산 등 평소 재해지역 현장이 요구하는 프로젝트들은 국제공공재로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려는 국제사회의 협력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아이티 대지진과 관련한 국제공조 사례를 검토한 것으로 일반화와 관련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키워드: 아이티, 2010아이티지진. 국제개발협력, 국제공조, 자연재해, 원조 공여국, UN

      •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홍성옥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홍 성 옥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주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업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장애인복지관 총 180개 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방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총 355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직무스트레스, 업무환경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일일 근무시간이 전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에 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복지관의 업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사이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직 내 업무환경을 인식하는 수준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조직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다루어야 할 분야임을 인식하며, 향후 복지 분야별 직무관련 연구 및 사회복지사들의 처우문제, 환경, 역량 강화 등의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내에서 원활히 해소되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연구, 프로그램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Who Work for Rehabilitation Centers Hong, Sung ok Major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Policy Gach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social workers who work for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is research, mail survey was made by social workers who work in 180 rehabilitation centers, and 355 sets of questionnaire were analyzed. Questionnaire sheet consists of demographic-social elements,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level of social workers in rehabilitation centers is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Second, the elements tha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ocial workers' job stress who work or rehabilitation centers are gender, and work hours. Other elements influence lower variables of job stress. Third, Working environment of rehabilitation centers have a very meaningful effect on social workers' job stress, and this means that as they recognize their working environment within their organization less, they get stress 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me to recognize we should approach and handle job stress in the respect of organization. From now on in every field of social welfare, research about work study, treatment problems, working environment, empowerment and so on should be accomplished, and in the result, various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grams ought to be made in order to get rid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inside the organization.

      •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김은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초록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김 은 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지도교수 남 현 주 우리나라의 학교상담의 시작은 1952년부터 1962년까지 세차례에 걸쳐 한국을 방문한 교육사절단(UNESCO-UNKRA)의 활동에서부터 시작, 교도교사제도를 거쳐 전문상담교사제도, Wee Project의 전문상담교사제도로 발전되어 왔다. 학교상담은 종래의 훈육에 의한 반성과 도의교육이 강화가 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추진되고 있는 Wee Project는 학교안전통합시스템으로서 지역사회의 유관기관 및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위기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교사회복지의 도입은 1993년 4월부터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은평구 수색초등학교와 연계하여 주1회씩 총 12회에 걸쳐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을 들 수 있다. 본격적으로 학교 상주형 사회복지사가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97년 교육부의 ‘학교사회복지 시범연구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시범사업은 학교라는 교육체계 안에서 사회복지사를 파견, 배치하여 학교-가족-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복지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양극화, 가족기능의 약화 등으로 말미암은 사회적 통합의 위기를 인식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되어 빈곤 아동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실시한 교육정책 가운데 교육 불평등 해소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정책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과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공통적 안고 있는 문제, 즉 자격제도 및 양성과정의 문제, 역할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 인식 및 처우에 대한 문제점, 법적 근거부족으로 인한 지원체제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규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사는 예방적 차원의 접근을 학교사회복지사는 문제해결적 접근을 해야 한다. 학교상담사는 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건강과 학습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학생 개인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학교상담사가, 환경적인 문제로 발생한 문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해결해야 한다. 학생 개인적인 정서적 상황이나 기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은 학교상담사가 담당하고 학생 주변의 환경으로부터 발생한 문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 학교 체제내에서 담임의 역할은 사정단계에서 머물러야 하며, 보다 전문적인 해결은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담당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문제를 보다 전문적이고 세분화하여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교 내에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 하며 학교 각 상황에 맞는 전문가를 학교에 배치하여야 한다. 학교 상황에 필요한 전문가의 욕구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학교의 상황에 맞는 전문가가 배치되어야 한다.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함께 활동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지역 및 학교의 여건상 두 전문직이 파견되어 근무하고 있는 학교는 전무하며, 수행하는 역할 또한 명확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전문직교사 한명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학교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에 대한 명확한 역할 규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전문가 조직의 긴밀한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의 탄력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와 지역상황에 맞는 전문인력이 배치되기 위해서는 욕구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폐쇄되어 있는 학교 공간이 열린 공간이 되어 학교 밖의 다양한 아동·청소년 복지정책과 연계되어야 한다.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려면 일반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는 교과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학교폭력이 저연령화 되어가고 있음으로 인해 중고등학교위주로 배치되어 있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초등학교에도 배치되어 예방적 차원의 문제해결을 해야한다.

      •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강구수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 강 구 수 지도교수 이 영 균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광주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보육교사의 삶의 질의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의 현실을 이해 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응답자의 응답 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기하기 위해 자기 평가기입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수거는 역순으로 진행 되었다. 2012년 4월 1일부터 2012년 4월 30일 사이 조사를 실시하여 총 230부중 데이터 코딩을 거친 201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보육교사의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의 영향력을 알아보면, 일상생활 심리영역 사회영역 주거환경이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생활, 심리영역, 사회영역, 주거환경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도 높아진다고 볼 수가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면, 보육교사의 연령에서는 40대가 많았고 기혼으로 자녀는 2명 이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전문대가 가장 많았다. 월수입에서는 139만원 미만과 140-150만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은 보육교사 1급이 가장 많았고 경력에서는 2년 이하가 많았고 근무시간에서는 평균 10-11시간이 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교사의 선택 동기에서는 자신의 가치관에 맞아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삶의 질이나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여가시간만족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외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교사의 평균나이가 40대 이상이 가장 많다는 것과 기혼에 자녀수가 2명 이상인 교사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하루 10시간 이상의 근무시간과 일에 비하여 낮은 급여와 보육교사의 경력이 2년 이하가 가장 많다는 것이 여가시간의 만족도가 낮게 나온 이유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서 한 가정의 어머니이자 교사로서 가족의 행복과 자신들의 삶을 사회적으로 당당하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보다 많은 사회참여 활동은 보육교사의 생활만족도를 높여 줄 것이며, 건전한 여가활동에 참여가 높아져야 할 것이다. 보육교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Daycare Teachers -focused on Gwangju, Gyunggido- Kang, Gu Su Directed By Prof. Lee, Youngky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Policy Gach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daycare teachers through analyz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care teachers and workers who work for day-care centers in Gwangju, Gyunggido. Survey was made by self-assessment recording to have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hey were collected in reverse order. Survey was made from April 1, 2012 to April, 30, 2012, and among total 230 sets of questionnaire, 201sets which went through data coding were used as research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ver 12.0.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f daycare teachers and life satisfaction? Daily life, mental area, social area, and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s daily life, mental area, social area and residential environment get better, their life satisfaction gets higher. Secondly, the result of daycare teachers' individual traits and job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Most daycare teachers are in their forties, married, and have two children. They have college diploma. In their monthly income, below \1,390,000 and between \1,400,000 and 1,500,000 are most common. As for licenses, they have first degree most and in their work experience they have most commonly worked less than 2 years and they work for 10 to 11 hours on average. Motive of choosing their job has turned out to be because their job fits their individual values.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day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has turned out to be the lowest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time. Others does not have meaningful difference. Overall, teachers are most commonly more than 40 years old and the rate of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 children is high. Their work hour is more than 10 hours and they get less paid compared with work hours. Most teachers have less than 2 year work experience. I conclude those things seem to be related to the reason of low satisfaction of leisure. To make day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improve will make them have pride to work proudly in a society as a mother of home and a teacher for happiness of their family and their lives. Activiti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will make their life satisfaction higher and they should join sound leisure activity more ofte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day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needs to be done.

      •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실태연구 : 대학의 운영.관리를 중심으로

        남경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사회봉사활동 관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6단계로 세분화 해서 살펴보았으며 사회봉사활성화를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의 운영과정을 중심으로는 첫째,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조직이, 둘째, 사회봉사프로그램 계획 및 업 무설계가, 셋째, 사회봉사를 필수로 하는 모집활동의 활성화, 넷째, 학생들 의 적성과 욕구파악을 위한 성향검사를 활용한 면접과정, 다섯째, 상대평 가보다는 절대평가나 Pass/Fail 과목으로 학생들의 선호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과 훈련, 여섯째, 다양한 사회봉사 프로그램 진행 및 평가채널을 통한 지도감독 및 평가 등이 활성화 되고, 마지막으로 사회봉사 이수자들 에게 다양한 봉사방법을 개발하여 인정과 보상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사회봉사활동의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전담인력의 확충과 예산지원을 위한 정책결정권자의 인식개선, 둘 째 자원봉사 현장과 봉사학습으로 연계된 사회봉사활동의 제도화, 셋째 대학생 사회봉사활동 인센티브제도 강화, 넷째 대학평가인증의 사회봉사 평가영역의 질 평가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장애인 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하영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 초록 장애인 거주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은 장애인들과 함께 거주하면서 장애인의 폭언, 폭행상황에 노출되고 있고 이러한 상황을 견뎌내야 되는 어려움 등의 장기간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쉽고, 이는 곧 소진으로 이어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직무만족도에 따라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도에 따라서 장애인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어 장애인들에게 질적이고 양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생활지도원 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일 예비조사를 한 후, 설문지의 내용을 수정하여 경기도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316개소 장애인 거주시설 중 본 연구에 협조한 15개소 생활지도원 23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서 수집한 설문지는 SPSS for windows ver.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환경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환경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무환경 특성 응답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51.9%) 연령은 “20세~29세”(38.4%), 학력은 “대학졸업”(60.3%), 전공은 “사회복지 전공”(94.9%),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30.4%), 이직경험은 “없다”(55.7%). 가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의 직무환경 특성에서 보수는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39.7%), 시설형태는 “장애유형별 거주시설”(35.4%), 담당 장애인 수는 “6명~10명”(60.8%), 근무형태는 “2교대”(65.8%), 시설선택 동기는 “전공을 살리기 위해”(42.6%), 사회적 인정은 “아니다”(30.8%)가 가장 많았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직무만족도 첫째, 보수 만족도는 성별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보수 만족도(3.1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는 전공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 전공자(3.50)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직무환경 특성별 직무만족도 첫째, 직무전반 만족도는 시설형태, 시설선택 동기, 사회적 인정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시설형태에서는 “장애인 단기거주시설”(4.04), 시설선택 동기는 “신앙심으로”(4.26)와 “실습 및 자원봉사활동 계기로”(3.86), 사회적 인정은 “정말 그렇다”(4.53). 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수 만족도는 보수와 시설형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보수는 “300만원 이상 350만원 이하”(3.31), 시설형태는 “장애인 단기거주시설”(3.29)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와의 관계 만족도는 시설형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시설형태에서는 “장애인 공동생활가정”(3.49)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는 시설형태, 사회적 인정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시설형태에서는 “장애인 단기거주시설”(3.67), 사회적 인정은 “정말 그렇다”(4.46). 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 직무만족도는 시설형태, 사회적 인정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시설형태에서는 “중증장애인 거주시설”(3.37), 사회적 인정은 “정말 그렇다”(4.04). 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자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수 만족도에서는 남성이 보수 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성은 보수수준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여성 생활지도원 임금 수준을 높여주는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에서는 사회복지 전공자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생활지도원 채용 시 사회복지 전공자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환경 특성에 따른 직무전반 만족도는 시설형태 만족도에서는 장애인 단기거주시설이 타 거주시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그 이유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설선택 동기 만족도에서는 “실습 및 자원봉사활동을 계기로”가 많으므로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해 각 관련 학과 전공 실습을 활성화하고 자원봉사활동 기회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적 인정 만족도에서는 “정말 그렇다”가 많았으므로 생활지도원에 대해 직장에서나 사회구성원들이 격려와 지지 그리고 많은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보수 만족도에서는 300만원 이상 350만원 이하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생활지도원의 보수수준에서 재정적 지원의 현실화가 필요하며 시설형태에서는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타 거주시설의 직무만족도보다 높아 그 이유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상사와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인정이 “정말 그렇다.”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생활지도원에 대해 직장에서나 사회구성원의 격려와 지지 그리고 많은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전체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이 벤치마킹이 필요하고 사회적 인정에서는 “정말 그렇다.” 가 높으므로 생활지도원에 대해 직장에서나 사회구성원의 격려와 지지 그리고 많은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 장애인활동지원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지호영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문 초 록 장애인활동지원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지 호 영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주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은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자 한다. 일상생활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며 더 나은 생활을 위해 계획하고 준비하는 인간행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만족스러운 삶을 누리는 것이다(곽수란, 2007). 이는 장애의 유무와 관계없이 인간의 보편적인 욕구와 권리의 차원에서 이해 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들은 흔히 자립적인 삶을 영위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 정책은 시대를 걸쳐 많은 연구가 되어 왔고 최근 자립생활 이념의 보급이 본격화 되면서 장애인복지의 모든 분야에서 서비스의 자기선택과 결정, 질적인 향상과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위한 서비스 요구가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장애인의 패러다임이 변화는 탈시설화 및 자립생활의 확산 등 장애인복지환경이 변화하면서 새로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복지제도는 사회통합과 경제발전으로 국가의 성숙상태를 판단하는 기제가 된다. 최근 장애인에게 일상생활이란 활동보조인을 뻬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장애인 재활위주의 정책에서 자립생활 및 가족부양부담 경감을 위해 도입된 "활동보조서비스"가 장애인활동지원제도로 확대되어 2011.10월부터 시행 되고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목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 참여 확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의 필요성과 추진경위를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독창성을 제시하였고 전체적인 분석의 틀로 길버트와 스펙트의 정책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분석틀을 통해 현재 시행중인 제도의 쟁점들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미국과 일본, 독일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분석,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이끌어 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대상, 장애인활동지원을 장애 1급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계속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서비스보다 대상자의 폭을 보편적으로 가져가야 하고 서비스의 다양화와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용자의 욕구 변화와 패러다임에 적합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자립, 자립생활이라는 제도의 실효성이 필요하다. 둘째, 급여량의 종류 및 확대,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종전의 신체활동 지원, 가사활동지원, 이동지원에 방문간호와 목욕 서비스가 추가되어 시행되는 것은 장애인에게 유리한 조건이지만 방문간호로 해결 할 수 없는 질병이나 수술 등으로 병원에 입원 할 경우에 직접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가족 돌봄을 특별한 경우에 활동보조로 인정하고 장애종류와 상황에 맞는 지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적용대상자와 관련하여 현재 장애등급제에 따른 중증장애인 중심에서 욕구와 장애 종류별 분류되어가 활동지원제도가 필요한 모든 장애인으로 넓게 적용해야 한다. 셋째, 장애등급 재심사 및 판정기준,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판정기준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장애인복지법상의 1급 장애인 수급자를 시행중인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신청하고자 또 다시 장애재평가를 받아야하며 그로 인해 불이익을 받는 다수의 장애인이 발생하고 있다. 넷째, 활동보조인 처우개선 및 전문성 강화, 활동보조인으로 인한 활동지원제도의 성과가 극대화 될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서비스 전달체계와 관련하여 현재 장애인복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면서 새로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운영, 관리, 감독하는 단일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판정체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서비스 연계 체계, 인력의 전문화와 처우개선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지역아동센터의 방과후 보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선례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방과후 보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한 미비점과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학문적 가치뿐만 아니라 연구의 정책적 효용성을 높여 줄 것이다. 연구 설계에 앞서 이 연구는 방과 후 보육프로그램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2017년 3월 20일부터 4월 15일까지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의 보호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성의한 답변으로 통계적 가치가 없는 설문지 6부를 제외한 339부를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자녀 성별, 아동과의 관계, 자녀의 학년, 월평균 총소득, 서비스 이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89.4%)가 과다대표성을 나타내고 있고, 연령은 40대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학력은 대졸(36.6%), 전문대 졸(29.2%), 고졸 이하(27.1%), 대하원 이상(5.3%), 무학 및 기타(1.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성별은 여(61.4%), 남(38.6%)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과의 관계는 어머니(84.4%)가 과다대표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의 학년은 학년이 낮을수록 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아동보육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은 350만 원 이상(23.9%), 25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20.9%), 15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20.4%), 200만 원 이상-250만 원 미만(14.7%), 300만 원 이상-350만 원 미만(10.9%), 150만 원 미만(9.1%)의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아동보육프로그램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에 관해서는 100%의 응답률을 보였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일반적 특성으로 8가지 문항을 정하였다. 교사와의 전화상담 횟수는 월 1회(33.6%), 하지 않는다(24.2%), 2주에 1회(16.5%), 주 1회(16.2%), 주 2회 이상(9.4%)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기관은 지역아동센터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프로그램 이용을 시작하게 된 4가지 동기 중 자녀를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 기관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8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이용하는 기관을 선택하게 된 이유 5가지 중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서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 7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프로그램의 보육료 형태로는 전액 면제가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39.5%), 3시간(26.3%), 5시간 이상(20.6%), 2시간(11.5%), 1시간 이하(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를 일주일에 평균 며칠 정도 이용하는지는 5일 이상(72.3%), 4일(14.2%), 3일(9.4%), 2일(3.2%), 1일(0.9%)의 순으로 나타나 5일 이상 이용하는 이용자가 과다대표성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보육프로그램의 차이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자녀 성별, 아동과의 관계, 자녀 학년, 월평균 총소득, 서비스 이용 여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 학력, 자녀 성별에서는 아동보육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변수는 연령, 아동과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차이분석에서는 하위 변수인 ①자기조절효능감, ②자신감, ③과제난이도 선호에 대한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방과 후 보육프로그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대한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중 유의수준 0.01에서 모든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분석 결과 아동보육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보여준다.

      • 노인의 여가프로그램 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 관한 연구 : 노인종합복지관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이형희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노인의 여가프로그램 참여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 관한 연구 - 노인종합복지관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이 형 희 지 도 교 수 이 영 균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여와 참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한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학문적 가치뿐만 아니라 연구의 정책적 효용성을 높여 줄 것이다. 연구 설계에 앞서 본 연구는 여가프로그램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고 계신 이용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6부를 회수 하였고, 통계적 가치가 없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한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241부를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생활수준, 종교, 건강상태, 직업, 동거가족, 주거형태, 월평균 용돈, 용돈에 대한 만족, 현재 당면 문제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별은 남성(56.4%), 여성(43.6%)의 순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70세 이상 어르신이 조사대상 전체의 89.2%가 참여하고 계신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중졸(36.5%), 초졸(27.0%), 고졸(22.9%), 전문대이상(9.5%), 무학(4.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은 68.1%가 생활수준이 “중”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무교(34.9%), 불교(24.9%), 기독교(22.4%), 천주교(17.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어르신의 건강상태는 보통이다(43.6%), 건강하다(29.8%), 허약하다(21.6%), 매우건강하다(2.5%), 매우허약하다(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직업이 무엇이었는지는 주부(29.0%), 기타(25.7%), 개인사업(16.6%), 회사원(11.7%), 공직자(10.4%), 농업(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동거하고 있는 가족은 부부(44.4%), 혼자(26.6%), 부부와 자녀가족(14.9%), 자녀가족과 함께(11.2%), 친척 친구와 함께(1.7%), 기타(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주거형태로는 자가(63.1%)가 과반수를 넘었으며, 어르신의 월평균 용돈은 10만원이상-30만원 미만(36.1%), 30만원이상-50만원 미만(32.8%), 50만원이상-70만원 미만(12.8%), 70만원이상(10.0%), 10만원 미만(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현재 용돈에 대한 만족은 보통(40.2%), 불만족(부족)(22.0%), 만족(19.5%), 매우만족(10.0%), 매우 불만족(매우부족)(8.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르신의 현재 생활 중 가장 큰 문제는 과반수 이상이 건강이 가장 큰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일반적 특성으로 10가지 문항을 정하였다. 어르신이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하신지는 얼마나 되었는지는 3년 이상 참여하신 어르신이 과다대표성을 나타내고 있고, 어르신께서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여시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는 적극적(46.8%), 보통(32.0%), 매우 적극적(15.8%), 소극적(5.4%)으로 나타났다.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어르신이 전체의 8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횟수는 과반수이상이 주2-3회는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프로그램의 계속 참여여부는 계속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 누구의 권유에 의해 프로그램에 참여했는지는 자발적으로(56.0%) 다니시는 어르신이 과반수가 넘었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가장 변화된 점은 일상생활이 즐거워졌다(44.4%), 건강이 좋아졌다(29.0%), 가족관계가 좋아졌다(13.3%), 일반상식 및 지식이 많아졌다(1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상 중 여가프로그램에 얼마나 비중을 두고 있는지는 중요한 일과로 여긴다고 응답하신 어르신이 전체 81.3%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 프로그램참여를 권유하고 싶은지에 관해서는 과반수이상이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권유하겠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여가프로그램에 대한 불편한 점을 묻는 문항에서는 전혀 불편함이 없다(53.5%), 교통이 불편하다(22.4%), 여가 프로그램이 부족하다(16.2%), 비용이 부담된다(5.0%), 몸이 불편하다(2.5%), 기타(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변수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 생활수준, 종교, 건강상태, 직업, 동거가족, 주거형태, 월평균 용돈, 용돈에 대한 만족, 현재 당면 문제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 생활수준, 종교, 건강상태, 직업, 동거여부, 월평균 용돈, 용돈에 대한 만족,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서는 여가프로그램참여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변수는 연령, 학력, 주거형태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의 차이분석에서는 삶의 만족도의 하위변수인 ①신체적 영역, ②지적 영역, ③정서적 영역, ④사회적 영역 등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여가프로그램참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 중 유의수준 0.01에서 모든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분석 결과 여가프로그램 참여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