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rounds of Buddha-Nature in Tibet

        Douglas Duckworth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7 불교학 리뷰 Vol.21 No.-

        본고는 티벳에서 구축된 중관, 유식, 그리고 불성(tathāgatagarbha) 교리의 통합을 논한다. 불성은 독특하게도 근본식(ālayavijñāna)에 대한 유식교리의 측면과 함께 중관의 보편적인 공의 측면을 취하는 대승불교의 교리이다. 실제의 근본적인 바탕으로서, 불성은 (중관에서의 경우) 공의 긍적적인 측면과 동일시되고, (유가행파의 경우) 아뢰야식과 동화된다. 또한 내재적인 청정한 마음으로서, 불성은 완전한 깨달음의 가능성으로서 원인 역할을 한다. 불성은 (마음과 실제의 기반을 긍정하는) 유가행파의 이해와 유사한 방식으로, 긍정적인 측면에서 공의 중관적인 이해를 형성하게 되었다. 불성은 고통의 왜곡된 인지 체계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식 이론에 대해 긍정적인 대안을 제공함으로써 마음과 실제에 대한 유식이론을 보강한다. 따라서 불성은 성불의 가능성 뿐만 아니라 깨달음에 대한 인지 내용이기도 하다. 티벳에서는 불성의 이해가 구조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중관사상과 만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불성과 연계되어 중관학파에서 공의 개념은 ‘자공’, 즉 내적 본성의 결여에서, ‘타공’, 즉 남겨진 청정한 바탕으로 전환한다. 불성 교의의 특징에 대한 기술에서도 우리는 역시 유사한 전환을 볼 수있다. 즉 본식, 의타성, 그리고 자기 인식과같은 왜곡된 바탕이 청정하고 영지적인 바탕 내부에서 발생했다는 인과적인 서술로 다시 기술되는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syntheses forged in Tibet among the doctrines of Madhyamaka, Yogācāra, and buddha-nature (tathāgatagarbha). Buddha-nature is a distinctively Mahāyāna Buddhist doctrine, taking a place along side of the Yogācāra doctrine of the basic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and the universal emptiness (śūnyatā) of Madhyamaka. As a fundamental ground of reality, buddha-nature comes to be identified with a positive side of emptiness (in the case of Madhyamaka) and is assimilated with the basic consciousness (in the case of Yogācāra) as well. As the intrinsic purity of mind, buddha- nature also plays a causal role as the potential for complete awakening. Buddha-nature comes to shape a Madhyamaka interpretation of emptiness in a positive light in a way that parallels its place in a Yogācāra interpretation (as a positive foundation of mind and reality). Buddha-nature supplements a Yogācāra theory of mind and reality by offering a positive alternative to a theory of consciousness that otherwise functions simply as the distorted cognitive structure of suffering. It thus is not only the potential for an awakened mind, but the cognitive content of awakening, too. In Tibet we see the interpretation of buddha-nature converge with Mahāyāna doctrines in structually parallel ways. Paired with buddha-nature, the doctrine of emptiness in Madhyamaka pivots from a “self-empty” lack of intrinsic nature to an “other-empty,” pure ground that remains. In narratives of disclosure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 of buddha-nature, we also see parallel shifts in the foundations of Yogācāra, as grounds of distortion like the basic consciousness, the dependent nature, and self-awareness are reinscribed into a causal story that takes place within a pure, gnostic ground.

      • KCI등재

        Madhyamaka in Tibet : Thinking Through the Ultimate Truth

        Douglas Duckworth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6 불교학 리뷰 Vol.20 No.-

        본고는 티벳 중관 사상의 지배적인 해석적 줄기를 철학적으로 재구축한다. 논자는 마크 시더리츠(Mark Siderits)가 용수의 중관에 대한 관점으로 특징 지은 것, 특히 시더리츠가 용수에 대해 주장한 것처럼 궁극적인 진리는 논리를 여읜 것이라는 관점과 중관에 대한 티벳 중관학의 해석의 특징들을 구별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논자는 중관학파가 유가행파와 양립한다는 해석에 대하여 미팜(1846-1912)이 제시한 해석에 주목하여 입증한다. 미팜의 이론은 진제와 속제의 언설불가능한 통합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중관학파와 유가행파의 교각역할을 한다. 논자는 모든 진리를 틀에 의지하는 것(framework-dependent)으로서 이해하는 해석 체계로서의 중관학파에 주목함으로써 불가해한 진리가 유가행파 및 중관학파와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즉, 모든 진리가 중관학파의 특수한 틀과 관계되며, 틀에 의지하는 진리는 항상 관습적인 것 또는 상대적인 진리들일 뿐이며 틀에 의지하지 않는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틀의 구조 자체는 생각과 표현의 범위를 넘어서는, 즉 “틀에 규정될 수 없는 것(unframeable)” 것인데, 왜냐하면 개별적 진리는 필수적으로 어떤 특수한 틀 안에 가둬지기 때문이다. 틀의 경계를 초월하고 완전히 틀 안에 가둬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궁극적 진리이다. 한편 공(空)은 중관학파에서 궁극적 진리에 관한 핵심적 은유이며, 언설 불가능한 (틀을 벗어난) 궁극성은 유가행파에서 “의타기”(paratantra)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같이 다른 방식들로 나타난다. 불가해한 궁극성은 물론 유가행파에서도 유지되지만 중관학파의 해석과 갈등을 일으킬 필요는 없었다. 이는 일체가 공이기 때문이며, 또한 연기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고, 공이 공한 것과 마찬가지로 연기 역시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of dominant interpretative strands of Madhyamaka thought in Tibet. I distinguish features of Tibetan interpretations of Madhyamaka from what Mark Siderits has characterized as the view of Nāgārjuna’s Madhyamaka, and in particular, his claim that for Nāgārjuna, an ultimate truth is an incoherent notion. In doing so, I make a case for an interpretation of Madhyamaka that is compatible with Yogācār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an interpretation offered by Mipam (1846-1912). Mipam’s presentation bridges Madhyamaka and Yogācāra by articulating an inconceivable unity of the two truths. I will argue that an inconceivable ultimate is compatible with Yogācāra and Madhyamaka by drawing attention to Madhyamaka as a system of interpretation that acknowledges all truths as framework-dependent. That is, since all truths are relative to a particular framework in Madhyamaka, framework-dependent truths are always only conventional, or relative truths; there are no framework-independent truths. Yet the structure of the framework itself is “unframeable” (beyond the scope of thought and expression) because discrete truths are necessarily conceived within a particular framework. W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he framework (and cannot be completely enframed within it) is the ultimate truth. Whereas emptiness is the principal metaphor for ultimate truth in Madhyamaka, the inexpressible (unenframed) ultimate i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in Yogācāra: in terms such as the “dependent nature” (paratantra) and the “basic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An inconceivable ultimate is certainly consistent with Yogācāra, but need not conflict with a Madhayamaka interpretation. This is because, while the ground of things is empty, it is also dependently arisen (and dependence is dependent, too, just as emptiness is empty).

      • Growing Firms, Growing Economies

        Kwon, Chan Tae,Albrecht, W. Steve,Duckworth, Daniel C.,Feng, Liu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7 經商論集 Vol.34 No.1

        회계부정은 회사와 경제를 피 흘려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말은 자본주의 경제사회에서 일반 대중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생명선이 박탈되어 버린다는 것을 의미하기도한다. 기업들과 우리 사회는 회계부정이 일상의 경영과 경제성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데도 불구하고 그다지 실감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과연 그들은 미래에 회계부정들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가? 만약 기업과 정부가 부정으로부터 해방된 기업환경을 만들어 놓았다면 그러한 나라에 살고 있는 국민들에게는 그 피해가 엄청나게 클 것이다. 이 논문은 부정예방이 기업과 경제를 성장시킨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1장의 문제제기에 이어, 2장과 3장에서 회계부정의 부정적인 영향과 부정회계의 발생의 3대 요인을 살펴보고, 4장에서는 한·미·중 3 개국의 회계부정들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부정예방의 의미를, 6장에서는 부정예방의 긍정적인 면을 검토하였다. 7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결론을 맺었다. 선진국들은 개별기업들이 경제성장과 빈곤퇴치를 위해 긍정적인 공헌을 하도록 많은 노력을 하여 왔다. 그러나 회계부정은 정부부패처럼 기업이 번창하고 경제사회가 발전 하는데 많은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 일반에게 밝혀진 대형 부정 사건들은 경영자나 법률가들이 미래의 부정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필요성을 크게 부각시켰다. 그러나 부정을 일으킬 요소들을 이해한다면 새롭게 제정된 규제들만으로는 주요 재무 부정의 재발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선진 또는 개발도상국가의 기업들은 부정예방을 그들의 장기적인 전략의 핵심 요소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정부들, 특히 개발 도상국가들의 정부들도 그들의 경제성장과 빈곤퇴치전략의 핵심요소로 부정예방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전략적인 노력들은 결코 헛되지 않고 크게 보상받고도 남을 것 이다. Fraud can bleed comparues and econorrues to death and deprive the public of a "unique and irreplaceable" lifeline. But do stewards of firms and societies realize fraud's extensive impact on daily business and economic growth? Have they done enough to prevent future frauds? For the citizens of countries whose firms and governments establish a business environment free of fraud, the rewards are tremendously promising.

      • KCI등재
      • LTP in hippocampal neurons is associated with a CaMKII‐mediated increase in GluA1 surface expression

        Appleby, Vanessa J.,Corrê,a, Sonia A. L.,Duckworth, Joshua K.,Nash, Joanne E.,Noë,l, Jacques,Fitzjohn, Stephen M.,Collingridge, Graham L.,Molná,r, Elek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116 No.4

        <P> <I>J. Neurochem.</I> (2011) <B>116</B>, 530–543.</P><P><B>Abstract</B></P><P>The use of hippocampal dissociated neuronal cultures has enabled the study of molecular changes in endogenous native proteins associated with long‐term potentiation. Using immunofluorescence labelling of the active (Thr286‐phosphorylated) alpha‐Ca<SUP>2+</SUP>/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CaMKII) we found that CaMKII activity was increased by transient (3 × 1 s) depolarisation in 18‐ to 21‐day‐old cultures but not in 9‐ to 11‐day‐old cultures. The increase in Thr286 phosphorylation of CaMKII required the activation of NMDA receptors and was greatly attenuated by the CaMKII inhibitor KN‐62. We compared the effects of transient depolarisation on the surface expression of GluA1 and GluA2 subunits of the alpha‐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 propionate receptor and found a preferential recruitment of the GluA1 subunit. CaMKII inhibition prevented this NMDA receptor‐dependent delivery of GluA1 to the cell surface. CaMKII activation is therefo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activity‐dependent recruitment of native GluA1 subunit‐containing alpha‐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 propionate receptors to the cell surface of hippocampal neuron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