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재중 교포의 인구학적 위치

        박재빈,Park, Chai-Bin 대한예방의학회 1989 예방의학회지 Vol.22 No.1

        현재 중국에는 55개의 소수민족이 있으며, 그 인구총수는 6,700만을 초과한다. 중국정부는 특히 70년대 후반서부터 소수민족에 대한 일연의 보호정책을 쓰고 있으며 다수민족인 한족에 대하여 엄격히 실시하는 1가구 1자녀 정책에서도 소수민족을 제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수민족의 증가는 현저하게 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인구학적특성으로 보면 소수민족은 아직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조선족이라고 일컫는 재중 우리교포는 한족을 포함하여 중국내 어느 민족과 비교하여도 인구학적으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인구증가율은 가장 낮으며 어느민족보다 앞서서 1970년대 중반에 이미 대치수준 이하의 출생률에 도달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Han 등, 1988). 문맹률은 최하이며 대학수업율은 최고로 높다(장(張), 1984). 사망률은 전소수민족중 가장 낮고 평균 수명은 가장 길다(Dowdle, 1984). 이렇게 재중 조선족은 인구학적으로 가장 선진적이기 때문에 1자녀 정책에 대한 수용 준비가 다른 민족보다 앞서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조선족은 소수민족에 속하기 때문에 1자녀정책에 구애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조선족 가정에서 1자녀만을 낳겠다는 서약을 하여 이른바 '독생자녀증'을 영수하면 이것은 한족의 경우와 달리 자율의사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 두가지를 다루기로 하겠다. 즉, 조선족이 인구학적으로 보아 딴 민족에 비하여 어떤 위치에 있으며, 또 중국의 중요인구정책인 1가정 1자녀제에 어떻게 반응하고 독생자녀증을 어떻게 수용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 밖에 중국의 대소수민족 인구정책의 앞날에 대하여도 약간의 전망을 하여볼까 한다.스와 여기에 사용되는 신호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광 통신망 운용에 필요한 라우팅 및 파장할당 방법과 OXC를 이용한 그물형 망에서의 보호 및 복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otene 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etinyl acetat와 B-carotene 보충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3.17%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양파망과 염화비닐판을 수직으로 놓은 것은 각각 1.52%와 1.61%로 비교적 저조하였다. 수정 후 40일째부터 90일째까지 측정한 부착치패의 경과 일수에 따른 각장의 성장은 $SL=184.44e^{0.0335X}(r^2=0.9861)$의 회귀직선식으로서 나타났다. 중간육성 시험에서 수심별 성장을 분석한 결과, 비단가리비 치패는 저층보다 표층이 각장 5.92mm, 전중량 6.07g 정도 더 빨리 성장하였다. 시간으로 하여 l 주 44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면 통상질환관리 18.56시간, 지역사회 보건관리 5.67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2 시간, 사업 운영관리 및 지도 4.10시간,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05 시간,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 2.94 시간, 사업계획 수립 2.89시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상판판계를 살펴보면 지역사펴 조직 및 개발을 위 해 소요한 시간은 사엽계획 수립 소요시간 및 보건정 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사업 계획 수립 소요시간은 지역사회 보건관리,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소요시간 및 보건정보체제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통상질환관리 소요시간은 지역 사회 조직 및 개발, 사업계획 수립, 지역사회 보건관리와 모자보건

      • KCI등재

        성선호(性選好)로 인한 과잉출생수(過剩出生數)의 추정(推定)

        박재빈 ( Chai Bin Park ),조남훈 ( Nam-hoon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4 保健社會硏究 Vol.4 No.1

        This study quantitatively estimates the impact on fertility of sex preference for sex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expected number of births per woman and parity distribution by sex composition of children have been calculated under two models: (a) in the absence of and (b) in the presence of sex preference. Data used were from the 1974 and 1979 fertility surveys of Korea. The complement of the parity-sex-composition specific proportion of women wanting no more children is taken as the probability of the next birth. The excess births attributable to sex preference was 9.5 percent of all births under the conditions of 1974 and 11.1 percent under those in 1979. Thus, the fertility impact of sex preference is only moderate. The degree of such impact, however, is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size norm. It can become very large with the reduction of the family size norm. As sex preference in Korea is essentially son preference, small families will mainly be composed of boys and large ones of girls; the situation may bear significant societal implications. The sex of the first chil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pensity to subsequently form small or large families. Under the assumption of a continuation of the 1979 conditions, the probability of having five or more children would be over 200 times greater if the first child were a girl than if it were a boy.

      • KCI등재

        Gender Preference and Sex Imbalance in the Population and Their Implications in Korea

        Chai Bin Park(朴在彬),Nam-Hoon Cho(趙南勳) 한국인구학회 1994 한국인구학 Vol.17 No.1

        1950년대부터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은 家族計劃을 위주로 하는 人口抑制政策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家父長制度를 중심으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男兒選好觀이 출산력 저하나 피임실천율의 증대에 지대한 沮害要因으로 일관해 왔다. Sheps(1963)는 실증적으로 2명의 아들을 갖기 위해서는 약 3.9명 정도의 자녀를 두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와 같은 남아선호관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韓國과 臺灣은 1980년대 중반에 이미 1.6명 수준의 저출산율을 이룩하였으며, 1970년대에 인구억제 정책을 시작한 中國도 2명 수준으로 저하되어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의 출산율은 지난 20-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너무나 급진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남아선호관의 상존으로 인한 性比(女子 100명당 남자수)의 不均衡을 초래하게 되었다. 한 예로 한국의 경우 1960년도만 해도 6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1-2명의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았으나, 최근에는 출산율이 2명 이하로 저하되어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과거보다 3-4배나 어려워졌기 때문에 人爲的인 방법으로 아들을 두는 부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中國은 1970년대 중반기부터 강력히 추진되어온 소위 “한자녀 갖기 운동”으로 인하여 女兒出?인 경우 영아살해 또는 出生의 미신고등 많은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였고, 최근에는 초음파검사를 통한 선택적 人工姙娠中絶(胎兒가 女兒인 경우)의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성비는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된 1980년대 중반기부터 급격히 증가되었다. 즉 인구전체에 대한 성비는 1980년의 103.9명에서 1985년에 110명으로 증가하였고, 1990년 116.9명으로 증가되었다. 성비는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다. 1991년 조사에서 출산율 종료한 부인의 경우 1자녀의 성비는 무려 206명이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자녀를 위한 부인이 아들을 둔 경우 1자녀에서 斷?을 결심하기 때문인 것이다. 統計廳 자료에 의하면 성비는 무엇보다도 자녀의 出?順位와 밀접하다. 1991년 출생신고자료의 경우 첫아이의 출생시 성비는 106.1명이고, 둘째아이가 112.8명이나, 셋째아이는 184.7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넷째 이상의 경우는 212.3명이나 된다. 동일한 出生順位라도 이미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1991년도 3번재 출산의 경우 딸만 2명을 두고 있는 경우가 136.3으로 이들만 2명 또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는 경우에 비해 性比를 보이고 있다. 자녀를 출산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아들을 기다리지만 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들을 낳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즉 姙娠한 자녀의 性이 딸로 판명되면 인공임신중절을 통해 임신을 종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미 출생한 자녀의 性構成은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즉 姙娠이 인공임신중절로 歸着되는 確率은 부모가 이미 아들을 두고 있는 경우에 一貫性 있게 증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아선호관은 임신결과를 결정할뿐 아니라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의한 性比의 不均衡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로써 浮刻되었다. 특히 피임실천이 普遍化되고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이용이 손쉬운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에 저해요인으로서가 아니라, 人爲的이던 自然的이던 간에 아들만 두면 斷?하는 現今의 出?風土下에서는 남아선호관이 오히려 출산력저하에 肯定的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胎兒의 性 識別을 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件數는 1990년 한해에 약 20,000건 정도가 되고, 1986-1990년 사이에 총 80,000건으로 추정된다. 이 수치는 출생한 여아수의 5%에 해당한다. 현재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은 年間 總出生數의 10% 미만에 불과한 3번재 이상의 출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출산율의 감소와 더불어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이 년간 출생수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둘째, 첫째出?順位로 확산된다면 성비의 불균형은 급진적으로 가속화되어 전통적 結婚慣習의 崩壞등 인간의 生態界를 파괴하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社會人口學的인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結論的으로 性比의 不均衡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나라의 전통적 意識構造인 남아선호관의 常存과 최신의 醫療技術에 의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是正하기 위한 제반 社會制度的 支援施策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Many demographers and population planners have considered parental preference for sons in Asian countries as a major barrier to reducing fertility. Nevertheless, som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have achieved replacement level fertility notwithstanding their societies' strong adherence to son preference. These countries now show evidence of changes in the sex ratio at birth in three levels-in the population at large, in the family, and in birth orders-and those changes are probably due to preference for sons and small-family norm, by preference or coersion. In this paper we have presented evidence of the changes in Korea and China and discussed their demographic, social, medical and health, and economic implications. The principal means used to alter sex ratios are sex-selective abortion, differential contraceptive used according to the sex distribution of children within a family, selective infanticide, and hiding female births. The last two means probably operate only in China. The Asian countries that have recently achieved low fertility show rising sex ratios at birth since about 1985. In Korea, moreover, certain geographic! areas present unusually high sex ratios in recent years. An inverse relationship is now observed between the sex ratio and family size, suggesting that parents who have had sons in their early reproductive lives tend to stop childbearing early but those who have had daughters tend to continue. The sex ratio of siblings jumps at a certain birth order, implying parental manipulation of gender beyond the acceptable family size. For a given family size, whether small or large, the sex ratio of the lastborn children is extremely high, indicating a parental tendency to stop child bearing when a son arrives. The decrease in family size as a consequence of artificial sex control in Korea appears to be negligibly small when the family- building process is patterned for couples with completed fertility. Average family size would decrease from 2.60 to 2.30 children, an 11 percent decline, however, if sex preference were to disappear. By our medium-level estimation, during 1986-90 about 76,000 female births were averted by selective abortion in Korea, corresponding to about 5 percent of all potential female births. A marriage squeeze due to the imbalanced sex ratio is popularly feared. If one assumes that the customary age difference of four years between a husband and wife is the only criterion for mate selection, then it follows that when girls aged 1-5 years in 1990 (the first age cohort subjected to sex-choice technology) reach marriageable age, about 50 percent of their potential husbands will face a shortage of brides. This situation results largely from declining fertility, however. Another likely consequence of the imbalance in the family-size-specific sex ratio is that girls will be further disadvantaged in education, childcare, and opportunities, because large families, whose resources are generally more stretched than those of small families, are composed predominantly of girls and small families predominantly of boys. On the other hand, boys may encounter more problems of socialization than girls, as the last-born child and the only child, who are known to be very pampered in Asian societies, are likely to be boys. The safety of selective abortion can be a serious problem, particularly since the sex determination of fetuses is done mostly by means of the relatively inexpensive ultrasonar technique, which is not effectively applicable until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The medical costs of sex determination and subsequent abortion can be substantial, especially if couples rely on more sophisticated techniques than the ultrasound method. Recently, selective abortion has become a controversial social and ethical issue. In Korea harsh regulations against the procedure have been enacted, making some believe that the worst is over. Trends in the sex ratio at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