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성김씨의 유래와 五土山 鎭民祠 사적

        김윤규 ( Kim Yun-ky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의성의 읍민들과 의성김씨 문중에서 오랫동안 향사하고 기념하던 오토산 진민사의 문헌들이 일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는 이 문서들이 가진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이 문서가 생산된 오토산과 진민사의 문화유적이 중요한 민족문화의 일부임을 확인한 일이다. 의성김씨는 시조 金錫의 후손으로 그 중 대부분이 고려태자첨사 金龍庇의 후손이다. 이들은 고려시대부터 한국의 중요한 성씨 중 하나로 국가적 사명을 담당했으며, 지금도 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큰 씨족이다. 이들의 조상인 김용비는 고려시대에 의성읍의 사람들에게 큰 공덕을 끼쳐 지역민들이 사당을 지어 향사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록된 수백년의 제향기록은 잘 해석되고 설명되어 민족문화유산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오토산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는 지질시대의 유적인 공룡화석산지로부터 신라 이전시기인 조문국 유적과 신라시대의 탑리오층석탑 유적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선비문화를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는 유서깊은 마을들이 있다. 이 중에 고려시대의 오토산 유적을 연결하면 한국사 전 시기의 중요한 역사와 유적을 연계하여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유적지구가 될 것이다. 오토산 지역은 “역사문화유적지구”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역의 지질시대 유적은 이미 전국적 지명도를 가지고 있고, 삼국시대 전후의 국가발생 유적도 보기 드문 특징을 가지고 발견되고 연구되었으며, 신라 후기 최고의 유적 중 하나인 탑리 오층석탑은 국보로서의 위엄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문가의 학자들이 근처에서 생장했으며 조선의 위기와 일제 강점기에는 수많은 의병들과 우국지사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이다. 일련의 역사시기 중에 흠결이 되었던 고려시대의 유적으로 오토산 묘소와 진민사 사적이 조명됨으로써 모든 시기가 일관된 역사유적으로 설명될 수 있도록 완성되었다. 이제 필요한 노력은, 산재한 이야기들과 유적들을 서로 연계된 이야기의 틀로 연결하는 일이다. 선대의 삶과 노력이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고 공감하게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Documents from Jinmin-sa(鎭民祠) of Mountain Oto(五土山) has long been commemorated by Uisung citizens and Uisung Kim’s Clan(義城金 氏), and now the documents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This designation represents appreciation of the historic value of these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confirms that cultural remains of Mountain Oto and Jinmin-sa, where the documents were generated, are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Uisung Kims are descendants of progenitor Soek Kim(金錫), and most of them are descendants of Yongbi Kim(金龍庇), the Taejachumsa(who educated the crown prince) of Koryo Dynasty. Uisung Kim's Cl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an of Korea ever since the Koryo Dynasty, and it took responsibilities of various national duties. It is also a big clan with 300 thousand people belonging. Their ascendant Yongbi Kim practiced great and generous deeds to Uisung citizen in Koryo Dynasty, so people built a shrine for him and commemorated him until now. All the records of commemoration should be well interpreted and demonstrated to be provided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region surrounding Mountain Oto has many historic remains, from dinosaur fossils of geological period to Jomunguk nation's remains of pre-Shinla period and Tapliochungsuktop(Tapli 5 storied stone pagoda) of Shinla Dynasty. There are also historic and distinguished villages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culture of sunbi(scholars) of Chosun Dynasty very closely. If we connect Mountain Oto with these historic remains, we can establish a historic district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and learn about every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with all the remains from every dynasty connected. Regions surrounding Mountain Oto should rightfully be designated as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The remains from geological period already earned national recognition, the traces of countries that rose in the area around the Three-Countries-Period have been found and studied due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Tapliochungsuktop, one of the best remains from late Shinla Dynasty, has its authority as National Treasure. In Chosun Dynasty, scholars of noble family were raised around this region, and at the crisis of Chosun and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umerous civil volunteer armies and patriots rose in the area. There had been one absent period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but now since the remains of Mountain Oto and documents of Jinmin-sa are acknowledged as historic remains of Koryo Dynasty, this area now has a complete explanation of Korean history. Now, we need to put our effort in gathering scattered stories and remains into one connected story frame. We should try to explain how ancestors' life and effort are related to our life, and to make people sympathize with their story.

      • KCI등재

        재아르헨티나 한인소설의 몇 가지 성향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05 문화와 융합 Vol.27 No.-

        As Korean s residential territory expande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is also expected to get larger. For that result, Korean literature is not restrained to ones written in Korean Peninsula, but rather it contains all the literatures written in Korean language. Now, Korean literature includes all the literatures of immigrants who moved to other countries. This is why attention on immigrants-literature in South America, Argentina, was requested. Korean immigrants in Argentina have been publishing literary magazine annually and showing their work vigorously in the name of Escritores coreanos en Argentina(재아문인협회) . Among those novels, couple of them deserve special attentions because they contained both common characteristics of immigrant-novel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South America immigrant-novel simultaneously.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ose novels is exaggerated memories of life in Korea. Their scenery or Korea remained unchanged since they left the country, and they lack concreteness of reality, but they show compelling longing for their mother country s sentiment. Also those novels describe how they got to choose migration. Most of them recalled difficult moments of living in Korea, and immigration was considered as a door to escape. Furthermore,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 in the beginning of immigration, Argentina was not a problem-free country. There, Immigrants had to suffer due to new customs and legal problems. For that reason, those South-American immigrants hope to reimmigrate in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r to hope to return back to Korea. There is no specific explanation about life in United States, but it is expected to be better than ones in Argentina. Therefore, they make excessive effort to re-immigrate into United States. Moreover it is not easy to return back to Korea. It is their mere hope expressed emotionally when they confront arduous immigrant life. Argentinean Korean novels show both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South-American immigrants-novel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all of immigrants-novel. Those particular immigrant units of literature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귀향 소망의 문학적 전환 : 포은 정몽주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08 문화와 융합 Vol.30 No.-

        Poeun(圃隱) left his hometown Yeong-il(迎日) and he devoted himself to nation s calling. He was academically master of Sung-Confucianism (性理學), and politically headliner at the end of Koryo dynasty. His academical achievement led to Choseon s brightly developed Sung-Confucianism and established Choseon s governing policy. He deeply considered the changing orders of eastern Asia, and he insisted on following Ming(明) s civil politics(serve big country and be friendly to weak country) beyond Yuan(원) s armed control. This, too, did a deciding role in choosing Choseon s national position. In addition, he died of loyalty for Koryo dynasty. There had been controversy over wether he chose to die or not, but because his death was directly connected to Koryo s downfall, he became a symbol of Koryo s loyal subject. Even after Choseon was built, Poeun s loyal death was commemorated nationally and it has been educated as social unification and maintenance theme. Such achievement and death formed his outer image. Understanding and commemorating about him was only concentrated on his outer appearance, and the understanding about his personal life and emotio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Yet he was a poet who left everlasting master pieces in Sino-poems(漢詩) and lyric-poems(時調). For poem is a kind of literature created by a dominant self, his poems symbolize not only his outer self, but also his inner life and personal hopes. His inner self had a sense of being left from home. There has always been a strong will for retuning home when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or he was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However, such return-to-home will was contrary to his social self s desire. return-to-home will and comfort his inner self desired couldn t join together. Therefore, his return-to-home will doesn t appear clearly in his poem. That is why most of the poems merely sigh solitarily or describe the eternal and lonely nature. He finally finds the lonely self that nobody notice. The self appears as a portrait drawn by a giant devoted to nation s project.

      • KCI등재

        자유주제 : 『巖齋唱酬錄(암재창수록)』에 나타난 19세기 말 지방 인사들의 한시 창수문화

        김윤규 ( Yun-kyu Kim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19세기 말 한국문학사에서 한문 창작물은 가치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전통적인 교육을 받고 민족적 위기를 담당한 애국자들의 한문 문학은 마땅히 문학사의 중심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그런데 19세기 말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 뜻밖에 활발해진 한시 창작열은 어떻게 해명할 수 있는가. 한문 사용 능력이 신분의 표지와 동일시되는 사회에서 오래 살아왔기 때문에 조선 말기 신분이 해체되자 상승된 신분이든 원래의 신분이든 모든 士 계급은 한문학습과 사용에 활발히 참여했다. 그들은 이전에 제한되었던 한문 학습과 한시 창작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1897년을 전후하여 편집된 『巖齋唱酬錄』은 검토해볼 만하다. 이책에는 巖齋 李運基 자신을 제외한 116명의 인사들이 주고받은 시들이 수록되어있다. 이 책은 개인의 문집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암재 자신에 의해 지어진 글은 매우 적으며 타인이 차운해 준 唱酬詩文이 훨씬 많다는 특이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시를 지은 이들은 자신의 감회나 정서를 자발적으로 읊은 것이 아니라 암재에 의해 요청된 시를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들에서 개인적인 감회를 노래한 것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지어진 시들은 암재가 제시한 原韻의 의미망을 벗어나지 못했다. 주어진 운자가 비교적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해도, 지은이 들은 암재에게 주는 축하시라는 효용성에 기반을 두고 시어의 의미를 사용하였다. 고사를 인용하거나 인용된 고사를 활용할 때에도 상투적인 시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창의적 표현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창수시들은 이전 시기에 있었던 문학적 감동의 공유 전통을 이어서 다음 시기에까지 창화시들이 창작되게 한 문학사적 기능과 문학창작자의 범위를 넓혀서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다양화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작품집이 나오게 된 것에 대해 당시의 신분제도 붕괴와 이로 인한 신분상승 욕구를 참고하여 살펴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한문 창작이 신분 표지로 인정되던 시기라면, 새로 신분이 상승한 사람이든 원래 상층 신분의 사람이든 한문 창작에 열의를 보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as underestimated in late 19th century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patriots should indeed be considered as the core of history of literature even if it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Yet, how can unexpected creation fever of Sino-Korean poems from late 19th century to Japanese colonial era be explained? Since the ability to use Chinese character was equivalent to the social rank in Korean society, when the social rank collapsed at the late Chosun dynasty, every scholars of all social background began participating actively in us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ey could also participate in creation of Sino Korean poems, which was banned before.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巖齋唱酬錄』(Amjae antiphone poems), edited at around 1897, is worth examining. In this book of poem are poems exchanged by 116 figures except Amjae Lee Un-ki himself. This book seems to have property close to private collection, but actually works written by Amjae himself are very few and there are much more works given by others called 唱酬詩文(antiphone poems). The authors included here are mostly regional figures who don’t even appear in biographical dictionary. However, these figures agreed to write and give their piece of work enthusiastically, and as a result, this book was published. The poems included in this book do not voluntarily sing personal emotions, but these poems are created in accordance to a particular request and theme. It seems it is possible to relate the publication of such collection book with collapse of social rank and desire of social status rise. If contemporary period was when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presented social status, it must have been inevitable to be enthusiastic to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social background.

      • 문학작품으로 본 圃隱선생의 고향의식

        김윤규 (Kim, Yun-kyu) 포은학회 2009 포은학연구 Vol.3 No.3

        모든 사람은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로 나뉘어 이해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광범한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서도, 개인적인 좌절과 그리움은 자아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도와준다. 이런 개인적인 감각과 반응은 일반적으로 문학작품에 정직하게 반영되고, 특히 시에서는 자아의 의지와 욕구가 거의 가감 없이 드러난다. 시는 자아가 세계에 대해 우위에 서는 양식인 까닭이다. 그런 점에서 圃隱의 고향인 포항에서 그의 고향의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필요할 듯하다. 실제로 포은문집은 260여 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으며, 그 시들이 사용한 언어들은 客(73), 行(62), 歸(54), 遊(43), 獨, 愁, 孤, 還 등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보아 圃隱은 전 생애동안 타향의식과 귀향욕구 사이에서 고뇌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圃隱이 평생 동안 이룬 정치적 학문적 성취와, 그가 죽음으로 완성한 절의의 삶으로 보면, 그의 시편들에 이러한 개인적 쓸쓸함과 외로움의 고백이 많이 드러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경우 시인의 자아는, 외면적이고 성취하는 자아와 내면적이고 고백적인 자아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圃隱의 고향의식을 살피는 것은, 圃隱의 내면적 자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또한 이 일은 그가 태어나서 자라고 종신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에서, 타향에 내보낸 포항의 인재가 어떤 그리움 상태에 있었는지, 그의 문학 활동에 이런 고향의식이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의 삶과 유리된 위인으로 격상되어 있는 圃隱을, 우리와 함께 이 지역에서 숨쉬고 뛰놀았던 가까운 산배로 맞아들이는 일이 될 것이다. Poeun(圃隱) left his hometown Yeong-il(迎日) and he devoted himself to nation's calling. He was academically master of Sung-Confucianism(性理學), and politically headliner at the end of Koryo dynasty. His academical achievement led to Choseon's brightly developed Sung-Confucianism and established Choseon's governing policy. He deeply considered the changing orders of eastern Asia, and he insisted on following Ming(明)'s civil politics(serve big country and be friendly to weak country) beyond Yuan(元)'s armed control. This, too, did a deciding role in choosing Choseon's national position. In addition, he died of loyalty for Koryo dynasty. There had been controversy over wether he chose to die or not, but because his death was directly connected to Koryo's downfall, he became a symbol of Koryo's loyal subject. Even after Choseon was built, Poeun's loyal death was commemorated nationally and it has been educated as social unification and maintenance theme. Such achivement and death formed his outer image. Understanding and commemorating about him was only concentrated on his outer appearance, and the understanding about his personal life and emotio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Yet he was a poet who left everlasting master pieces in Sino-poems(漢詩) and lyric-poems(時調). For poem is a kind of literature created by a dominant self, his poems symbolize not only his outer self, but also his inner life and personal hopes. His inner self had a sense of being left from home. There has always been a strong will for returning home when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or he was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However, such return-to-home will was contrary to his social self's desire. return-to-home will and comfort his inner self desired couldn't join together. Therefore, his return-to-home will doesn't appear clearly in his poem. That is why most of the poems merely sigh solitarily or describe the eternal and lonely nature. He finally finds the lonely self that nobody notice. The self appears as a portrait drawn by a giant devoted to nation's project.

      • KCI등재

        별세(別世)의 삶을 위한 기도 - '주의 기도'의 측면에서 -

        김윤규(Kim Yun-Kyu)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3 신학연구 Vol.44 No.-

        한국기독교장로회 서울남노회 한신교회 이중표 목사가 자신의 목회 비전으로 내세우는 ‘별세’ (別世)라는 말이 요즈음 한국 교회 안에서 화두(話頭)가 되어, 그 위력이 대단한것 같다. ‘별세의 삶’, ‘별세의 목회’, ‘별세신학’, ‘별세목회연구원’과 같은 후폭풍이 한국 교계를 강타하고 있다. 매년 따로 개최되는 한신목회연구원의 집회에는 수천 명의 교역자와 사모가 몰려들고, 매주 열리는 별세목회연구원에는 전국에서 수백 명의 교역자들이 참여한다.<br/> 도대체 이 목사의 ‘별세’가 무엇이기에 이토록 야단인가? 그 대답은 이 목사의 ‘별세(別世)의 삶과 기도’의 상관 관계 안에 들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별세의 기도’ 라는 측면에서 포괄적인 대답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br/>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글은 첫째 이 목사의 일반적인 ‘탄원(歎願)기도’ 에 대한 이해 둘째 이 목사의 ‘별세 기도(別世祈禱)를 향한 여정(旅程) 셋째 ‘별세 기도’의 영성과 삶, 마지막으로 이 목사의 주기도 강해에 나타난 영성(spirituality)을 추적해 나갈 것이다.<br/> ‘별세의 기도’가 하나님께서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세상과 사람들을 위해 제시해주는 비전이 무엇인가? 이 땅 위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일에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동반자로서의 사명을 가지고 ‘별세의 기도’를 한다면 도대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이 글은 포괄적으로 대답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회재(晦齋) 잠명(箴銘)의 내용과 성격 및 문학사적 의미

        김윤규 ( Kim Yun-kyu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晦齋 李彦迪(1491~1553)의 잠명은 동아시아 고대로부터 전해진 잠명문학의 전통을 이어 고려시대에 왕성하게 창작된 한국 우의적 잠명문학을 성리학적으로 전환시킨 선도적 업적이다. 이 논문은 회재의 잠명을 검토하고 그 문학적 특성을 살피며 한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점검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회재의 잠명은 그가 27세 되던 해에 지어진 「元朝五箴」으로부터 그가 강계 유배지에서 57세에 지은 「定靜銘」까지 3잠 3명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 「元朝五箴」은 畏天·養心·敬身·改過·篤志의 다섯 잠문을 포괄하고 있어서 실제로는 7잠 3명이 회재 잠명의 전량이다. 회재 잠명을 일관하는 주제는 克己復禮이다. 그는 성실하게 공부하는 학자이면서 이를 일상의 삶 속에 실천하는 수련자로서, 자신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유혹과 위험에 대해서나 내부에 일어나는 사사로운 욕심과 게으름 등에 대하여 단호하게 배격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마음을 기르며 몸을 공경하고 허물을 고치면서 뜻을 독실하게 하겠다는 것이 「元朝五箴」에서 천명한 삶의 태도이다. 그의 「立箴」은 30세에 공자의 三十而立 고사에 비추어 자신이 철학적으로 인격적으로 자립하였는가를 반성하고 다짐하는 잠문이며, 「自新箴」은 日新又日新의 盤銘을 본받아 날마다 새롭게 되기를 다짐하는 글이다. 이렇게 세 잠문은 제목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해가 바뀔 때나 유념할 만한 나이가 되었을 때에 反省과 自警을 목표로 지어진 글이다. 회재의 명문은 3편이 있다. 그 중에서 「定靜銘」과 「知恥銘」은 제목에서 내세운 바와 같이 고요함에 안정되리라는 소망과 부끄러움을 알아야 하겠다는 다짐을 밝힌 글이다. 특히 염치를 알지 못하는 이에 대한 확실한 배격을 담고 있는 「知恥銘」은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장문으로 쓴 명문이다. 회재의 명문 중에서 유교적 덕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자아를 드러내고 있는 작품은 「無絃琴銘」이다. 이 작품에서는 번거롭고 시끄러운 세상의 포폄을 벗어나 태고의 천진에 노닐고 싶다는 자아의 소망이 드러나 있다. 문학적으로 회재의 잠명은 克己復禮를 최종 목표로 하는 유교적 성격의 교술문학이다. 작중에서 자아에게 가해지는 세계의 압박은 대부분 사욕이나 태만 등의 내부적 放心 상태이다. 이렇게 내부적 방심에서 자신의 바른 마음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다 보면 지나치게 교훈적 서술로 흐르게 되어 문학적 긴장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회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어를 달리하거나 창의적으로 반복하기도 하고, 반증을 들거나 문답체를 사용하여 글의 생동감을 높이기도 하였다. 회재 잠명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기물명류의 잠명문학이 주로 우의적 풍자적 성격을 가지고 창작되던 것이, 조선 후기 잠명에서는 거의 대부분 自警類 또는 警世類의 교훈적 성격으로 변화하는 계기점에 회재의 잠명이 자리 잡고 있다. 조선 후기 학자들에게 회재가 존경받은 크기만큼 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창작된 잠명문학의 성향에도 회재의 영향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Hoejae Lee Eonjeok(晦齋 李彦迪, 1491~1553)'s proverbs and mottos(Jamyeong, 箴銘) carried out a leading role in transforming Korean allegorical Jam-myeong literature, which was actively created in Koryeo Dynasty in accordance with Jam-myeong tradition passed down from ancient East Asia, into Neo confucianism way. This study is done to examine Hoejae's Jam-myeong, evaluate its literary properties and its significance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mong Hoejae's Jam-myeong, there are 3 Jams(箴) and 3 Myeongs(銘) remaining, from 「Won-jo-o-jam(元朝五箴)」 written at his age 27 to 「Jeong-jeong-myeong(定靜銘)」 written at his age 57 during his exile in Gang-gye. 「Won-jo-o-jam」 contains five Jams, Woe-cheon(畏天, reverence to heaven), Yang-shim(養心, cultivate consciousness), Gyeong-shin(敬身, honor my body), Gae-gwa(改過, repentence), and Dok-ji(篤志, resolute will), so actually 7 Jams and 3 Myeongs are the total remaining Hoejae's Jam-myeong. The consistent theme of Hoejae's Jam-myeong is ‘suppressing one's greed and abiding by the courtesy[克己復禮].’ He was an earnest scholar and man of discipline who practiced his understandings in life. He strongly opposed personal inner greed and idleness, or external temptations and dangers. Based on such attitude, he declared his life attitude in 「Won-jo-o-jam」 to fear the heavens, introspect the mind, respect the body, mend the flaws, and establish his will. 「Ip-jam(立箴)」was written when he was at the age 30, and there he introspects and determines to be more philosophically and morally independent according to Confucius' teaching ‘on 30 years old I established myself(三十而立)’, and in「Ja-shin-jam(自新箴)」 he determines to follow ‘be the new person each and every day emulating[日新又日新]’ admonition. These three Jams, as they imply in their titles, were written to introspect and self-warn when he reached certain age or at new years. There are 3 Myeongs written by Hoejae. Among them, in 「Jeong-jeongmyeong(定靜銘)」 and 「Ji-chi-myeong(知恥銘)」, as it is implied in the title, he expresses his determination to acknowledge his shame and his hope to settle in peace. Especially in 「Ji-chi-myeong」, a lengthy Myeong that uses various expressions, he strongly opposes ones who don't know any shame. Among Hoejae's Myeongs, in 「Mu-hyeon-geum-myeong(無絃琴銘)」 he expresses his ego relatively free from Confucianism virtues. In this work, he shows his hope to be liberated from all the compliments and evaluations of cumbersome and troublesome world and to live freely in the primordial nature. In literary aspect, Hoejae's Jam-myeong is Confucianism didactic essay with Geuk-gi-bok-rye(克己復禮) as its ultimate goal. In his writings, most of the sufferings arose by the world around him are mostly caused by inner carelessness state, such as personal greed or idleness. When a work has a goal to grow upright heart against inner carelessness, writings become to have less literary tension because they usually have excessively didactic character. In order to avoid this, Hoejae used different terms, or repeated terms in creative ways, or he used counterevidence or interlocutory to enhance writing's vitality. Hoejae ha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Koryeo Dynasty, Ki-mul-myeong style (proverbs written at daily necessities)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mostly with allegorical and satirical property,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st of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with didactic property of vigilance and warning, and Hoejae's Jam-myeong lies at the transition. As much as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s respected Hoejae, their following Jam-myeong literature were highly influenced by Hoejae.

      • KCI등재

        투고논문 : 19세기 말∼20세기 초 전통 지식인 한시의 문학사적 성격 검토 -척암(拓菴) 금도화(金道和)의 경우-

        김윤규 ( Yun Kyu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3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한시는 한국문학사에서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시기에 실제로 한시가 문학 창작의 한 중요한 대세였는데도 문학사적으로 쇠퇴기의 한 조류로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특히 영남 사림의 전통적인 지식인에 의해 창작된 한시들은 양적으로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민족적 의지와 독립정신 및 철학적 자기인식에 있어서 문학사적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 척암 김도화의 작품들도 그런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는 당대 영남 지식인의 중심인물이었으며, 초기 의병활동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로 국난을 극복하는 데 앞장을 섰다. 이런 외부적 활동이 그의 업적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척암의 한시는 문학적 조명을 받지 못하고 의로운 자기선언의 도구로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척암의 시는 그의 公的 자아만이 아니라 私的 자아 역시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그의 시들은 외면적으로 강고한 독립의 의지와 불굴의 지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성격은 그의 전기적 사실과도 부합하여 그의 시에 강한 외면적 성격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사적 내면을 노해한 시들은 그의 부드럽고 세심하며 자연을 사랑하는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민족의 위기에 분연히 일어선 민족지사이면서 동시에 작은 사물에도 다정한 눈길을 주는 시인이며 가족적 고난에 눈물 흘리는 따뜻한 가장임을 드러내고 있다. 그의 만년이 되면 척암은 이런 모든 공적인 활동과 사적인 감회가 하나로 통섭되어 자연 속에 흐르는 일체가 되는 것을 시로 보여준다. 척암을 통해,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시인은 자신의 역사적 사회적 장면에서 공적인 선언으로 시를 짓고 있음을 알게 하였으며, 동시에 개인적 감동을 가진 인간으로서 문학적 창작을 남긴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사적 전환기에 창작된 작품이라고 해도 그것이 쇠퇴기의 작품이라고 문학적 조명이 주어지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척암의 한시들은 문학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며, 이런 작업을 통해 20세기 초의 한시들이 정당한 문학사적 평가를 받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ino-Korean poem of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did not get enough attention in the literary aspect. Sino-Korean poems were practically the main stream of creative works of the era, though it is considered to be the vanishing tre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However, poems written by the sino-Korean intellectuals of the time, especially those from Yong-Nam, were the core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the intense conscience of reality and the indomitable independent conscience consist one of the important topics of the time. The poems of Cheok-am Kim, Do-hwa(拓菴 金道和, 1825∼1912) also have the literary values. Cheok-am was the core leader of Yong-Nam intellectuals, and was also a patriot who took the lead as civil forces protecting national sovereignty. Because of his deeds, his poems were understood based on his historic moves, and all his literary works were considered as the replacement of his societal remarks. However, every individuals have both public-self and private-self, and Cheok-am`s poems also share his public statements and private statements. The poems showing strong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deal with topics of conservative patriotism, independence, or enragement. On the contrary, poems of private characteristics show tender, careful and nature-loving features. At the last days of his life, he shows the insight to let every, public or private, activities colligate and flow as one natural stream. I would like to correctly perceive two subjects. One is, works of any figures who are considered to have historic characteristic have to also have emphasis on the features of private-self in the literature field. The other is, in case that a work is from the time of literary transforming era, the work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for having literary features of past era. In this point of view, Cheok-am`s poems deserves attention. He is an outstanding patriot, and at the same time, tender poet, as well as has created valuable works well enough to be mentioned in history of literature of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20세기 초 만주 망명 지식인 漢詩의 문학사적 성격 : 『白下日記』 소재 시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Every patriot is respected for his outstanding and self-giving fight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Meanwhile, not any patriots were free with the personal emotion, difficulty of private life, loneliness and remorse of being political exile. For almost three years, Baekha(白下) kept his diary which shows the detailed lives of political exiles, and their agony truthfully. Baekha showed strong will of independence in his many literary works. He had complicated emotion of hunger, cold, realistic fears of life, and apologies for his family. Through his work, we can understand the patriots more personally. So, along with a characteristic of strong and firm patriot for independence, Beakha can be understood as an aged poet who was carefully watching and self-reflecting life. Naturally, every literary work is written in the author's most preferred language. The intellectuals of early 20th century are educated in 19th century where they learned Chinese characters mostly as their first written character. That is why the actively created literary works of early 20th century are in Sino-Korean. Besides, there were no other choice of written character for those who were raised in local Confucian society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flourishing. Amongs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there were ones who used Chinese characters as formal language, but there were many others who wrote literature with literary sensitivity and awareness of the period. If a traditional Sino-Korean intellectual who couldn't tolerate the pressure of Japanese imperialism was exiled abroad, we can say that he deeply reflected realistic agony of contemporary in his work. So, the literature of them are worth to be listed 20th century literatur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