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외래병원 환경에서 UHF 수동형 RFID 기술을 활용한 태그 추적 시스템 개발

        민대기(Daiki Mi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6 No.3

        RFID 시스템은 초기 공급사슬관리 영역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의료분야 또한 환자, 의료진, 의료기기 등의 위치추적 관리, 의약품 추적관리 등의 영역에 RFID 시스템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래병원에서 태그의 위치추적을 위한 수동형 RFID 기술 기반의 시스템 구축 사례를 4계층의 시스템 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일반적으로 수동형 RFID 기술에서 경험하는 불안정한 인식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계층으로 구성된 데이터 처리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터 처리 절차를 실제 사례에서 취합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태그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추가적인 업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RFID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사례분석에서 경험한 추가적인 논의사항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n RFID system has been widely applied in many areas over the initial SCM application. In the literature enormous RFID applications in healthcare are documented to improve patient safety, patient/provider logistics, and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proposed 4-layered RFID system architecture, we introduce a case that implemented an UHF passive RFID-based tracking system in an outpatient clinic. Particularly, we propose a method to process RFID data that contains noise and missing reads. The proposed method for processing unreliable RFID data is capable to locate the tag accurately and provide additional business information. We finally conclude the paper with identifying obstacles and what is necessary to ensure system reliability.

      • KCI등재

        상향식-하향식 DEA 모형을 이용한 온실가스 감축량 배분

        민대기(Daiki Min),정광헌(Kwanghun Chung) 한국경영과학회 2018 經營 科學 Vol.35 No.3

        In this paper, we develop a model that adjusts the GHG (Green House Gas) reduction targets by taking account of the bottom-up allocation approach in addition to the top-down allocations. Using environmental efficiency instead of the amount of GHG emissions, we propose a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based model to allocate the reduction target. By comparing the top-down allocations with the bottom-up allocations, we identify how much each company can reduce or should require the amount of GHG emission permit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s, collecting data sets for empirical analysis, and showing managerial implications. The top-down model allocates the GHG reductions into companies while maximizing the total efficiency so as to accomplish fair allocations. The bottom-up model determines the maximum amount of GHG reductions with aim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company. We perform empirical analysis to see differences between the top-down and bottom-up allocations. We obtain data from 36 Korean domestic companies in steel industry. Our empirical analysis provides the guideline how much each company should buy or can sell GHG emissions.

      • KCI등재

        탄소 배출권거래 비용을 고려한 직배송 물류전략의 효과성 평가

        민대기(Daiki Min) 한국생산관리학회 201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4 No.3

        최근 탄소배출관리는 물류 산업에서도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탄소배출권거래 시스템 아래에서 직배송 물류전략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탄소배출비용을 고려한 직배송 물류전략의 효과성이 차량의 효율성(utilization) 뿐만이 아니라 탄소배출비용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탄소배출비용 자체보다는 탄소배출을 고려한 경우의 단위 수송(재고)비용과 탄소배출을 고려하지 경우의 단위 수송(재고)비용 사이의 상대적 비율이 효과성의 결정에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이 탄소비용을 고려하는 경우 직배송 물류전략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석모형의 타당성을 수치예제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실험결과 6% 이하의 오류수준에서 물류전략의 효과성을 정확하게 추정하였다. Managing carbon emission has become a major challenge in logistics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ytic metho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direct shipment strategy under a carbon emission trading constraint. With the method, we demonstrate that the effectiveness of direct shipment strategy considering carbon costs i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utilization of vehicle capacity but also with the ratio of costs for transportation and inventory without considering carbon emission to those with carbon emission. The method provides insights that help a company to understand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shipment strategy when considering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We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using a numerical example.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r bound of the effectiveness developed in this work successfully estimates the actual effectiveness with an error of less than 6%.

      • KCI등재

        순회배송 물류전략에서 탄소배출 비용의 효과 분석

        민대기(Daiki Min)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지 Vol.40 No.1

        This paper develops an analytic model for minimizing the cost of distributing items by truck from one supplier to many customers under Milk run logistics strategy. The model derives formulas for not only inventory and transportation costs but also costs associated with carbon emission trading scheme. In addition, monetary investment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is considered. We analyze how to determine optimal shipment size and carbon emission reduction investment.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rbon emission trading scheme on the Milk run logistics strategy in terms of how much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or inventory and transportation costs. We analytically show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carbon emissions while reducing inventory and transportation costs by introducing cap-and-trade carbon emission trading scheme under certain conditions.

      • KCI등재

        예약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고객 도착 프로세스 분석

        민대기(Daiki Min) 한국경영과학회 2012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7 No.2

        Delivery of a good quality of service in an efficient manner requires matching the supply of capacity with customer demand. Much research has employed queueing models that analyzed the service system on the basis of independent and stationary customer arrivals. However, the appointment system, which is widely used to facilitate customer access to service in many industries including healthcar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ustomer arrival process so that the independent and stationary assumption does not hold in an appointment-based service system.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model for accurate illustration of the appointment-based customer arrival process. The use of the proposed model allows us to evaluate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such as mean waiting time and service level under various appointment policies instead of conducting simulation studies.

      • KCI등재

        추계적 계획법을 이용한 수술실 예약 모델과 Newsvendor 비율의 자원 효율성에 대한 영향 분석

        민대기(Daiki Min) 한국경영과학회 2011 經營 科學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hedule elective surgery patients using a stochastic programming approach and to illustrate how operating room utilization behaves when a decision-maker varies costs associated with utilization. Because of the uncertainty in surgery durations, the underage and overage costs that a decision-maker consid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ocating surgery cases into available operating room capacity. We formulate the problem as a stochastic mixed integer programming and propose a sampling-based approximation method for a computational purpose. Newsvendor model is employed to explain the results from numerical experiments that are conducted with the actual data from a hospital. The results show that the operating room utilization is more sensitive when the unit overtime cos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unit cost for underutilized time.

      • KCI등재

        탈원전・탈석탄・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신규 전원구성의 수급 안정성 평가

        민대기(Daiki Min),류종현(Jong-hyun Ryu),최동구(Dong Gu Choi)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에너지경제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그 비중이 크지 않아 장기 전원구성 계획 시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 불확실성이 전력 시장의 수급 안정성 및 적정 예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명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기반을 두어 우리나라 장기 전원구성 계획의 수급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따르는 경우 신재생에너지 공급 불확실성은 계획기간 후반부인 2024년 이후부터 전력시장의 수급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석탄·원자력 비중이 감소하고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하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평균 설비 예비율과 공급 예비율을 각각 20%와 18% 이상으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설정하고 있는 수준들(각각 16%와 12%)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으나 목표 공급 신뢰도(0.3일/년)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가 예상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decided to dramatically exp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RETs) while reducing the portion of nuclear and/or coal power generations. The large deployment of RETs could possibly hurt the power system reliability because of the unreliability of RET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unreliable RETs on the reliability of power supply and the level of reasonable reserve margin. Numerical analysis provides some interesting findings. First, the 7th basic power supply plan (the 7<SUP>th</SUP>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could fail to meet the target level of power system reliability after 2024. In addition, the power system reliability could possibly worsen in the 8<SUP>th</SUP> basic power supply plan, which reduces the portion of nuclear and coal power generation and increases RETs, even though the 8<SUP>th</SUP> basic power supply plan sets the installed reserve and capability margin as 20% and 18%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7<SUP>th</SUP> basic power supply plan, 16% and 12% respectively.

      • KCI등재

        동아시아 제조업 업종별 고용효과의 DEA를 활용한 분석 -한국의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민대기 ( Daiki Min ),구훈영 ( Hoonyoung K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1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둔화도 문제지만 성장하는 산업에서도 고용 없는 성장으로 고용환경은 날로 악화되어 가고 있다. 산업 정책에 있어서도 성장만을 지향할 수 없으며 고용의 양과 질에 대한 개선 요구는 정책적, 산업적 차원에서 더욱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제조업 세부 업종별 고용효과의 평가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타 지역대비 상대적 우위를 점하면서 경상남도 지역내 타 업종대비 고용효과가 우수한 제조업종을 식별하고, 차별화된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경상남도 지역 내 종사자수 규모와 취업계수 분석 결과, 제조업의 지역 내 기여도가 높은 상황이지만,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 고용규모의 변화와 변동성에서 큰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과 같은 노동집약적인 업종 뿐 아니라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등의 자본집약적 또는 첨단기술 기반의 업종도 높은 고용흡수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전형적인 장치산업 또는 설비기반 산업인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등은 취업계수가 2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비중이 23%로 최대인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경우, 2배 이상의 종사자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상대적인 저취업계수 업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고용규모는 반감되었으나 취업계수 증가율은 최대인 업종으로 고용규모 대비 생산액 감소 속도가 빠른 업종임을 알 수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종사자수가 두 배 전후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큰 규모의 자본투자를 동반해야 하는 업종 특성으로 낮은 취업계수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구 제조업`의 경우 최대의 고용규모 성장에 주목해야 할 업종이다. 우리나라의 16개 시 도 사이의 업종별 경쟁력을 분석함에 있어 취업계수 등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요인을 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활용하였다. 특히 상대적 우위를 갖는 업종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목적에 따라서 우수한 판별력을 제공하는 초효율성(super-efficiency) DEA 방법을 이용하였다. DEA 효율성 지표는 투입요소로 대표적인 생산요소인 설비투자액, R&D투자액과 함께 고용규모를 나타내는 종사자수를 이용하였다. 산출요소로는 생산액과 함께 고용효과의 양적, 질적 평가를 위해서 종사자수의 변화량과 연간 급여액을 사용하였다. DEA 분석을 통하여 경상남도 지역의 22개 제조업 업종별 지역 순위를 도출하였다. 16개 시 도 중 상위 25%(1∼4 순위)에 해당하는 성과를 보이는 업종은 총 6개였으며, 상위 25∼50%(5∼8 순위)에 해당하는 업종은 8개였다. 또한 상위 50~75%(9∼12 순위)와 하위 성과(13∼16 순위)에 해당하는 경상남도지역의 제조업 업종은 각각 7개와 1개였다. 시 도 간 비교에서 경상남도가 뛰어난 우위를 보인 업종으로는 `식료품 제조업`,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으로 현재의 업종 경쟁력 유지를 위한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매우 낮은 업종은 많지 않으며, 경상남도 지역의 제조업 업종의 절반 이상이 타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타 지역에 비해 확실한 우위를 갖지 못하는 업종의 경우, 업종별 효율성을 기준으로 정책적 방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의 경우 가장 효율적인 지역과 비교하여 설비투자액이 과다한 규모(약 90억원/년)인 반면, 생산액(약 243억원/년)과 연평균 종사자수 증가(약 13명/년)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쟁력이 낮은 업종일수록 과다 또는 과소 상태의 투입 산출요소가 증가하였다. 경쟁력이 우수한 업종의 경우, 설비투자액, 생산액 및 연간 종사자수 증감이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위 50%이내 업종의 경우 타 지역대비 낮은 생산액이 경쟁력 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상위 75%이내 업종은 생산액과 함께 연간 고용자수 증감이 경쟁력 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다. DEA 방법에서 제공하는 요인별 벤치마크 대비 개선 수준을 분석한 결과 경상남도 지역의 경우 고용효과가 낮을수록 과다한 설비투자규모와 함께 신규 고용창출 효과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상남도 지역내 제조업종의 상대적 고용효과 분석결과와 DEA를 활용한 타 지역대비 경쟁력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22개 제조업종을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제조업종의 유형별 고용효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ong with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in Korea, employment growth has been submerged in stagnation. In developing the industrial policy, not only the economic growth but also the size and quality of employment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This paper evaluates the employment effectiveness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Gyeongnam province with aims to identify industry sub-categories that are competitive across manufacturing industry and Korea in terms of employment effectiveness. We also provide some findings and implications meaningful for designing an effective industrial policy. We first investigates the employment size, employment coefficient and added value ratio of 22 manufacturing industry sub-categories in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major contributor to the employment,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size and its variance across industry sub-categories. The conventional measures such as employment coefficient fail to consider employment quality and industry size. To overcome these drawbacks, we employ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which i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inputs and outputs, and measure the employment effectiveness of Gyeongnam province in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he DEA efficiency is defined by multiple inputs(equipment investment, R&D investment, employment size) and outputs(gross output, annual salary, changes in employment size). For each of 22 manufacturing industry sub-categories, a super-efficiency DEA model that has better discrimination power is used to rank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in order of employment effectiveness. There are six industry sub-categories ranked within the top 25%(i.e., 1∼4 ranks), and eight sub-categories are ranked within the top 25%∼50%(5∼8 ranks). The numbers of industry sub-categories ranked within the top 50~75%(9∼12 ranks) and the low 25%(13∼16 ranks) are seven and one, respectively. In overall,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Gyeongnam province has relatively better employment effectiveness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urther DEA analysis shows that excessive equipment invest-ment, too many employees and slow employment growth mainly contribute to the low employment effectiveness. Finally, we classify 22 manufacturing industry sub-categories in Gyeongnam province into four groups with respect to the employment coefficient of each sub-categories and the rank obtained from DEA analysis. For example, nine manufacturing industry sub-categories(industry codes 10, 13, 14, 16, 21, 23, 25, 27, 32) are classified into Group I, which is high employment coefficient and high ranked industry sub-categories. It means that these nine industry sub-categories are competitive across manufacturing industry and Korea in terms of employment effectiveness. Based on the analysis, we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effectiveness in Gyeongnam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