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외국인노동자 지원체계와 개선과제

        최영미 ( Youngmi Choi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본 연구는 이주민을 위한 지원 서비스가 통합 서비스 형태로 가는 현 시점에서 외국인노동자가 타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집중거주하고 있는 경기도의 특성이 반영된 경기도 특화 기관인 외국인복지센터와 그 이외의 시민단체를 바탕으로 경기도 외국인노동자 지원체계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민단체의 특성은 지속성, 다양성, 탄력성, 유연성에 있다. 정부의 위탁기관은 다소 획일적이고 경직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보완·보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위탁기관과의 자원배분의 문제가 제기된다. 셋째, 민관협력 체계 재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민관협력은 결국 이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그 지역에서 해결점이 제시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주민 관련 시민단체 들 간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경기도의 외국인노동자 지원체계는 이러한 시민단체와 외국인복지센터와의 협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원체계를 효율화 하기 위해 각 시군의 외국인노동자 지원체계를 특성에 맞게 ‘외국인복지센터 주도형’, ‘민간단체 주도형’, ‘유관기관 협력형’으로 유형화하여 시군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eed to establish migrant service centers, a specialized agenc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where more foreign workers live, compared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at the time when support services for migrants evolve into an integrated service type. This study also seeks to create efficient operation measures. To this end, theoretical discussions related with foreign workers were carried out,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Gyeonggi Province government, as well as the operations and use status of migrant service centers, were analyzed, and efficient operation measures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efficient operations of the migrant service centers: ① Investigation of the local community’s infrastructure and selection of agencies used ② Provision of integrated operational guidelines of Gyeonggi Province and evaluation of regular operations ③ Consolidation of staff’s competence and assurance of operations’ stability ④ Expansion of area into 31 cities and counties and support of linkage cooperation.

      • KCI등재

        가정의 소득수준과 부모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최영미 ( Choi Youngmi ),이희영 ( Lee Heey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 207부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소득수준과 부모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소득수준은 지지적 훈육, 행동통제적 훈육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심리통제적 훈육은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행동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지지적 훈육은 행동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정서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아울러 행동통제적 훈육과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행동통제적 훈육은 행동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지지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고, 부모의 심리통제적 훈육방식과 행동통제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행동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는 없었고, 부모의 훈육방식 중 행동통제적 훈육방식과 유아의 행동조절 간의 관계에서는 소득수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저소득가정의 정서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sciplinary style on self-regul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income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 and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7 parents with 3-5 year old children.. The PDI(The Parenting Dimension Inventory) developed by Judith and Christopher(1979)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ed by Lee Jung-Ran(2003) were used to collect data.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income, parental discipline and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Specifically, the level of incom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supportive discipline and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but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controlling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motional regulat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Supportive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but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Also supportive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Second, parental supportive discipline influence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ling and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influenced behavior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ird, the level of income wa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me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but the level of incom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and behavior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emotional support of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후보

        보건진료소의 관할 지역 건강조사 사례

        최영미(Choi, Youngmi),진영란(Chin, Youngran) 한국농촌간호학회 2019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is case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health survey conducted by a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Methods: The community health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6 to May 31, 2018 with face to face interviews done by 48 trained senior nursing students. Result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rates for chronic disease prevalence, chewing discomfort, falls, and depress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levant district/the relevant city, and the whole country. It is encouraging that the treatment rate for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nd walking practice rate were higher than those other regions. Those who participated in village events had low stress,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had a high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in the public health center post needs to oper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continuously. Programs includ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fall prevention, depression control, and or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and ways to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participation in village event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의 융합 수업 계획에 대한 관점

        최영미 ( Youngmi Choi ),홍승호 ( Seung-ho Hong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2 생물교육 Vol.50 No.1

        This study sought to disclose the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en they designed science content-based integrated lessons in the TPACK training. We collected twenty participants’ planning guides of learning activity types and written record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those data, 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lasting 30 minutes for the individuals were conducted one week earlier before their lesson practices. Using NVivo 12 qualitative analysis, transcribed scripts were converted into data coding nodes and word frequency clouds. As result, we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eferentially considered learner interest to select learning themes and materials. They mostly used science, technology, and arts for STEAM subject components in their lessons, whereas they regarded mathematics as a complicated content to integrate with scientific fields. Categorize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ir STEAM less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activity typ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y often contained ‘conceptual knowledge building’ and ‘knowledge expression,’ instead of ‘procedural knowledge building.’

      • KCI등재

        작은 생물 서식 환경에 대한 그리기와 연상 단어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식 연구

        최영미(Youngmi Choi),홍승호(Seung-Ho Ho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f the environments that small organisms can inhabit, through picture drawing and associated words about the organisms. The participants were 449 elementary students from grades 5th and 6th living in J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students answered small-sized animals and/or plants as associated words about small organisms. Students conceptions of the habitats in which small organisms live were related to four categories, the ground, the hydrosphere, the living environment, and everywhere, although the ground environment was described most often.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nfluence of microorganisms on humans were revealed in aspects such as disease and health, decay, and positive perceptions were related to technological applications regarding food production and medical and environmental uses. The group of students also had beneficial and detrimental perceptions about the influence of small sized organisms without a one-sided inclination. It is inferr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ssociate with words about microorganisms tend to perceive a greater variety of places as inhabitable environments, becaus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croorganisms and the entir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en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regarding the habitats of small organisms.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a curriculum concerning small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live within the ecosystem.

      • KCI등재

        학습 활동 유형 계획에서 내용 영역의 선택에 따라 과학 내용 중심의 통합 수업이 예비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

        최영미 ( Youngmi Choi ),홍승호 ( Seung-ho Hong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3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의 함양을 고려한 과학 내용 중심의 통합 수업이 내용 영역의 선택에 따라 예비 초등교사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2018년 및 2019년 2개 학기 동안 과학 내용 중심의 통합 수업을 수강한 194명의 교육대학생이다. 연구참여자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1)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전체 참여자 집단, 2) 통제집단 종속 사전-사후검사 설계에 기반하여 내용 영역의 선택 여부에 따라 설정한 집단 1 및 집단 2, 3) 생명 영역 또는 지구와 우주 영역 중 선택한 내용 영역의 종류로 나눈 집단 2의 하위 집단이다. 적용한 프로그램의 주요 활동으로서 집단 2의 예비 교사는 스스로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을 토대로 융합 수업을 계획할 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선택하는 기회가 주어졌다. 양적 자료는 47개 문항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검사 도구로 프로그램 적용의 사전 및 사후에 수집되었다. 이 연구는 적용한 프로그램이 예비 초등교사 연구참여자 집단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의 점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에서 연구참여자가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지식을 쌓고, 지식의 융합을 깊이 있게 반성하였기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과 그 하위 지식 구성요소는 내용 영역 선택의 기회에 상관없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n integrated science content-based course, focused on TPACK enhancement, on the knowledge of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in accordance to their content domain choic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 194 elementary school teacher candidates enrolled to an integrated science content-based course for two semesters in the 2018 and 2019 academic yea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 entire participant group, which was part of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 the intervention groups 1 and 2, formed based on a content domain choice, and c) the subgroups of the group 2 based on the selected content domain type. When the pre-service teacher of the group 2 planned a learning activity type guide based on their TPACK as a major activity in the program, they were given the choice to select a content domain from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concerning the TPACK questionnaire comprising 47 survey item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tegrated course enhanced the teacher candidate group in terms of their TPACK scores. We attributed this to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teacher education, which has helped teacher candidates to increase their knowledge of technology- integrated lessons and become deeply involved in reflecting on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It was suggested that TPACK and its knowledge components could be improved regardless of there being an opportunity to choose the content domain.

      • 대학생이 인식하는 성인지 감수성 실태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영미(Choi, YoungMi),정현용(Jung, HyunY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 No.

        본 연구는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K 대학교의 대학생들이 성인지 감수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실태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인지 감수성은 특정한 성별에서 불평등이 생기지 않게 남성과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의 인식 및 반영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고, 남녀 모두가 가진 개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K 대학교의 3개 캠퍼스 7개 단과대학 재학생 1,956명을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K 대학교 재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은 성별, 성적, 단과대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학년, 군필 여부(남자), 이성 친구 유무, 성폭력 관련 강의수강 경험 여부, 성인지 감수성 관련 강의 수강 여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상담센터에서 K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K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gender sensitivity in today’s society where the interest in it is growing. Gender sensitivity enhance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flect the effect on men and women,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ert their own individuality while preventing inequality in a certain gend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gender sensitivity targeting 1,956 students of 7 colleges in 3 campuses of K University. The survey result of gender sensitivity of K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score, college and major. By the wa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 completion of military service, opposite sex friend, and experience of classes regarding sexual violence and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I want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for gender sensitivity for K University students in our Student Counseling Center based on this study results.

      • KCI등재

        연구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작은 생물" STEAM 수업이 초등과학 영재에게 미치는 효과

        최영미 ( Youngmi Choi ),홍승호 ( Seungho H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초등과학 ‘작은 생물’ STEAM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 영재학생의 창의적 인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발한 STEAM 수업은 과학 지식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통합한 내용적 융합의 방법을 통해 학습자가 창의적 설계와 감성적 체험을 효과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이었으며, 양적 및 질적 접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7차시의 수업을 적용한 결과, 개발한 STEAM 수업이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효과가 있었다. 창의적 인성하위 요소 중, 독립성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과학적 태도 측면에서는 자발성 및 인내심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본 연구는 생명 과학 및 컴퓨터 프로그래밍처럼 STEAM 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통합하는 일이 과학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창의성과 흥미를 신장시킬 수 있음을 제안한다.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초등과학 ‘작은 생물’ STEAM 수업의 효과

        최영미 ( Youngmi Choi ),홍승호 ( Seung-ho H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초등과학 '작은 생물' STEAM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창의적 인성, 창의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발한 STEAM 수업은 과학 지식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통합한 내용적 융합의 방법을 통해 학습자가 창의적 설계와 감성적 체험을 효과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이었으며, 양적 및 질적 접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을 적용한 결과, 개발한 STEAM 수업이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생명 과학 및 컴퓨터 프로그래밍처럼 STEAM 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통합하는 일이 과학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창의성과 흥미를 신장시킬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develop STEAM lessons using Scratch programming regarding small organisms and examine whether the STEAM lessons can affect on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TEAM lessons were designed that learners could experience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through the instructional method of contents convergence to integrate scientific knowledge and scratch programming. It was applied to 26 science gifted students,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s a result, the STEAM lessons were effective on creative personality and scientific attitude (p<.05).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ion of effective means for STEAM lessons such as life science and computer programming may result in increased creativity and interest of students for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환경 복원 STEAM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창의적 문제해결력,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최영미(Youngmi Choi),양지혜(Ji Hye Yang),홍승호(Seung-Ho Ho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2

        본 연구는 환경 복원을 주제로 스마트기술을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은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 및 수업 설계 준거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과정에 차시 대체형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조직하였다. 총 10차시의 STEAM 수업에 참여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 수업에 참여한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환경 복원 STEAM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환경의 중요성을 느끼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이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이 향상되었고 수업만족도가 높아 전통적 교과 수업보다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환경 복원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환경소양의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의 융합을 통해 학습 과정에서 동기와 흥미가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gram based o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TEAM) educational approach, and to examine how the STEAM program influence environment literac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in elementary education. The developed STEAM program is consisted of three modules and ten periods of less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rogram was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of 26 sixth-grade students while a traditional discipline-based lessons were applied to 26 students as a comparison group.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the results of a pre-test and a post-test on environmental literac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were used. These results were brought together in this paper to explore how the STEAM program might foste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tudents. First, the STEAM program on integrated environmental remediation theme led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to find ways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revealed strong leverage to stimul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ird, the STEAM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well. Fourth,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domain impl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EAM program. Moreover, the elementary students who involved in learning STEAM contents tended to b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STEAM lessons on environmental theme may help elementary students improve environmental literacy and motivation for STEAM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