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生成) 연구(硏究) -제(第)3보(報) :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

        정연태,엄기태,정필균,하호성,Jung, Yeun-Tae,Um, Ki-Tae,Jung, Pil-Kyun,Ha, Ho-Su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2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生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영천(永川)(내륙(內陸)) 및 영일(迎日) (해안(海岸))지역(地域)에서 대표적(代表的)인 단구군(段丘群)을 선정(選定)하여 1, 2차광물(次鑛物)의 조성(助成)과 특성(特性)을 토양생성(土壤生成)과 연관시켜 분석(分析)하여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중세사(中細砂)에 함유(含有)된 중광물(重鑛物)은 5% 이하(以下)이었으나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이 예상되는 토층(土層)에서는 9.8~16.2%로 높았고 경험물(輕驗物) 중(中) 장석류(長石類)의 함량(含量)은 영천지역(永川地域)에서 높은 반면(反面)에 석영(石英)은 영일지역(迎日地域)에서 높았으며 석영(石英)/장석비(長石比)도 모재(母材)의 불연속예상토층(不連續豫想土層)은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과 구분(區分)되었다. 2. 풍화잔사물(風化殘渣物)의 성숙도지수는 영천지역(永川地域)이 76.7~29.9이었으며 영일지역(迎日地域)은 85.6~67.2로서 고위단구(高位段丘) 일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3. 점토(粘土)의 규반비(珪礬比)는 1.93~2.65로서 낮았고, $Al_2O_2/TiO_2$비(比)와 $Fe_2O_3/Al_2O_3$비(比)를 기준(基準)한 모재(母材)는 산성암류(酸性岩類)에 속하였고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도 구별(區別)되었다. 4. X-선회절분석(線回折分析) 및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에 의한 점토광물(粘土鑛物)은 Kaolin 및 Illite가 주광물(主鑛物)이었고 일부(一部)는 Vermiculite 및 Vermiculite-Illite중간형광물(中間型鑛物) 등(等)이었으며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이 예상(豫想)되는 영천(永川)의 반천통기층(盤泉統基層)에서는 Kaolin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고 영일(迎日)의 우평통기층(牛坪統基層)에서는 Montmorin계광물(系鑛物)이 다량(多量) 검출(檢出)되는 등(等)으로 단구퇴적물(段丘堆績物)과 구별(區別)되었다. To clarify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the clayey terrace soils in Yeongnam area, the study were carried out with 9 typifying pedons of toposequential terrace soils in Yeongcheon (inland area) and Yeongil (coastal area) region. The results of soil genesis oriented investigations on soil mineralogical compositions and weathering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heavy minerals contained in sand fraction of the terrace soils were less than 5%, but the content in soil layer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other than terrace deposits had 9.8-16.2%. The content of feldspars in light minerals were higher in Yeongcheon sequence while the Yeongil sequence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higher content in quartz. The ratios of quartz/feldspars in the soil layers where expecting lithological discontinuity,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errace deposits. 2. The resistate index of maturity ranged around 76.7-29.9 in Yeongcheon area and around 85.6-67.2 in Yeongil area. The indices increased with the elevations of terraces. 3. The molar ratios of $SiO_2/Al_2O_3$ in clay fraction were around 1.93-2.65. The parent materials of the terrace deposits judged by the ratios of $Al_2O_3/TiO_2$ and $Fe_2O_3/Al_2O_3$ were considered to be the felsic materials. 4. The compositions of clay minerals detected by X-ray diffractogram and D.T.A. thermogram were dominated by kaolin and illite with subsidiary minerals of vermiculite, quartz, vermiculite intergrading to illite etc. It was distinguished from terrace deposits that by having higher amount of kaolin and montmorin minerals in the substrata of Bancheon soils in Yeongcheon area and Upyeong soils in Yeongil area, respectively.

      • KCI등재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연구(生成硏究) -제(第)5보(報) : 토양생성(土壤生成)과 분류(分類)

        정연태,Jung, Yeun-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4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식질(埴質)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生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영천(永川)(내륙(內陸))과 영일(迎日)(해안(海岸))지역(地域)에서 대표적(代表的)인 연접단구군(連接段丘群)을 각각(各各) 선정(選定)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고 기보(旣報)한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과 단면발달도(斷面發達度),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광물학적특성(鑛物學的特性),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 특징(特徵) 등(等)을 토태(土台)로 본보(本報)에서는 토양생성(土壤生成)을 밝히고 합리적(合理的)인 토양분류(土壤分類)를 시도(試圖)하였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의 기상조건(氣象條件)은 연평균기온(年平均氣溫)이 $12.3{\sim}13.2^{\circ}C$, 온량지수(溫量指數)는 101.8~107.1, 강수량(降水量)은 년(年) 1,029.6~1,084.2mm, T-E지수(指數) 67.0~71.5, P-E지수(指數) 73.5~77.8 등(等)으로서 내륙(內陸)보다 해안지역(海岸地域)이 약간 높았으며 양지역(兩地域) 공(共)히 "Mesic" 지온권(地溫圈)에 속하였고 Thornthwaite의 토양기후도(土壤氣候圖)에 의하면 "적색(赤色) 또는 황색토지대(黃色土地帶)"에 속하였다. 2. 식질(埴質)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들은 모두 Argillic B층(層)을 가진 성숙토(成熟土)이었으며 영일지역(迎日地域)의 우평통(牛坪統)은 II B층에도 "Argillans"이 생성(生成)되어 있는 "Paleo-argillic" 토층(土層) 함유토양(含有土壤)이었다. 3.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생성년대(生成年代)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Bisequum" 단면(斷面)인 영천지역(永川地域)의 반천통(盤泉統)과 영일지역(迎日地域)의 우평통(牛坪統) 기층(基層)을 조사(調査)하여 본 결과(結果), 이들은 중생대(中生代) 혈암잔적(頁岩殘積) 또는 제(第)3기층(紀層)이었으므로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은 제(第)4기고층(紀古層)인 홍적층(洪積層)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4. 현재(現在) 널리 쓰여지고 있는 미농무성(美農務省)은 신토양분류법(新土壤分類法)과 F. A. O법(法)에 미비(未備)된 답토양(畓土壤)의 분류기준(分類基準)을 보완(補完)코자 단면(斷面)의 적색도(赤色度)를 적용(適用)하여 인위적(人爲的) 관개(灌漑)에 따른 표층회색화(表層灰色化) 토양(土壤)인 덕평통(德坪統)과 화동통(華東統)을 Anthr-epiaquic Hapludalfs(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 Anthr-epigleyic Acrisols(F. A. O. 법(法))로 분류단위(分類單位)를 신설(新設)하여 자연적(自然的) 지하수(地下水)에 의하여 심토(心土)가 회색화(灰色化) 된 우평통(牛坪統)(Aquic Hapludalfs 및 Gleyic Acrisols)으로부터 세분(細分)하고, 관개(灌漑)와 지하수(地下水) 양자(兩者)에 의하여 단면(斷面)의 대부분(大部分)이 회색화(灰色化)된 극락통(極樂統)은 Anthr-aquic Ochraqualfs(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 및 Anthr-tyicgleyic Acrisols(F. A. O. 법(法))으로 한 단위(單位) 높은 수준(水準)에서부터 구분(區分)하여 인공숙답(人工熟畓)임을 명시(明示)해 줄 것을 제안(提案)하였다. 한편 회색(灰色) 반문(班紋)이 전혀없는 반천통(盤泉統)은 미농무성법(美農務省法)의 Typlc Hapludalfs, F. A. O법(法)의 Orthic Acrisols 이었다. A series of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clayey terrace soils distributed at the inland (Yeongcheon) and coastal (Yeongjil)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was carried out. On the base of the facts found and already reported about the macro morphological features as well as on pedological characters in micro sca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etc.,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soil genesis and tried to classify the soils for reasonable use and managements. 1. Although the both regions belonged to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and "red and yellow earths" areas of "Thornthwaite" pedo-climatic diagram, climatic indices as a soil forming factor indicate that the coastal Yeongil had milder than the inland Yeongcheon. 2. All the terrace soils had developed soil profiles with an "Argrllic B". Upyeong soils in Yeongil region had "Argillans" even in the "II B horizons" that possibly be "Paleo-argillic". 3. The bisequum profiles of Bancheon in Yeongcheon and Upyeong in Yeongil revealed that they were developed on Late Mesozoic shale and on semiconsolidated Tertiary deposi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overlying clayey terrace deposits were assumed to be originated from the Early Quaternary deposits, Diluvium. 4. To supplement the Soil Taxonomy of USDA, the terrace soils with different degrees of gleyzation were classified as follows; Deogpyeong and Hwadong soils which have less than 50cm of paddified gley horizons (redness less than 0.5) in the upper part of the profiles by artificial surface irrigation, tentatively classified into "Anthrepiaquic Hapludalfs" and the Geugrag soils that have more than 50cm of paddified gley horizons within 1.2m of the profiles, into "Anthr-aquic Ochraqualfs" while the Upyeong soils that had greyish mottles in subsoils by natural ground water remain as an "Aquic Hapludalfs" the same as present. The Bancheon soils with free mottles are into "Typic Hapludalfs" as used at present.

      • KCI등재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연구(生成硏究) -제(第) 4 보(報) : 토양미세형태학적(土壤微細形態學的) 특성(特性)

        정연태,신제성,노영팔,Jung, Yeun-Tae,Shin, Jae-Sung,No, Yeong-Pal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3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미세형태각적(微細形態覺的) 특징(特徵)을 토양생성(土壤生成)과 모재층구분(母材層區分)을 중심(中心)으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 1. 단구토양(段丘土壤)의 원질배열(原質配列)은 Porphyroskelic 상(狀)이고 토양조직(土壤組織)(Soil fabric)은 Vosepic, Mosepic, Insepic, Masepic 등(等)이 대부분(大部分)이었으나 영일지역(迎日地域)의 극락통(極樂統)과 우평통(牛坪統)에서는 Asepic fabric도 있었다. 2. 단구토양(段丘土壤)의 B층(層)에는 ferriargillans, manganiferrous concretions과 papules 등(等)의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특징(特徵)이 현저(顯著)하게 발달(發達)된 Argillic B층(層)이 있었다. 3.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이 예상(豫想)되는 영천(永川)의 반천통(盤泉統)과 영일(迎日)의 우평통(牛坪統) 기층(基層)은 Plasmic fabric이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과 판이(判異)하였으므로 bisequum profile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토층(土層)에도 유리입자상(遊離粒子狀) 점토피막(粘土皮膜)(Free grain cutans)이 생성(生成)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퇴적전(堆積前)에 일정기간(一定期間) 동안 토양생성작용(土壤生成作用)을 받을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推測)되었다. A soil micromorphological study of clayey terrace soils in Yeongnam area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il genetic features and to distinguish the soil parent materials. Dominant plasmic fabrics in the terrace soils were vosepic, mosepic, insepic, and masepic of sepic fabrics but the Geugrag and Upyeong in Yeongil sequence have an asepic fabrics. Embedded grain cutans in the terrace soi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porphyroskelic related distribution. Among pedological features of the B horizons of the terrace soils, the argillic cutans of ferriargillans and glaebules of manganiferrous concretions were the dominant in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the papules are abundant in the most terrace soils indicating that the soils are generally old. The substrata of the Bancheon in Yeongcheon and Upyeong in Yeongil area were so different from the terrace deposits in plasmic fabrics that these soils were believed to be composed of bisequum profiles. Because of having the free grain cutans, it was considered that the substrata of Bancheon in Yeongcheon and Upyeong in Yeongil area might have a period of soil formation before deposition of the terrace materials.

      • KCI등재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2보(報) :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Jung, Yeun-Tae,Park, Eun-Ho,No, Yeong-Pal,Um, Ki-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4

        논토양(土壤)에 수도(水稻)를 포함(包含)하여 그 전후작(前後作)으로 밭작물(作物)을 다모작(多毛作) 할 경우에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 적성정도(適性程度)를 추정(推定) 할 수 있는 논토양다모작적성등급(土壤多毛作適性等級)을 구분(區分)코자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적성등급구분(適性等級區分)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하였다. 기초시험결과(基礎試驗結果)는 전보(前報)에서 논(論)하였고 구분기준(區分基準) 및 주요결과(主要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요인(區分要因)은 잠재생산력을 대표(代表)한 토성(土性) 및 배수등급(排水等級),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표토염농도(表土鹽濃度), 및 심토(心土)의 반응(反應)), 환경조건(環境條件)(경사도(傾斜度) 및 온량지수(溫量指數)) 그리고 지하수위(地下水位) 및 토양모재(土壤母材) 등(等)을 선택(選擇)하여 연역(演繹) 귀납(歸納) 절충식(折衷式) 인자별가중치(因子別加重値) 상승(相乘) 상가복합법(相加複合法)에 의한 이론적(理論的) 최상치(最上値)가 100 점(點)이 되도록 하였다. 91 점이상(點以上)인 토양(土壤)을 I급지(級地)로 하고 60 점이하(點以下)인 토양(土壤)을 V급지(級地)로 하되 10 점(點) 단위(單位)로 등분(等分)하였으며 등급별(等級別) 제한인자(制限因子)는 "물리성(物理性)" "화학성(化學性)" 및 "경사도(傾斜度)" 등(等) 3가지로 하되 2개까지 병기 가능(可能)토록 하였다. 2. 온량지수(溫量指數) 110 이상(以上)인 대부분(大部分)의 영남지역(嶺南地域)은 I급지(級地)가 19%, II급지(級地) 22.7%, III급지(級地) 44.7%, IV급지(級地) 11.5% 그리고 V급지(級地)가 2.1%로서 전국(全國)의 논토양(土壤) 급지별(級地別) 분포비율(分布比率)보다는 상급지비율(上級地比率)이 약간 높았다. 3. 토양별(土壤別) 총득점(總得點)과 생산력지수간에는 유의성(有意性)($r=.922^{**}$)이 인정(認定)되어 기준(基準)의 적합도(適合度)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o establish a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of rice with other upland crops, the study was carried out after a few basic experiments. In succession to the results on basic experiment prior, the suitability system proposed and the results of application mentioned in this repor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actors of soil properties in the system were productivities represented by soil texture and drainage class, as well as salinity of surface and sub-soil pH of chemical properties were considered together with slope, warmth index, ground water table, parent materials etc. of soil physical o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weights of the factors were combined with multiplicatively and additively so as the total marks of ideal soil to be 100. The system was composed with 5 suitability classes; over 91 mark is class I, under 60 mark class V, and each 10 point interval between classes. The limiting factors "P" (in the case that Physical properties or Productivity marks under 24), "S" (Surface slope less than 15) and "C" (Chemical condition below 15) etc. were appended up to two kinds to the classes except a part of soils in class I. 2. The areas where the warmth index exceed 110 in Yeongnam were 19% for class I, 22.7% for class II, 44.7% for class III, 11.5% for class IV, and 2.1% for class V. The rates in class I and II were slightly more than those of the whole country. 3. The points of each soil gained by the system had a positive correlation ($r=.922^{**}$) with the potential productivities.

      • KCI등재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 1 보(報) : 기초시험(基礎試驗)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Jung, Yeun-Tae,Park, Eun-Ho,No, Yeong-Pal,Um, Ki-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3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에 대한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 결과(結果)를 활용(活用)하여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성행(盛行)하고 있는 논토양(土壤) 다모작(多毛作) 이용(利用)을 위한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을 확립(確立)코자 2개년간(個年間) 토양별(土壤別)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별(土壤別) 심토(心土)를 채취(採取)하여 벼앞그루 작물(作物)과 벼를 무비조건(無肥條件)으로 2모작(毛作)한 잠재생산력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미사식양질토양(微砂埴壤質土壤)에서 가장 높았고 "배수불량(排水不良)"한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가장 낮았으며 토양별(土壤別) 생산력비교가 용이(容易)하였다. 2. 유기물분해력(有機物分解力)도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이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보다 높았고 사양질토양(砂壤質土壤)은 밭상태(狀態) 및 담수초기(湛水初期)의 저온시(低溫時)에 분해력(分解力)이 높은 반면에 담수후기(湛水後期)에는 식양질토양(埴壤質土壤)이 높았다. 3. 강우후(降雨後) 경운가능상태(耕耘可能狀態) 도달일수(到達日數)는 식양질계토양(埴壤質系土壤)이 식질계토양(埴質系土壤) 보다 5일정도(日程度) 빨랐고 경운가능기간(耕耘可能期間)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의 식질(埴質)에서 가장 긴 반면(反面)에 식양질(埴壤質)은 가장 짧았으며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은 토성간(土性間)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4.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을 수록 생산력지수는 높았고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한 토양(土壤)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변이(變異)가 중립질토성(中粒質土性)에서 낮았고 조립질(組粒質) 및 세립질(細粒質)은 높았으나 "배수불량(排水不良)" 답(畓)은 그 반대(反對)이었다. To establish a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double or multiple cropping with rice which is intensively practiced in the southern parts of Korea, a few bas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wo ye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tential productivities of the paddy soils which were tested without any fertilizer in the pots of subsoil samples by the double cropping of rice and other upland crops were resulted that the soils of "Moderately well drained" fine silty textured were the highest while the soils of "Poorly drained" sandy were the lowest, and the productivities could be clearly comparab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soil conditions. 2. The decomposability of organic matter also was higher in the soils of "Moderately well drained" than the "Imperfectly drained". The coarse loamy and coarse silty textured soils were high in the upland condition and in the early stages of submerging while the fine loamy and fine silty textured soils were high at the late stage of submerging in the rates of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3. The days to be reached to tillable condition after rainfall in fine loamy textured soils were about 5 days earlier than the clayey soils. The period of tillable condition of fine clayey soils with "Moderately well drained" was the longest and that of the fine loamy textured soils was the shortest. But the soils with "Imperfectly drained" were not clear among soil textural classes. 4. The lower the ground water table the higher was the productivity indices. The variation of ground water table in the medium textured soils was higher than the both of coarse and fine textured soils among "Moderately well drained". But it was observed the opposite in the soils of "Imperfectly drained".

      • KCI등재

        우리나라 답토양(畓土?)의 실용적분류(?用的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사질답(砂質畓) 분류(分類)에 관(?)하여

        정연태,양의석,박래경,Jung, Yeun-Tae,Yang, Euy-Seog,Park, Rae-Kyu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8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5 No.2

        저위(低位) 생산답중(生産畓中)에서 분포면적(分布面積)이 가장 넓고 개량(改良)의 효과(?果)가 큰 사질답(砂質畓)의 분포상태(分布?態) 및 실용적(?用的) 분류(分類)와 더불어 현재(現在) 널리 쓰이고 있는 답류형별(畓類型別) 분류체계(分類?系)의 개선(改善)을 위한 사질답(砂質畓) 유형분류(類型分類) 시안(試案)을 시도(試圖)하여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기준(基準)에 의(依)한 사질답(砂質畓)의 잠재생산력(?在生産力)은 보통답(普通畓)의 86%이었고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가 커서 유형재분류(類型再分類)의 필요성(必要性)이 있었다. 2.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답유형(畓類型) 구분기준중(?分基準中) "사질답(砂質畓)"은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이더라도 습답(?畓)인 경우(境遇)와 염농도(?濃度)가 높은 경우(境遇)에는 제외(除外)되고 있으므로 "객토대상지(客土?象地)" 추천(推薦)이 복잡(複雜)하고 제염(除?)되거나 배수조건(排水條件) 변화시(?化時)에 유형(類型)을 변경분류(?更分類)해야 하였다. 3.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한 사질답분류(砂質畓分類) 시안(試案)에서는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인 모든 답토양(畓土?)을 포함(包含)시켰으며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이 큰 특성(特性)을 기준(基準)하여 개(個)의 아형(?型)(산화용탈형(酸化溶脫型) 사질답(砂質畓); 건답형(乾畓型), 산화환원중간형(酸化還元中間型) 사질답(砂質畓); 반습답형(半?畓型), 환원집적형(還元集積型) 사질답(砂質畓); 습답형(?畓型), 환원염해형(還元?害型), 사질답(砂質畓), 염해형(?害型))으로 재분(再分)하였고 각아형(各?型)은 토성계별(土性系別)로 토양통(土?統)과 연결(連結)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안(試案)의 분류단계(分類段階)는 형(型)(사질답(砂質畓))-아형(?型)(4개(個))-토성계(土性系)(5등급(等級))-토양통(土壤?)(48개통(個統))으로 되었다. 4. 시안(試案)과 같이 사질습답(砂質?畓)과 사질염해답(砂質?害畓)을 사질답(砂質畓)의 일부(一部)에 포함(包含)시켜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를 검정(?定)해 본 결과(結果)는 현행(現行) 체계(?系)에 의(依)한 것보다 개선(改善)되엇다. 5. 전국(全?)의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409,902ha로서 총(?) 답면적(畓面積)의 32.3%에 해당(該?)되며 시안(試案)대로 분류(分類)하면 38.9%(492,982ha)에 달(達)하였고 절대면적(絶?面積)이 많은 지역(地域)은 경기(京畿)(88,923ha), 전북(全北)(69,717ha), 경북(慶北)(55,390ha) 순(順)이었고 답면적(畓面積) 전체(全?)에 대(?)한 상대적(相?的) 비율(比率)이 높은 지역(地域)은 강원(江原)(58.9%), 경기(京畿)(50.5%), 충북(忠北)(48.5%), 전북(全北)(41.0%)의 순(順)이며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더욱 높아져서 강원도(江原道)의 경우(境遇)에는 71.4%가 사질질답(砂質質畓)에 해당(該?)되었다. 6. 사질답(砂質畓)은 답토양(畓土?) 적성등급(適性等級)의 3급지(級地)(69.1%)와 4급지(級地)(29.2%)에 대부분(大部分)이 해당(該?)되었으며 3급지중(級地中)에서는 "3사질(砂質)"(53.3%), 4급지중(級地中)에서는 "4경사(傾斜)"(16.0%)에 해당(該?)하는 토양(土?)이 가장 많았다. 토성계(土性系)(Texture family)별(別)로는 사양질계(砂?質系)(Coarse loamy family)가 59.2%로 대부분(大部分)이었고 징사(徵砂) 사양질계(砂?質系)(Coarse silty)인 것도 전체(全?)의 16.1%에 달( The distribution and practical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which have the most extensive acreage among low productive paddy soils in Korea and have distinctive improvement effects, were studied to propose a tentative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addy Soil Type Classification" scheme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tential productivity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was about 86% of normal paddy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relatively high indicating that the properties of soils included were not sufficiently homogeneous. 2. As the poorly drained and halomorphic (> 16 mmhos/cm of E.C. at $25^{\circ}C$) sandy soils are not included in the "Sandy Soil"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oil Type Classification", the recommendation of "adding clay earth" become complicated, and the soil type have to change when the salts washed away or due to ground water table fluctuations. 3. Coarse textured soils were entirely included in the "Sandy Soils" in the tentative criteria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and the sandy soils were subdivided into 4 subtypes that is "Oxidized leaching sandy paddy", Red-ox. intergrading sandy paddy", "Reduced accumulating sandy paddy" and "Reduced halomorphic sandy paddy". The system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were consisted of following categories; Type (Sandy paddy)-Sub-type (4)-Texture family (5)-Soil series (48). 4. The variation of productivities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was more homogenized than that of the present device. 5. The total extent of sandy paddy soils was 409, 902 ha (32.3% of total p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but the extent reached 492,983 ha (38.9%) by the proposed system. The provinces of Gyeong-gi (88.923ha), Jeon-bug (69.717 ha), Gyeong-bug (55.390 ha) have extensive acreage of sandy paddy soils, and the provinces that had high ratio of sandy paddy soils were Gang-weon (58.9%), Gyeong-gi (50.5%), Chung-bug (48.5%), Jeon-bug (41.0%) etc. The ratio was increased by the proposed scheme, e.g. 71.4% in the case of Gang-weon prov. 6.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group of paddy soils, the sandy soils mostly belong to 3 class (69.1%) and 4 class (29.2%). Coarse loamy textural family (59.2%) and coarse silty (16.1 %) soils were dominantly distributed. 7. The "Red-ox. intergrading subtype" of sandy paddy pertinent to 49.6% (245,012 ha) while the "Oxidized leaching sub-type" reaches to 33.5% (64,890 ha) and the remained 16.9% (83,081ha) belong to "Reduced accumulating sub-type (14.0%) and "Reduced halomorphic sub-type (2.9%)"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 KCI등재

        경사지(傾斜地) 중립질토양연접군(中粒質土壤連接群)에 대한 토양수분상(土壤水分相) 결정(決定)을 위한 부위(部位) 선정(選定)

        정연태,김정곤,손일수,윤을수,Jung, Yeun-Tae,Kim, Jung-Kon,Son, Il-Soo,Yoon, El-So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laboratory data to calculate Soil Moisture Control Section (SMCS) for medium textured topo-sequential soils derived from porphyry in Milyang area. The soils studied were characterized by loam to silty clay loam, and the moisture content at -1/3 bar in the solum ranged around 21.06% to 32.42%. The moisture contents per centimeter of soil layer within a solum calculated at field capacity (FC) ranged from 0.11cm to 0.19cm. The upper boundaries of SMCS of the soils calculated on the basis of FC as the water content at -1/3 bar, ranged from 16.2cm to 21.2cm and the lower boundaries from 44.4cm to 63.8cm, and the depth of SMCS were from 27.7cm to 42.6cm in the soil profiles. The Bongsan soil on the summit had shallower in the boundaries and narrower in the depth of SMCS than the soils on side-slopes or on valley.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분류단위(分類單位)와 생물환경(生物環境)과의 상호관련성(相互關聯性)을 높이고자 미농무성(美農務省)의 신토양분류법(新土壤分類法)에서는 토양수분상(土壤水分相)과 지온상(地溫相)을 채택(採擇)하고 있으므로 본(本) 연구(硏究)는 토양수분상(土壤水分相) 결정(決定)에 필요(必要)한 토양수분상결정부위(土壤水分相決定部位)(Soil Moisture Control Section ; SMCS)를 실험실(實驗室) 분석성적(分析成績)을 활용(活用)하여 우리나라의 야산경사지(野山傾斜地)에 분석(分析)된 중립질연접토양군(中粒質連接土壤群)을 대상으로 산정(算定)하였다. 1. 반암유내연접군(斑岩由來連接群) 토양(土壤)들은 양토(壤土) 내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로서 상호유사(相互類似)하였으나 곡간(谷間)에 분포(分布)된 반숙토(半熟土)인 우곡통(牛谷統)의 점토함량(粘土含量)은 다른 과숙토(過熟土)들에 비(比)해 낮은 편(便)이었고 진토층(眞土層)(Solum)의 $-{\frac{1}{3}}$ bar 함수비(含水比)는 21.06~32.42% 이었다. 2. 진토층(眞土層) cm당(當)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환산치(換算値)는 0.11~0.19cm로서 단면발달도(斷面發達度)가 강(强)할수록, 또 용탈층(容脫層)보다는 집적층(集積層)에서 높았다. 3. 토양별(土壤別) 토양수분상결정부위(土壤水分相決定部位)의 상부경계(上部境界)는 16.2~21.2cm, 하부경계(下部境界)는 44.4~63.8cm의 범위(範圍)로서 SMCS의 두께는 27.7~42.6cm이었는데 산정부토양(山頂部土壤)에서 얕고 좁은 반면(反面)에 산복(山腹), 산록(山麓)으로 내려 올수록 깊고 두꺼워져서 곡간토양(谷間土壤)의 경계(境界)가 가장 깊었고 결정부위(決定部位)도 가장 두꺼웠다.

      • KCI등재

        중국(中國) 토양(土壤) 계통(系統) 분류(分類) 안(案)의 소개(紹介) 및 고찰(考察)

        정연태,Jung, Yeun-T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9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6 No.3

        중국(中國)은 1991년에 새로운 토양계통분류법(土壤系統分類法)을 1차(次) 시안(試案)으로 확정 발표하였다. 본 체계는 미국의 Soil Taxonomy 체계와 비슷한 형태계량적규준(形態計量的規準)(Morpho-metric definition)으로 되어 있고 전산(電算)프로그램화(化)도 가능한 체계로 되어 있다. 분류체계는 목(目)(Order, 토망(土網)), 아목(亞目)(Suborder, 아망(亞網)), 군(群)(Group, 토류(土類)), 아군(亞群)(Subgroup, 아류(亞類)), 속(屬)(Family, 토속(土屬)), 통(統)(Series, 토종(土種))으로 되어 있고, 현재 13개 목망(目網), 33개 아목(亞目), 77개 군(群), 301개 아군(亞群)으로 분류되어 있다. 특징적표층(特徵的表層)은 유기표층(有機表層) 등(等) 8종, 진단표하층(診斷表下層)(차표층(次表層))은 표백층(漂白層) 등(等) 10종, 기타 특징토층(特徵土層)은 석회적표층(石灰的表層) 등(等) 12종, 그리고 암성(岩性) 등(等) 23종의 토양 생성적(生成的) 특징(特徵) 또는 현상(現像)을 분류기준으로 쓰고 있다. 분류상의 특징은 고위도(高緯度)나 고산지대(高山地帶)의 영구동결층(永久凍結層)을 강조하여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분류하였고 논토양이나 관개퇴적토(灌漑堆積土), 영양분(營養分)이 심층(深層)까지 집적(集積)된 채전(菜田) 등(等) 인위적(人爲的) 영향(影響)을 크게 받은 토양을 최고차(最高次) 분류단위(分類單位)인 목수준(目水準)에서 독립(獨立)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인위적인 교란(攪亂)을 받았으나 아직 단면(斷面)의 발달이 없는 토양을 초육토(初育土)의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구분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