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협력에 관한 사례연구

        전중양(Joong Yang Jeon),정선양(Sunyang Chung)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R&D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기업과의 R&D 협력의 여러 방법에 대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성공요인과 보완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방법에는 공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방법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범위는 산-학-연과의 중소기업 협력을 모두 포함하였으며, 공공기관-중소기업, 대학- 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의 3가지 유형에서 나타나는 이슈를 중점적으로 인터뷰하였다. 그동안 선진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던CEO의 의지 및 연구원의 참여, 신제품개발관리, 협력네트워크 활용, 지식흡수, 인력유출 및 보안, 협력애로요인에 심층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중요한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대·중소기업간 R&D 협력 문제 개선요인으로는 정부차원 15건, 대기업차원 10건, 중소기업차원 5건으로 정책의 개선사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례연구의 교육적 함의로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성과를 높이고 협력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대·중소기업간 R&D협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인 개선방안 및 주요요인으로 CEO의 의지, 공동의 목표의식, 외부네트워크의 활용, 전담인력 배치, 지리적인 인접성, 정보보호관리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this paper herein,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case studies concerning a number of methods on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for a measur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uth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reinforce their R&D capability. In particular, in-depth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uccess factors and complementary factors in R&D capability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by analyzing cases of new product development with conditional purchase option that can be a signature case of R&D capability between large sized-firms and small & medium sized-firms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also conducted questionnaire analysis and interviews. The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includes all kinds of cooperations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mong industry- academies-research. The interview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focused on the 3 following types: public institution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university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We identify some policy implications, First, we suggest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create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y analyzing merits and demerits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Second, we suggest some measures that can enhance the cooperation performance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improve the coop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rd, we suggest additional policy measures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R&D cooperation, CEOs` intentions, common goal awareness, outside network application, designated personnel placement, geological adjacency, and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 KCI등재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한 신제품개발성과 제고방안: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전중양 ( Joong Yang Jeon ),정선양 ( Sun Yang Chung ) 한국생산성학회 2013 生産性論集 Vol.27 No.4

        In this study,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to the performances of new product development by SME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cases which focused on SMEs that had executed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with conditional purchase options. In the literature review, open innovation theory is particularly examined to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and their internal and ex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this study, the reasons why the new product development is not connected to sales in spite of high success rate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by SMEs were comprehensively identified by evaluating performance, breach of contract purchase agreement conditions, market uncertainty, insufficient support of testing equipments and security leaks of SMEs. And therefor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fforts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projects (large enterprises and SMEs) and the efficient policy plans could make the optimal win-win ecosystem which leads to strengthening the collaboration performances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 KCI등재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표준화 전략

        정선양(Sunyang Chung),전중양(Joong Yang Jeon),황정재(Jeong-Jae Hw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3

        정보통신(ICT)의 발달은 제조업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제조공정에는 사물인터넷, 증강현실, 빅데이터와 같은 최신 정보기술이 적용되어 스마트공장이라는 이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은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등의 제조업에서 스마트공장을 활발히 도입함에 따라 기존의 제조기업들의 생산품질을 높이고, 생산 환경은 유연한 체제로 변화시키면서 미래 제조업을 앞당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제조업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대기업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기술적,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스마트공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지 못하다. 이같은 배경 속에서 본 논문은 스마트공장의 표준화가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의 활용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제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의 표준화 전략 및 확산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분석을 통하여 스마트공장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기술적 요인, 조직적 요인, 산업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도출 · 분류하고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대상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핵심이 되고 있는 뿌리산업이며, 특히 금형분야의 두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뿌리산업 중소기업들에게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표준화 전략 4가지, 즉 국제 표준화, 정부주도 표준화, 기업주도 표준화, 비표준화 추진 등을 도출 및 제안하였다. The development of ICT brings a big chang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IoT, AR, and big data was applied on manufacturing process. As a result, the concept of smart factory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manufacturing paradigm. In fact advanced countries like USA, Germany, and Japan have actively introduced smart factory in their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 automobile, machinery,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quality.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into flexible system, so that smart factory will be leading futur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s changes have more severe influence o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Mny industrial companies, have a strong interest in smart factory and they, particularly big enterprises, have been adopting smart factory to increase their manufacturing efficiencies. However,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ve many financial and technological difficulties so that the diffusion of smart factory in Korean SMEs has not been satisfiable up to present. However, smart factory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of smart factory in so-called Korean ‘roots industry’ by presuming that the standardization will activate the diffusion of smart factory among Korean SME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itiveness of SMEs, especially in ‘roots industry’ and identifies the necessity of diffusion of smart factory among those SMEs. Second, based on the active review on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identifies four factor groups that would influence the adoption or diffusion of standardized smart factory. They are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industrial and policy factors. Third, using those four factors, this study made two comprehensive case analyses on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mart factory. These two companies belong to molding sector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six sectors in ‘root industry’. Finally,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 this study suggests four strategies for activating the standardization of smart factory;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government-leading standardization, firm-leading standardization, and non-standardization.

      • KCI등재

        정보담당임원(CIO)의 리더십이 정보시스템(IS)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종순 ( Park Jong-soon ),이동욱 ( Lee Dong-wook ),전중양 ( Jeon Joong-ya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7 No.2

        CIO는 정보시스템부서의 관리자가 아니라 경영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는 점차 CIO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따라 CIO의 리더십 스타일이 IS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CIO 리더십 스타일과 IS 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CIO 리더십 스타일을 추진목표와 추진방법에 따라 나누고 이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설문지 기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리더십 스타일 분류는 리더십의 균형성에 의하여 각각 3 가지로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략적 추진과 인화적 방법이 다른 스타일에 비하여 대체로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CIO is required to be manager in informaton systems department and leader in managing as well.That`s means expanding a role of CIO, Thereupon, a leadership style of CIO could affect achievement of I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 leadership style of CIO and achievement of IS. In this study, CIO leadership style is divded into drive goal and drive method, and then was executed empirical analysis to distinguish differences between those. CIO leadership style was divide 3 kinds of things depends on Ballancing of leadership, As a result, strategic drive and harmonious method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