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 관찰

        이윤주,김수정,전용철,Lee, Yun Ju,Kim, Su Jeong,Jeun, Yong Chull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1

        Chlorella는 광합성을 통해 자가영양하는 미생물이다. 이전 연구를 통해 Chlorella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 탄저병균의 부착기 형성률이 억제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SEM 및 TEM을 통해 C. fusca를 전처리한 잎에서 오이탄저병균의 초미세 감염구조를 관찰하였다. SEM 이미지에서는 대부분의 병원균 포자와 균사 주위에 많은 수의 C. fusca 세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포자는 발아되었으나 식물조직에 침입하는 데 필요한 부착기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병원균 주위에 있는 C. fusca 세포가 병원균 부착기 형성을 억제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TEM 이미지를 통한 병원균 균사 내부의 초미세 구조에서는 C. fusca를 전처리한 잎과 무처리한 잎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전처리한 식물에서 병원균은 무처리한 잎과 유사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C. fusca에 의한 식물 표면에서의 병원균 부착기 형성 억제가 오이탄저병 감소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Chlorella is one of the microorganisms which can live autotrophically by their own photosynthesis. It was previously revealed that pre-treatment of Chlorella fusca caused a suppression of appressorium formation on the cucumber leaves after inoculation with Colletothrichum orbiculare. In this study, the ultrastructures of C. orbiculare on the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C. fusca were observed using bo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he SEM images revealed that most fungal conidia and hyphae were attached with lots of C. fusca cells. Also, the conidia could germinate but not form appressorium, which is necessary to penetrate into host tissue.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C. fusca adjoined to the fungus may play a role in suppression of the appressorium 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observations of TEM showed no remarkable cytological differences on the ultrastructures of the intracellular hyphae between in the pre-treated and untreated leaves. It seemed that the fungus could grow in the pre-treated plant tissues as in the untreated on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suppression of appressorium on the leaf surfaces by the C. fusca cells may be a main cause of the reduction of the anthracnose disease.

      • KCI등재SCOPUS

        당근 세균잎마름병에 대한 효과적 방제 수단

        강현수,김미진,신용호,전용철,Hyun Su Kang,Mi-Jin Kim,Yong Ho Shin,Yong Chull Jeun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당근 세균잎마름병을 일으키는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는 당근 생산량에 큰 피해를 주는 병 중 하나로 국내에서 아직 방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근 세균잎마름병균에 효과적인 농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3종의 항생제 streptomycin, oxolinic acid, kasugamycin, 2종의 구리제 copper hydroxide, copper sulfate basic 그리고 길항근권세균 Burkholderia gladioli MRL408-3, Pseudomonas fluorescens TRH415-2, Bacillus cereus KRY505-3을 선정하여 인공배지를 이용하여 이들의 직접적인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 중 항생제 streptomycin, oxolinic acid와 길항미생물 MRL408-3을 처리한 배지에서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당근 잎에 농약과 항균효과를 보였던 길항미생물 MRL408-3을 전처리한 후 당근 세균잎마름병균을 접종하였더니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을 전처리한 당근 잎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당근 잎 표면의 장방출주사현미경 이미지에서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를 전처리한 잎에서는 세균 수가 무처리한 잎과 비교하여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와 같은 항생제가 다른 약제에 비해 방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당근 세균잎마름병에 대한 이상적인 방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terial blight of carrot caused by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Xhc) is one of the serious diseases of carrot, of which control measures has not been still established in the domestic farm. In this study, in order to select effective sterilizer for bacterial blight of carrots, three antibiotics such as streptomycin, oxolinic acid, kasugamycin, two copper compounds like copper hydroxide and copper sulfate basic and three rhizobacteria Burkholderia gladioli MRL408-3, Pseudomonas fluorescens TRH415-2 and Bacillus cereus KRY505-3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ir direct antibacterial effects using artificial media, aiming to identify effective pesticides against Xhc. Among them, treated medium with antibiotics such as streptomycin, oxolinic acid, and the antagonistic rhizobacteria MRL408-3 were formed inhibition zone. The agrochemicals and the rhizobacteria MRL408-3, which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on carrot leaves, pre-treated on the carrot leaves and then inoculated with Xhc. High control effects were shown on the carrot leaves pre-treated with both streptomycin and oxolinic aci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of the carrot leaf surfaces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bacteria decreased significantly on leaves pre-treated with streptomycin and oxolinic aci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antibiotics like streptomycin and oxolinic acid exhibit superior control effects compared to other agent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towards establishing an effective control system for bacterial blight of carrot.

      • KCI등재SCOPUS

        수확 후 제주 당근 재배 토양에서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분리

        김미진,강현수,신용호,전용철,Mi-Jin Kim,Hyun Su Kang,Yong Ho Shin,Yong Chull Jeun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당근 세균잎마름병은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병에 속한다. 지난 10년 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됨으로써 당근 생산에 큰 위협이 되는 병으로 간주되었다. 원인균으로 Xathomonas hortorum pv. carotae (Xhc)이며 본 연구는 제주도 당근재배지 토양에서 이 병원균을 분리 동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리한 세균 중 인공배지에서 균총의 형태가 당근 세균잎마름병균과 유사한 세균균총을 분리하여 선발하였다. 또한 이들 선발된 세균들을 대상으로 DNA 염기 서열과 NCBI 자료를 통해 몇몇 분리 세균이 Xhc으로 동정되었다. 게다가 이들 세균을 당근 잎에 접종하였더니 당근 세균잎마름병의 전형적인 병징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제주도 토양내 Xhc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고 앞으로의 당근 세균잎마름병 방제 수단을 강구하는 데 매우 필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Bacterial leaf blight in carro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in the worldwide. In the past decade, its introduction into Korea is causing great concern due to the potential damage to carrot crops domestically. This bacterial disease is caused by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 (Xhc). This study aimed to isolate and identify bacterial strains from the soil of carrot farms in Jeju Island. The bacterial isolates showing characteristics similar with those of Xhc were selected when cultured on artificial media. Through DNA sequencing and analysis based on NCBI data, some of the selec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as Xhc. Furthermore, the bacterial strains caused the typical symptom of bacterial leaf blight after inoculation on carrot lea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 establishment of Xhc in the soil of Jeju Island and it may be valuable data for establish a strategy preventing the domestic spread of carrot bacterial leaf blight in the future.

      • KCI등재

        월출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고평열,이승학,김태헌,최석영,홍기성,전용철,Ko, Pyung-Yeol,Lee, Seung-Hak,Kim, Tae-Heon,Choe, Suck-Young,Hong, Ki-Sung,Jeun, Yong-Chull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월출산국립공원 내 버섯류 자원의 서식지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생물다양성, 생태계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천황사지구, 경포대지구, 도갑사지구 등 26개 격자를 중심으로 29일에 걸쳐 임도, 계곡, 등산로, 자연관찰로 등을 대상으로 버섯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된 버섯은 2문, 9강, 24목, 71과 177속, 40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9월에 19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 보면 주름버섯목이 187분류군으로 45.9%의 분포를 보였으며, 그물버섯목, 구멍장이버섯목이 뒤를 이어 다수 발생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 100~200 m 사이에서 489점의 좌표가 확보되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 중 경포대지구의 격자5, 격자15번지역, 천황사지구인 격자 7지역에서 가장 많은 버섯 종류가 조사되었다. 기후변화지표종 7종 중 큰갓버섯, 마귀광대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3종이 출현하였고, 기후변화지표종 후보종인 노란다발, 배젖버섯 2종이 출현하였다. 현재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476종이 지정되어 있는데, 본 조사 시 164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형태적 분석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표본 WC18158이 Craterellus parvogriseus 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Appendix 홈페이지에 업로드). Mushrooms growing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were surveyed from April to October 2018. As a result of this survey, 2 divisions, 9 classes, 24 orders, 71 families, 177 genera, and 407 species were found. Among them, 3 classes, 16 orders, 55 families, 150 genera, and 370 species belonged to Basidiomycota, while 6 classes, 8 orders, 16 families, 27 genera, and 37 species belonged to Ascomycota. The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at the altitudes between ~100 and 200 m. Among the investigated sites, the most diverse species occurred in the Gyeongpodae area. In this survey we found, Macrolepiota procera, Suillus bovinus, and Amanita pantherina, all of which have been known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CBIS). Based on the DNA sequence analyses, Craterellus parvogriseus was confirmed as a new record for Korea.

      • KCI등재후보

        보문 : 제주 한라산에서 서식하는 미기록종 버섯

        고평열 ( Pyung Yeol Ko ),석순자 ( Soon Ja Seok ),전용철 ( Yong Chull Jeun ) 한국균학회 2012 韓國菌學會誌 Vol.40 No.3

        제주도에서 발견된 4종 버섯 Amanita gemmata, Tricholoma aurantiipes, Panellus violaceofulvus, Leucopaxillus septentrionalis에 대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이들 버섯의 전체적 형태 및 미세구조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A. gemmata와 T. aurantiipes는 제주 관음사 주변의 상록활엽수가 서식하는 지상에서 발견되었으며, 전자는 만장굴 입구에서도 발생하였다. P. violaceofulvus은 한라산에 서식하는 Abies koreana와 Carpinus laxiflora와 같은 고산성 나무에서 채집되었고, L. septentrionalis은 탐라계곡 주변의 낙엽성 활엽수림에서 발견되었다. Four species such as Amanita gemmata, Tricholoma aurantiipes, Panellus violaceofulvus, and Leucopaxillus septentrionalis which were found in Jeju Island, are first reported in Korea.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with macro- and microscopic descriptions and distinctive characters are presented for each species. A. gemmata and T. aurantiipes were collected in evergreen broadleaf forest of Gwaneumsa and the former also founded in Manjanggul. P. violaceofulvus was collected in subalpine plants including Abies koreana and Carpinus laxiflora of Halla Mountain. And L. septentrionalis recorded in deciduous broadleaf forest of Tamla valley.

      • KCI등재후보

        보문 :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 지역에서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

        고평열 ( Pyung Yeol Ko ),강신호 ( Sin Ho Kang ),송관필 ( Gwan Pil Song ),전용철 ( Yong Chull Jeun ) 한국균학회 2013 韓國菌學會誌 Vol.41 No.2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경남지역의 야생버 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53개 마을에 서 50~90대까지 145명 주민들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총 19개 야생버섯이 식용버섯으로 사용되었는데 싸리버섯 이 식용버섯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었고, 큰갓버섯과 표고 순위로 식용하였다. 표고는 식·약용버섯으로 유일하게 사 용되었다. 독흰갈대버섯은 독버섯인데 곤충퇴치용 버섯으 로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다양한 버섯이 증언된 지역은 거 제시 일운면으로 10종에 이르는 버섯의 전통지식이 확인되 었고, 하동군의 진교면에서 8종이 출현하였다. 전통 지식에 대해 조사에 응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증언 하였고 연령층은 70~80대가 가장 많았다. Traditional knowledge on wild mushrooms in Gyeongnam province near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as investigated. It was interviewed from 145 of people in age of 50th`s to 90th`s living in 53 villages. Total 19 mushrooms were used for food in which Ramaria botryt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followed Macrolepiota procera and Lentinula edodes. L. edodes was uniquely both medicinal and edible. Chlorophyllum neomastoidea, poisonous mushroom, was used as an insect repellent. The most various mushrooms were found in Irun, Geoje where 10 species of mushrooms were used and followed Jingyo, Hadong where 8 species were used. Among the interviewed people, the number of female was more than double compared to that of male and most of the interviewed people were 70th`s and 80th`s in 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주 동부지역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자생버섯 보고

        이승학 ( Seung Hak Lee ),고평열 ( Pyung Yeol Ko ),전용철 ( Yong Chull Jeun ) 한국균학회 2018 韓國菌學會誌 Vol.46 No.2

        In this study, we report the occurrence of four domestic mushrooms (among 317 samples) that were previously undocumente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in Korea. To identify the mushrooms, DNA sequences of the mushroo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data available in NCBI GenBank. Mushrooms were identified as Agaricus flocculosipes, Amanita concentrica, Coprinopsis strossmayeri, and Favolus acervatus, none of which have been previously documented in Korea. Furthermore,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hat the morphology of the four mushrooms was consistent with the features of the species matched by the DNA sequence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