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장도환(Do Hwan Jang),채상현(Sang Hyen Chai),박은지(Eun Ji Park),위가희(Wei kai kai),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이 보고서는 주요 해외 농업 통계를 총량지표, 농업생산지표, 생산요소지표, 수출입지표, 소비지표 등으로 구분하여 국가별, 품목별로 정리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국농업이 세계농업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주요 농업 거시지표 중 한국의 농림어업 GDP는 2010년 234억 달러로 작년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총 GDP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6%로 감소 추세에 있다. 농업보조금의 경우 전체 농업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5.5%로 2010년(5.6%)보다 감소하였으나, 미국(7.3%)과 일본(14.2%)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2010년 세계의 농가인구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26.2억 명이며 한국의 농가인구는 1.7% 감소한 306만 명이다. 2009년 세계 경지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1,533백만 ha이며, 한국의 경지면적은 174만 ha로 전체 국토면적의 17.4%를 차지하고 있다.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0.8ha로 세계 평균(0.6ha)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한국의 유기농업 면적은 2010년 기준 15,518ha로 전체 경지면적의 0.84%이다. 주요 생산지표 중 세계의 쌀 생산량은 2010년 기준, 7.0억 톤으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가 전체의 58.5%를 차지하고 있다. 고추의 2010년 생산량은 29,421천 톤으로 전년보다 3.2% 감소하였으며, 마늘은 전년대비 2.4% 증가한 22,561천 톤이었다. 사과는 전년대비 1.8% 감소한 69,512천 톤이며, 돼지고기는 전년보다 2.4% 증가한 109,167천 톤이다. 수출입지표 중 농축산물 수출액을 살펴보면, 2010년 기준 세계의 농축산물 총수출액은 10,779억 달러로 전년대비 13.5% 증가하였다. 수출규모 1위는 미국(11.0%)이며 그 다음은 네덜란드(7.2%), 독일(6.2%) 브라질(5.8%) 순이다. 한국의 농축산물 수출규모는 전년대비 23.4% 증가한 39억 달러이다. 세계의 농축산물 총수입액은 11,035억 달러로 전년대비 11.8% 증가하였다. 수입규모 1위는 제1의 농축산물 수출국이자 수입국인 미국(8.1%)이며, 중국(7.4%), 독일(7.0%), 일본(4.9%)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전년대비 24.7% 증가한 188억 달러이다. 소비관련 지표 중 식품공급량을 살펴보면, 쌀의 경우 2009년 기준 세계 공급량은 5억 3,164만 톤으로 중국(29.4%)과 인도(23.2%)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은 세계의 1.1%인 584만 톤, 일본은 1.9%인 1,024만 톤이다. 사과의 2009년 세계 공급량은 6,308만 톤이며, 중국이 2,215만 톤(35.1%)으로 가장 많다. 2009년 돼지고기 세계 공급량은 10,550만 톤으로 중국이 전체의 47.6%인 5,019만 톤이며, 한국은 세계의 1.3%인 140만 톤이다. 국가편에서는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대륙별 주요 국가에 대한 농업 및 주요 거시 지표를 다루고 있다. 농업 예산을 살펴보면, 한국은 2011년 기준 17조 6,5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으며, 미국과 중국 등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같은 호주와 일본의 경우, 예산이 전년보다 감소하였다. 품목편에서는 한국의 주요 수출입 품목을 기준으로 선정한 10개 품목의 생산량과 재배면적, 수출입 현황 등을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systemize statistical indexes to find the status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world stage. In order to systemize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we classified them into 5 categories, which are aggregate index, production factor index, production index, trade index, and consumption index. According to this study, Korea"s position in world agriculture is as follows. The agricultural GDP of Korea in 2010 was 23.4 billion U.S. dollars, an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share of agriculture in total GDP declined by 2.6% in 2010. In the case of agricultural subsidies, the share decreased to 5.5% in 2011 from 5.6% in 2010, which is lower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7.3%) and Japan (14.2%). The world"s farm population was 26.2 hundred million in 2010, and Korea"s farm population was 306 million. In the meantime, the world"s cultivated area in 2009 was 1,533 million ha, and Korea"s cultivated land dropped by 1.7 million ha, or 17.4% of total land. The cultivated land per farmer is 0.8 ha,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of 0.6 ha. The total cultivated land for organic farming was 15,518 ha in 2010, or 0.84% of total cultivated land. In terms of supply by product, world rice production in 2010 was 700 million tons, and 58.5% of the total supply amount was produced in China, India and Indonesia. In the case of pepper, the supply amount in 2010 fell to 29.4 million tons, a 3.2%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Garlic, however, saw an increase of 2.4% to 22.6 million tons. As for apples, production decreased by 1.8% to 69.5 million tons. In the case of livestock products, pork production increased 2.4% to 109.2 million tons. The world export amou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 2010 was 1,078 billion dollars. It increased by 13.5% from the previous year. The United States (11.0%) was the largest exporter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followed by the Netherlands (7.2%), Germany (6.2%) and Brazil (5.8%). Korea"s agricultural exports increased 23.4% to 3.9 billion dollars. The world"s agricultural and livestock imports posted 1,104 billion dollars, an increase of 11.8% from the previous year. The U.S." share of world agricultural imports is 8.1%, which is larger than China (7.4%), Germany (7.0%) and Japan (4.9%). Korea"s agricultural imports increased to 18.8 billion dollars, a 24.7%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quantity of food supply among consumer-related indexes, the two largest suppliers of rice in 2009 were China (29.4%) and India (23.2%). Their supply amount of 531.6 million tons of rice accounted for more than a half of world production. Meanwhile, Korea supplied 5.84 million tons (1.1%) of rice, and Japan accounted for 1.9% (10.2million tons) of world supply. The world supplied 63.1 million tons of apples. China, the largest supplier of apples, supplied 22.2 million tons (35.1%). In the case of pork, 105.5 million tons were supplied globally, and China took up the largest share (50.2 million tons, 47.6%). Pork production in Korea was 1.4 million tons, or 1.3% of world supply. In country section we cover agricultural and primary macroeconomic indexes of Korea, United States, Canada, and Brazil. Agricultural budget of Korea (2011) has increased by 2.2%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The budget also had been increased in United States and China. Meanwhile, Australia and Japan"s budget was reduced. Products section shows production, planted areas, import and export conditions of 10 products which have chosen by main trade products in Korea.

      •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장도환,Kim, Seong-Hun,Jang, Do-Hwan 한국식품산업협회 2008 좋은식품 Vol.206 No.-

        Recently, Korea have experienced numbers of FTAs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le, 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Singapore,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nd U.S. In particular, FTA with U.S. are expected to cause huge impact on food markets as well as agricultural sector in Korea. Many researches have analyzed and discussed about the impact on agricultural sector after Korean-U.S. FTA, but very small number of studies focus on the impact of Korean-U.S. FTA on food market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impact of Korea-U.S. FTA on Korean dairy market. For the numerical simulations, this paper focus on the impact on cheese and butter market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in the paper will be helpful for the future research, because few (maybe no) studies conduct the numerical analysis to measure the impact of Korea-U.S. FTA on Korean food market.

      •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

        김경필(Kyung phil Kim),장도환(Do Hwan Jang)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매년 농림부에서 발간해 오던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을 개편하여 해외 농업?농촌 통계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기존의 발간물은 농업생산관련 지표 위주로 제한되고 단순 나열하였으며, 단편적인 자료나 산재되어 있는 해외 통계자료들은 이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여러 통계자료를 매번 검색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인터넷과 통계집 검색을 통하여 해외 농업통계를 체계화하기 위해 총량지표, 생산요소 지표, 생산 지표, 수출입지표, 그리고 소비 및 가격 지표로 구분하였다. 각 지표군에는 국제 농업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총량지표는 농업 GDP, 농업부문 보조금, 정부지출액 등으로 세분하였다. 생산지표는 주요 품목별 생산량과, 재배면적, 단수를, 그리고 축산부문에서는 사육 및 도축두수, 생산량, 그리고 도축 중량 등으로 구성하였다. 생산요소지표에는 기본적인 농가인구, 경지면적 외에도 농업과 관련된 농업용수, 농기계, 비료, 자본액 등의 지표를 정리하였다. 또한 유기농업과 관련된 지표 역시 생산요소지표에 포함시켰다. 수출입지표는 주요 품목들의 수출입액과, 수출입량, 수출입 단가로 구성하였으며,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자료를 사용하여 국내 수출입을 국가별로 정리하여 교역 대상국의 비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비 및 가격지표에서는 주요 품목별 총 소비량 자료와 함께 1인당 식품공급량 자료를 지표로서 활용하였으며, 생산자 가격과 소비자 가격을 포함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과 범위 등을 명시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농업관련지표들의 구분과 정의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수요자들이 보다 쉽게 한국 농업의 위치를 확인하고 농업의 구조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요 지표들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시각화 하였다. 주요 지표들에 대해 최근 10년간 한국 자료, 세계 총량 자료, 그리고 상위 3개국 자료를 포함하였다. 제4장에서는 2장의 농업통계지표 구분에 따라 세부 지표들에 대한 국제 비교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시계열 자료나 다른 농업관련 지표들의 통계가 필요한 이용자들을 위해 본 연구 진행과정에서 검색한 해외농업통계 데이터베이스를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and systemize statistical indexes to find the state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world.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or documents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most of them focused on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and simply presented them. In order to systemize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we classified them into 5 categories which are aggregate index, production index, trade index, and consumption and price index. Each group has detailed indexes. Several indexes like government support and expenditure for agriculture were introduced to meet new statistical demand. In particular, agricultural trade data were basically summarized using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database and Korean agricultural imports and exports were classified by major counter parts using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aT) database. It helps to find the state of Korea in world market and the route of its imports and export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1, as an introduction part, gave the problem statement, objectives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n chapter 2, the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 of agricultural statistic indexes were explained. Chapter 3 covered the summary of each index and its long term change(10years). In this chapter, each classified index was visualized using a graph and compared Korea with world and top three countries. Chapter 4 gave detailed agricultural statistical indexes classified in chapter 2. Finally, the sources and contents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 database were presented for users requiring time-series data and other indexes.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심민희(Min Hui Shim),채상현(Sang Hyen Chai),장도환(Do Hwan Jang)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이 보고서는 주요 해외 농업 통계를 총량지표, 농업생산지표, 생산요소지표, 수출입지표, 소비지표 등으로 구분하여 국가별, 품목별로 정리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국농업이 세계농업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주요 농업 거시지표 중 한국의 농림어업 GDP는 2011년 272억 달러로 작년보다 12.8% 증가하였다. 총 GDP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2.7%로 전년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농업보조금의 경우 전체 농업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5.6%로 2011년(5.7%)보다 감소하였으며, 미국(6.8%)과 일본(13.1%)보다 낮은 수준이다. 2012년 세계의 농가인구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26.2억 명이며 한국의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1.7% 감소한 291만 명이다. 2011년 세계 경지면적은 전년보다 증가한 1,553백만 ha이며, 한국의 경지면적은 170만 ha로 전체 국토면적의 17.0%를 차지하고 있다.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0.6ha로 세계 평균(0.6ha)과 비슷한 수준이며, 한국의 유기농업 면적은 2011년 기준 19,312ha로 전체 경지면적의 1.0%이다. 주요 생산지표 중 2012년 세계의 쌀 생산량은 7.2억 톤으로 중국, 인도, 가 전체의 약 50.0%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2012년 642만 톤으로 2011년 630톤보다 증가하였다. 2011년 세계 고추 생산량은 29,601천 톤(한국은 세계 생산량의 0.9%, 13위)으로 전년보다 1.4% 증가하였으며, 마늘은 전년 대비 5.2% 증가한 23,770천 톤(한국은 세계 생산량의 1.2%, 4위)이었다. 사과는 전년 대비7.9% 증가한 75,485천 톤(한국은 세계 생산량의 0.5%)이며, 배는 전년 대비5.5% 증가한 23,952천 톤(한국은 세계 생산량의 1.2%, 11위)이었다. 쇠고기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62,813천 톤이며, 돼지고기는 전년보다 2.7% 증가한 110,270천 톤이다. 수출입지표 중 농축산물 수출액을 살펴보면, 2011년 기준 세계의 농축산물 총수출액은 13,13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1.7% 증가하였다. 수출규모 1위는 미국(10.6%)이며 그 다음은 네덜란드(6.8%), 독일(6.1%) 브라질(6.1%) 순이다. 한국의 농축산물 수출규모는 전년 대비 11.7% 증가한 43억 달러이다. 세계의 농축산물 총수입액은 13,50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2.4% 증가하였다. 수입규모 1위는 중국(9.5%)이며, 미국(7.9%), 독일(7.0%), 일본(5.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전년 대비 23.1% 증가한 231억 달러이다. 소비관련 지표 중 식품공급량을 살펴보면, 쌀의 경우 2009년 기준 세계 공급량은 5억 3,164만 톤으로 중국(29.4%)과 인도(23.2%)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은 세계의 1.1%인 584만 톤, 일본은 1.9%인 1,024만 톤이다. 사과의 2009년 세계 공급량은 6,308만 톤이며, 중국이 2,215만 톤(35.1%)으로 가장 많다. 2009년 돼지고기 세계 공급량은 10,550만 톤으로 중국이 전체의 47.6%인 5,019만 톤이며, 한국은 세계의 1.3%인 140만 톤이다. 국가편에서는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대륙별 주요 국가에 대한 농업 및 주요 거시 지표를 다루고 있다. 농업 예산을 살펴보면, 한국은 2012년 기준 18조 1,1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하였으며, 미국과 호주도 증가하였다. 2012년 한국의 농가 소득은 3,130만원으로 전년 대비 0.04% 증가하였다. 일본의 농가소득은 농촌 고령화 등으로 정체를 보이고 있고, 미국 농가소득은 최근 국제곡물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증가하였다. 2012년 한국의 총취업자 대비 농림어업 취업자 비율은 6.2%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미국과 호주는 2008년 각각 1.5%, 3.2%로 5년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2년 한국의 농가인구 수는 전년 대비 1.7% 감소한 291만 명이었다. 한국은 2000년대 들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도 2000년대 들어 농가인구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품목편에서는 한국의 주요 수출입 품목을 기준으로 선정한 10개 품목의 생산량과 재배면적, 수출입 현황 등을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systemize statistical indexes to find the status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world stage. In order to systemize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we classified them into 5 categories, which are aggregate index, production factor index, production index, trade index, and consumption index. According to this study, Korea"s position in world agriculture is as follows. The agricultural GDP of Korea in 2011 was 27.2 billion U.S. dollars, an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share of agriculture in total GDP increased by 2.7% in 2011. In the case of agricultural subsidies, the share decreased to 5.6% in 2012 from 5.7% in 2011, which is lower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6.8%) and Japan(13.1%). The world"s farm population was 26.2 hundred million in 2012, and Korea"s farm population was 291 million. In the meantime, the world"s cultivated area in 2011 was 1,553 million ha, and Korea"s cultivated land dropped by 1.7 million ha, or 17.0% of total land. The cultivated land per farmer is 0.6 ha, which is similar to the world average of 0.6 ha. The total cultivated land for organic farming was 19,312 ha in 2011, or 1.04% of total cultivated land. In terms of supply by product, world rice production in 2012 was 720 million tons, and 50% of the total supply amount was produced in China, India. In Korea, 6.4 million tons of rice were produced in 2012. In the case of pepper, the supply amount in 2011 fell to 29.6 million tons(0.9% of world production, 13rd rank in Korea), a 1.4%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Garlic saw an increase of 5.2% to 23.8million tons(1.2% of world production, 4rd rank in Korea). As for apples, production increased by 7.9% to 75.5 million tons(0.5% of world production in Korea). As for pears, 24 million tons were produced, which is 5.5% larger than previous year(1.2% of world production, 11th rank in Korea). In the case of livestock products, beef production stood at 62.8 million tons in 2011 and pork production increased 2.7% to 110.3 million tons. The world export amou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 2011 was 1,314 billion dollars. It increased by 21.7% from the previous year. The United States(10.6%) was the largest exporter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followed by the Netherlands(6.8%), Germany(6.1%) and Brazil(6.1%). Korea"s agricultural exports increased 11.7% to 4.3 billion dollars. The world"s agricultural and livestock imports posted 1,351 billion dollars, an increase of 22.4% from the previous year. The China" share of world agricultural imports is 9.5%, which is larger than U.S.(7.9%), Germany(7.0%) and Japan(5.1%). Korea"s agricultural imports increased to 23.1 billion dollars, a 23.1%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quantity of food supply among consumer-related indexes, the two largest suppliers of rice in 2009 were China(29.4%) and India(23.2%). Their supply amount of 531.6 million tons of rice accounted for more than a half of world production. Meanwhile, Korea supplied 5.84 million tons(1.1%) of rice, and Japan accounted for 1.9%(10.2million tons) of world supply. The world supplied 63.1 million tons of apples. China, the largest supplier of apples, supplied 22.2 million tons(35.1%). In the case of pork, 105.5 million tons were supplied globally, and China took up the largest share(50.2 million tons, 47.6%). Pork production in Korea was 1.4 million tons, or 1.3% of world supply. In country section we cover agricultural and primary macroeconomic indexes of Korea, United States, Canada, and Brazil. Agricultural budget of Korea(2012) has increased by 2.7%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The budget also had been increased in United States and Australia. Products section shows production, planted areas, import and export conditions of 10 products which have chosen by main trade produc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