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의 반성과 과제

        채창완(Chae, Chang-wan),이성원(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그 동안 한국에서 ‘기독교미술’하면 ‘키치(kitsch)’의 대명사와 같은 존재였다. ‘달력그림’이나 성서의 ‘삽화’같은 그림들, 긴 머리에 수염 난 젊은 서양 청년의 이미지를 닮은‘예수의 초상화’들, 그리고‘십자가’나 ‘비둘기’, ‘성경책’ 등과 같이 모두가 판에 박은 듯 고루한 기독교적 상징성을 담은 그림들 일색이다. 시각적 이미지가 범람하는 오늘날과 같은 다변하는 멀티미디어 시대에서 기독교미술은 우리에게 신선한 시각적 체험을 보여주기보다 오히려 우리의 시선을 현대가 아닌 어딘지도 모를 아득한 망각의 지점으로 옮겨 놓는다. 그래서 오늘날 기독교미술은 시대착오적이고 진부한 것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 간 이 땅에서도 이러한 기독교미술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자 고민하는 많은 작가들과 여러 담론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 조차도 다른 기독교 전통과의 교류 없이‘개신교’ 내에만 국한되어 있던가, 아니면 ‘보수주의 신앙’이나‘칼빈주의 전통’ 하에 만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독교미술의 담론의 편협성은 이제 시작점에 놓인 기독교미술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만든다. 필자는 우리의 기독교미술에 대한 담론은 이러한 지엽적이고 편협한 단계에 머무르지 말고, 교회와 사회, 문화 그리고 다양한 학제 간 교류를 통하여 보다 폭넓게 전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한국’이란 전통적이고 사회적인 콘텍스트 위에‘현대’라는 동시대성을 갖춘 시각적 예술(미술)을, ‘기독교’적인 신학과 미학을 그 사상적 기반으로 해서, 전개하는 것이다. 이를 정리해보면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이 된다. 즉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이다. 여기서 ‘한국’이란, 우리의 전통적 가치, 즉 우리 문화의 전통적 맥을 담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로 미술과 신학의 ‘토착화 문제’와 관련된 것이다. 또한 ‘현대’란, 과거와 다른 동시대성을 말한다. 우리의 기독교미술은 중세의 그것과 달리 오늘날에 소통할 수 있는 양식과 감수성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이다. 또‘미술’에 ‘기독교’를 붙이는 것은 기독교미술이 다른 미술과 달리 ‘사명성’을 지닌 미술이란 의미이다. 그것은 기독교의 지상의 과제인 ‘케리그마 선포’에 대한 것이다. 끝으로 ‘미술’은 ‘시각적 이미지’ 또는 ‘시각적 소통’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사회에서는 글이나 문자보다도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이 더 중요시된다. 인터넷과 상업디자인, 상품광고들 그리고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모든 것들이 시각적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문자’ 속이 아니라 이제 ‘이미지’ 속으로 옮겨왔다. ‘미술’이란 장르는 이러한 시각적 소통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 그래서 오늘날‘미술’이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에 있어서 교회는 ‘케리그마 선포’를, 중세와 유사하게, 또 다시 시각적인 예술에 의존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한다. 필자는 21세기에 요구되는‘기독교미술’은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요청되는 것이 기독교 미학과 신학의 중요성이다. 폴 틸리히(Tillich, Paul)의 ‘신성의 원리와 솔직성의 원리’, 데오 순더마이어(Sundermeier, Theo)의 ‘선포의 동반자로서의 미술’, 유동식의 ‘풍류신학’ 그리고 ‘숭고미’에 대한 중세 ‘이콘의 미학적 신학’ 등은 모두 시각적인 요소로 기독교의 케리그마를 어떻게 풀어내야하는 가에 대한 좋은 이론적 과제가 될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은 ‘신성의 원리’와 ‘솔직성의 원리’에 기반을 두고 교회와 세상의 감수성에 동시에 호소하는 미술이다. 그것은 미적으로 우리의 정서를 담은 ‘풍류’와 ‘멋’을 담보해야 한다. 그리고 그 작품에는 사람들의 영혼에 호소할 수 있는 ‘숭고’가 깊숙한 곳에서부터 배어 나와야 할 것이다. “Christian art” in Korea has widely been regarded as something of a kitsch to date: paintings that look like ‘calendar pictures’ or illustrations of the Bible, ‘portraits of Jesus’ which stereotypically depict Jesus as a long hair and bearded Western young man, art works replete with cliche images of Christian symbols such as ‘crucifixes’, ‘doves’, and ‘the Bible’ etc. However, in the fast-changing multimedia era flooded with visual images, such kinds of so-called Christian art seems to divert our views away from this modern era towards somewhere far into a distant past, rather than stimulating us with fresh new visual experiences, which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its becoming something of anachronistic cliche. That being said, the past decade has not been without substantial efforts and discourses amongst Korean Christian artists to overcome such limitation and prejudices. However, even such efforts have not been expanded beyond Protestant communities, i.e. mainly conservative and Calvinian sectors, as they fell short of seeking exchanges with other Christian traditions. Such lopsided discourses are making the prospects of the Christian art, which is now only at its inception, far from being brighter. Discourses on the Christian art, therefore, should not remain siloed but be developed in a wider social, 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context: “contemporary” visual art(fine art) based on social and traditional context of “Korea” with “Christian” theology and aesthetics as its theoretical grounds. To sum, it should be “Korean + Contemporary + Christian + Art”, i.e. ‘Korean contemporary Christian art”. Here, ‘Korean” implies that it should contain traditional values and context of Korean culture, which in turn relates to ‘indigenization” of our art and theology. In addition,“contemporary” means belonging to the present age,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To put it differently, today’s Christian art should be of style and sensitivity that can appeal to today’s viewers. When the word, “Christian,” is attached in front of “Art”, it means that Christian art, unlike other art, has ‘mandate’ to “declare kerygma” (ultimate mandate of the Christianity). Finally, ‘art’ means ‘visual images’ or ‘visual communication.” In the multimedia society,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images counts more than those through written media: the Internet, commercials, advertisements, and visual experiences of our daily lives keep pushing endless visual images and people find more and more information in images, rather than in letters. Hence, it is getting more inevitable that fine art, as a genre, should stand at the forefront of such visual communication, which in turn highlights its importance even more. Therefore,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it is critical for the church to seriously consider leveraging and relying on visual art, just as it did during the Middle Age, in ‘declaring Kerygma’. As such, ‘Christian art’ in this 21st century needs to meet such demands of this era. To that end,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solid theoretical grounds in Christian aesthetics and theology. In this regards, Paul Tillich’s ‘principle of consecration’ and ‘the principle of honesty’, Theo Sundermeier’s ‘arts as a companion for preaching’, Ryu, Dongshik’s ‘Pungryu theology (‘Pungryu’ means ‘taste for the art’ in Korean)’, and ‘aesthetical theology of icons’ related to sublime beauty developed during the Middle Age, etc. can all serve as good platforms in seeking to express kerygma of Christianity through visual images. It is my belief that ‘Korean Christian Art”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ecration and honesty and appeal to the sensitivities of both the church and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should also retain ‘Pungryu’ and ‘Meot’(‘taste/charm/flavor’ in Korean) of Korean aesthetic sentiment, with ‘sublimity’ residing deep inside the works appealing to souls of this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