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생국가의 특징 및 장생국가를 위한 정책의 방향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S No.-

        뇌교육의 입장에서 장수의 개념은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 사는 것뿐만이 아니라 꿈과 희망을 실현하면서 인격완성을 향해 사는 것으로 장생라고 부른다. 장생의 개념은 삶의 질이 향상된 노화를 강조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과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생의 개념을 건강하게 장수하면서 행복한 삶을 누리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평균행복지수, 건강기대수명, GDP를 바탕으로 장생국가로 분류될 수 있는 국가들을 선정하였고, 국가별 장생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건강 행복 기대수명을 제안하였으며, 국가별 평균행복지수와 정부의 운영품질의 관계를 토대로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point of view of Brain Education, longevity means the life of pursuing the completion of one``s character by achieving visions and hope in addition to live healthy and happy life. This kind of longevity is said to be "Jangsaeng". The concept of "Jangsaeng" is very similar to "Successful Aging" which means aging with enhanced quality of life. Jangsaeng is defined, in this paper, to be longevity with healthy and happy life. Average happiness, healthy life expectancy, and GDP are used to classify longevity nations, and HHLE(healthy and happy life expectancy) is proposed to be used for Jangsaeng index. The direction of national strategies for Korean government is propose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 among average happiness, inequality of happiness, and technical quality of government.

      •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진정성리더십의 관계

        유성모 ( Seong Mo Yoo ),제니퍼셔우드 ( Jennifer Sherwood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2 뇌교육연구 Vol.10 No.-

        진정성리더십에 대한 언구는 직장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온 연구는 셀프리 목적이 일상생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터십, 자키효능감, 진정성리더섭의에서 진정성리더십때|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셀프리더십 척도,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 일 반적인 진정성리더십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콕대| 거주하는 25세 이상의 성인으로 하였으며 연령과 성멸을 인구구성비에 맞추어 할당한 300명을 인터넷조 자기효능감을 셀프리더십과 하고 반응잠재변수로 진정성리더십을 진행하였다. 사로 잠재설명변수 또는 잠재매개변수로 설정한 두 카지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두 가지 모형 모두 진정성리더십을 설명하기 위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검증된 연구모형에 대한 토론과 연구의 한계를 설명하였다. Most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takes place in a work contex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general self-efficacy, and authentic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one`s life in general. Three hundred Korean adul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general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nd a general measure of authentic leadership.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o test two different research models with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alternatively acting as a potential explanatory variable or mediator and authentic leadership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showed support for both models, suggesting that self-leadership and general self-efficacy may contribute to authentic leadership in one`s life in gener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김근해 ( Geun Hae Kim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여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맞추어 차별화된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기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 다. 이를 위해 보다 광범위하고 동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7년, 2009년, 2011년 3개년도의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7년의 경우 직무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는 조직문화, 기업규모, 조직몰입, HR전담부서유무 순 서로 나타났고, 2009년도는 조직문화, 조직몰입, 기업규모, HR전담부서유무 순서로 나타났으며, 2011 년도는 조직문화, 조직몰입, 기업규모, HR전담부서유무 순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연도에 관계없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변수는 조직문화, 조직몰입, 기업규모, HR전담부서유무임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직무 만족 향상을 위한 기업교육 프로그램의 주요내용은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임을 제시하였으며 기업 내부적으로는 HR전담부서가 필요하며 특히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HR전담부서 의 필요성을 부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propose a direction of a corporate training program for the differentiated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for rapidly changing market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o provide broader and more dynamic basic data, it analyzed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for three years, 2007, 2009 and 201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2007, the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culture, business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lusive HR organization; in 2009,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business scale and exclusive HR organization; and in 2011,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business scale and exclusive HR organizat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common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year includ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business scale and exclusive HR organ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main contents of the corporate trai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should b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an exclusive in-company HR organization would be necessary, and it was brought into relief that especially, businesses with a smaller scale should have an exclusive H R department.

      • 초,중학생의 양육환경,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영걸 ( Young Keol Choi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4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 학년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양육환경,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양육환경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매정·합리적인 설명, 청소년 개인의 자아탄력성 교우관계의 순으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은 36.1%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자 한다면 부모의 매정·합리적 설명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용 프로그램과 청소 년의 자아탄력성 및 원만한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청소년용 프로그램이 병행되어 개발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ts investigation targeting the 4th and 7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respectively to understand how the gender, the grade, the parenting environment,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 ego-resilience affect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o carry out the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said that in terms of a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of all those sub-factors of the parenting environment, the parental affection`` rational explanation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ego-resilience and the peer relation of an individual adolescent.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model is 36.1%. This study suggested that if any relevant fields want to design programs to improve the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they should, first, know that they need to develop not only these programs for parents which would enhance the parental affection`` rational explanation but also, simultaneously, other programs for the adolescents to bring the adolescents`` ego-resilience and friendly relations with peers to a higher level.

      • 뇌운영시스템(BOS)의 척도 개발

        백정희 ( Jung Hee Baek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15 No.-

        이 연구는 뇌운영시스템 (Brain Operating System: BOS) 의 상태를 나타내는 BOS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BOS 5법칙을 뒷받침하는 사회 심리학적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뇌운영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과정을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전국 성인 남녀 674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과정을 거쳐 BOS 척도를 개발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BOS 5법칙을 존재양식, 선택이론, 자기결정성이론, 영향력의 원의 개념으로 설명하여 BOS 5법칙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BOS 5법칙에 의해서 작동하는 뇌운영시스템의 상태를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구성개념을 ‘알아차림(awareness)’, ‘주의(attention)’, ‘상상하기(imaging)’, ‘행동하기(acting)’로 멍멍하였다. 개발된 BOS 척도에 대한 신뢰도분석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신뢰도, 판별타당성, 수렴타당성 검증과 전문가 집단을 통한 내용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아울러 BOS척도를 뇌교육프로그램 평가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Brain Operating System (BOS) scales which shows the condition of BOS.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socio-psychological theories supporting five rules of BOS, conducted a survey on 674 males and females across the nation based on questionnaires written through the process of operational definition, and developed BOS scale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defined 5 rules of BOS with the concepts of being-mode, choice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ircle of influence, thereby present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e 5 rules of BOS and named four conceptual definitions: "awareness", "attention", "imagining", and "acting" after operationally defined the condition of the brain operation syste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BOS scales were obta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of the developed BOS scales and evaluation of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tent validity is also conducted through an expert group. Moreover, this study proposed utilization of BOS scale to evaluate brain education programs.

      • 고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취목표동기, 자기결정성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황원섭 ( Won Sup Hwang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인 성별, 학교 유형 및 거주 지역과 창의적 가정환경,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취목표동기, 자기결정성동기,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단계적으로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광역시 이상 4개 도시와 6개 중소도시의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성별, 학교 유형 및 거주 지역별로 1,514명를 조사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섯 개 요인 가운데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독립변수로 나타났고,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이 두 번째, 그리고 자기결정성동기, 성취목표동기,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거주 지역 순이었다. 본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36.8%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자기효능감 증진과 창의적 가정환경 조성을 위한 내용이 프로그램에 우선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tepwise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persona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1,514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 st and 2nd graders of hight schools of 6 small and mid-sized cities and 4 metropolitan cities depending on gender. types of schools and sizes of citi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influences of explanatory variable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are in the sequence of general self-efficacy, creative home environmen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hievement goal motivation, and the regional factor of social-economic status variables. The total explanation power of the study model turned out to be 36.8%. Thus. it is proposed that anyone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creative persona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asked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most critical predicting variable on creative personality is the general self-efficacy.

      •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연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박순녀 ( Soon Yeo Park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직장교육의 목표가 조직성과라는 것을 토대로 먼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근거로 K사 생산직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가 선정되었고, 이 3가지 핵심요인의 향상을 통해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 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들을 개발하였고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프로그램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 그램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Tyler의 목표중심 평가모형에 따라 만족도를 통한 주관적 효과평가와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객 관적 효과평가를 동시에 실시할 여|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한 ‘고객맞 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K사 생산직 교육의 중점목표인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직장교육 프로그램 개발단계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추후 대한민국의 기업과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o improve mental health of employees. Organizational achievement is found to be the main goal of a company``s educational program for employees based on needs assessment of human resource department staffs. Three core factors of mental health effecting on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are found and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developed for manufacturing workers of Company K. Three core factors of employees`` mental health effecting on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are foun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bring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mental health by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those three core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program, firstly, several modules of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ar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mental health. Secondly, the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for manufacturing workers of Company K are developed based on those modules. Finally, after three pilot trials, the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determined. For the evaluation of program, subjective evaluation of effects on satisfaction and objective evaluation of effect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are conducted according to Tyler``s goal-oriented evaluation model. This research described developmental process of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This research should be greatly utiliz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of Korean companies and governments as a new paradigm of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future.

      • 학업성취관련 심리요인들과 가정환경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인문계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송찬옥 ( Chan Ok Song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8 No.-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들 중 지각된 교사기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목표와 피드백, 학습조절과 학습자를 둘러싼 가정환경요인이 학업성취에 직 ? 간접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국 5개 지역의 인문계 남 ? 여 고등학교 2학년 849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역학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측면에서 가정환경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조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와 피드백 순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 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의 영향력이 가장 작게 나왔다. 이를 통하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키려면 경제적 심리적으로 안정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을 증진시킬 수있는 지원에 촛점을 두어야 한다. The paper studies how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im-and-feedback, learning control, academic self-efficacy and home environment exer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investigation 849 students were selected from 2nd grader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s of 5 areas in the whole nati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alyses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out of 6 latent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im-and-feedback. But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i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This study indicates that home environment needs to stabilize for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and self-control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focused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 초등학생의 두뇌활용능력지수에 대한 요인 구조 분석

        오미경 ( Mi Kyoung Oh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을 통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두뇌를 잘 활용하여 목표를 실현해 내는 능력을 평가하는 두뇌활용능력지수의 요인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두뇌활용능력을 ‘스스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인지, 정서, 신체적 측면에서의 두뇌상태를 잘 조절하고 관리하여 목표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문항을 제작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요인분석결과에서 사용된 요인 추출방법은 주성분 분석, 회전방법은 베리맥스 방법으로 총 9개의 요인이 산출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각 요인은 인지기능 향상능력, 정서조절 향상능력, 신체조절 향상능력, 목표 설정능력, 목표 집중력, 목표 실천력, 자아존중감, 타인존중감, 내적 통제력으로 명명하였다. 이 척도의 신뢰도는 .52-.82로 초기 개발지수로는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목표실천 및 미래설계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 the Brain Quotient(BQ) that is the Scale for assessing the children`s brain application ability. BQ means one`s abilities to understand one`s own intellectual, emotional and physical condition and set one`s goal, control oneself and realize one`s goal through application of their brain. Using the responses of 28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nalyzed. Cronbach`s alpha reliability were appropriate.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9 factor. It was named as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ability, emotional function improving ability, physical function improving ability, goal setting ability, goal concentrating ability, goal realizing ability, self esteem, others esteem and self control.

      • 공감, 자아존중감, 개인가치관이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화영 ( Hwa Young Lee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인지공감, 정서공감, 개인가치관, 자아존중감이 친사회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인천지역 남, 여 고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680명을 조사 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4개 잠재변인들의 영향력 크기측면에서는 인지공감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개인가치관, 자아존중감, 정서공감 순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친사회행동을 증진시키려면 친사회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간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인지공감을 높여야하며, 또한 인지공감을 매개하고 직접적인 영향력이 두 번째로 큰 개인가치관도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인지공감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조망취하기가 개인가치관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타자지향성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조망취하기와 타자지향성이 친사회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볼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활용한다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조망취하기, 타자지향성 증진을 위한 내용이 프로그램 내요에 우선적으로 들어가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s how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personal values, and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exer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their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For this investigation 68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st and 2nd grader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s of Seoul and Incheon area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alyses showed that cognitive empathy, ouf of 4 latent variables affecting prosocial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personal values, self-esteem and emotional empathy.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ognitive empathy, acting as the most diret and indirect influential factor on prosocial behavior, should be developed with highest priority in order to improve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 adolescents. And it was also found that prosocial behavior can be achieved from the development of personal values which act not only as a mediating factor but a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to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erspective-taking, one sub-factor of cognitive empathy, and other-orientation, one sub-factor of personal values, have such high impat on prosocial behavior that they are regarded as the most critical predicting variables. In this regard, it is suggested that perspective-taking and other-orientation(kindness) have the highest priority for building up th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