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산강 퇴적물 인의 존재형태에 대한 실험실 연구

        오해성(Hae Seong Oh),허인애(In Ae Huh),최정현(Jung Hyun Choi) 대한환경공학회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9

        본 연구는 영산강 죽산보 상류 퇴적물을 대상으로 퇴적물에 존재하는 무기인의 존재형태를 파악하고 수체에 미치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예측해보고자 실험실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퇴적물을 채취하여 7일 동안 배양실험을 진행하였고, 배양 후 퇴적물의 존재형태별 인 및 수층의 총인을 측정하였다. 무기인의 총량은 YS1 지점보다 YS2 지점에서 더 많았으며, 존재형태별 인 중 Al-P와 Fe-P의 비율이 높았다. 두 지점 퇴적물 모두 배양 초기에 비해 배양 7일 후 Al-P, Fe-P 그리고 Ca-P는 증가하였으며, Red-P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의 총인 농도는 YS1 지점에서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YS2 지점에서는 배양 7일 후 초기에 비해 총인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퇴적물 입자가 조밀한 YS1 지점이 YS2 지점에 비해 수층 총인 농도가 높은 결과로부터 수층의 총인 농도 변화는 퇴적물의 입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존재형태별 인 중 Fe-P는 수층의 총인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Red-P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수층의 총인 농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퇴적물 인의 존재형태별 특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osphorus fractionation on the phosphorus release from the sediments of Juksan reservoir in Yeongsan River. The field sediments were collected, incubat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phosphorus fractionation of sediments and total phosphorus (TP) of overlying water after 7 days. The total amount of inorganic phosphorus of YS2 site was higher than YS1 site. Al-P and Fe-P were major constituents of inorganic phosphorus. During the incubation, Al-P, Fe-P and Ca-P were increased and Red-P was decreased at both sites. YS1 site showed increased TP concentration of overlying water, however, YS2 had opposite trend during the incubation. Counting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YS1 and YS2,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major factor to control the TP concentration of overlying water.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e-P and TP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d-P. From the results, it is essential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ediment phosphorus fraction in order to control the TP concentration of the water.

      • KCI등재

        영산강 퇴적물에서 용출되는 용존 유기물의 형광특성 분석

        오해성(Hae Seong Oh),허인애(In Ae Huh),최정현(Jung Hyun Choi)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9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죽산보 상류의 퇴적물에서 수층으로 용출되는 용존 유기물을 대상으로 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 채취는 2015년 7월 6일 죽산보 상류 0.5 km (YS1)와 1.5 km (YS2)에서 이루어 졌으며, 채취한 퇴적물을 깊이별(T,M, B)로 나누어 20℃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시료를 대상으로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고 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용존 유기탄소는 보와 인접하고 입자 크기가 작은 YS1 지점에서 배양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형광분석을 통해 유기물 특성의 지표인 SUVA, HIX, BIX, FI를 계산한 결과 용존 유기물 중 소수성 유기물과 고분자 유기물은 YS1 지점에서 YS2 지점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배양에 따라 퇴적물에서 수층으로 용출되는 용존 유기물은 육상기원 유기물과 미생물기원 유기물이 혼합된 복합기원 휴믹물질이었다. PARAFAC 분석 결과 제시된 두 가지 성분은 Humic-like와 Tryptophan-like 물질로, 배양에 따라 Humic-like 물질은 두 지점 모두에서 용출되었으며, Tryptophan-like 물질은 YS2 지점에서만 용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정체성 수역 내 퇴적물의 유기물 용출 특성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향후 정체수역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fluorescence analysis of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released from the sediments in the upper stream of Juksanbo, Yeongsan River.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at 0.5 km (YS1) and 1.5 km (YS2) upstream of Juksanbo on July 6. 2015. The sediments were divided by depth (T, M and B) and incubated at 20℃ for 7 days. The supernatant of incubated samples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fluorescence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higher at YS1 with smaller particle size. As a result of SUVA, HIX, BIX and FI analysis, hydrophobic organic matter and polymeric humic organic matter were contained more in YS1 than YS2. Dissolved organic matter released from the sediment to the water layer with incubation was the terrestrial origin organic matter or the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The parallel factor analysis (PARAFAC) results showed that two fluorescence components: terrestrial Humic-like (C1) and Tryptophan-like (C2) constituted the fluorescence matrices of sediment samples.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re i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 organic matter released from the sediment of the river with weir, which is useful information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의 등나무 분포 특성 및 관리방안

        이창우 ( Lee Chang-woo ),오해성 ( Oh Hae-seong ),이철호 ( Lee Cheol-ho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2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에 대한 개체군생태학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지역은 1966년에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자생적 기원을 가지며 등나무가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매우 희귀하여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범어사 등나무군락은 군락지 내의 등나무 분포 현황 및 생태에 대한 해상도 높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등나무군락 내의 개체 분포 현황과 개체군 특성을 확인하고, 보존방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해 범어사 등나무군락과 그 일대를 대상으로 등나무의 분포, 근원직경, 감고 올라가는 방향 및 식물종과 연구지역 내 식물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내 등나무 개체 수는 총 1,158개체가 확인되었고, 등나무의 근원직경은 평균 69.0 ㎜ (±45.5), 최대 365 ㎜로 나타났다. 감는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 40개체가 확인되었다. 등나무의 등반식물종은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동종(同種)인 등나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나무군락은 계곡부에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속적인 교란에 의해 유지 발달하고 있는 군락으로 파악되었다. 현존식생도를 통해 계곡림에 76.6%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서어나무-이대우점림, 칡군락, 소나무우점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포가 배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확산되어가고 있는 등나무개체군과 최대 근원직경을 가지는 등나무의 보호, 지역 서식처 보존 등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후속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천연기념물 제176호 보호 지역의 수정과 서식처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population ecology of gregarious Wisteria habitat was conducted in Beomeosa temple, Busan. The area has been protected since it was designated as No. 176 natural monument in 1966. Such a large habitat of native wisteria (Wisteria floribunda DC.) in Korea is very rare so that it has a very high academic value. However, there are no high-resolution researches on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wisteria in the Gregarious Wisteria Habitat of Beomeosa Templ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wisteria populations in the Wisteria habitat. The study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Wisteria, RCC, the climbing direction, the plant and flora in the research area in the Gregarious Wisteria Habitat of Beomeosa Temple in Busan and the surrounding areas based on an on-site research.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the wisteria populations in the research area was confirmed to be 1,158 and the RCC of wisteria was on average 69.0 ㎜ (±45.5) and in maximum 365 ㎜. In terms of the climbing direction, the number of wisteria that climb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as determined to be 40.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are 28 taxa of the climbing plant species and the wisteria of the same kind was the most favorable. The populations were found to be dispersed adjacent to the valleys, and were found to be maintained by constant disturbance. 76.6 % of the population wa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valley forest, and the Carpinus tschonoskii-Pseudosasa japonica forest, Pueraria lobat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forest were found to be relatively dispersed. The study proposed to conduct the follow-up researches to preserve the wisteria that is spreading in this research area, the wisteria with the highest RCC and regional habitat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maintain the protection area of No. 176 natural monument; and discussed the management measures and approaches that reflect the habit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