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양호 일대에서의 월동기 물닭의 로드킬 현황 및 보호방안
오수길 ( Su-gil Oh ),정영훈 ( Young-hun Jeong ),오홍식 ( Hong-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철새도래지로 지정·보호되고 있는 남양호 일대에서 물닭 Fulica atra의 조사시기에 따른 로드킬 출현 개체현황, 서식지 간 이동, 호수 내 결빙 경향성 및 차량 이동현황 등을 토대로 물닭 개체군 보호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는 2017년 11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총 50회 실시하였고, 로드킬 사망개체 확인 시 GPS 위치와 수면 결빙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로드킬 발생지역 일대의 차종별 이용 및 이동량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남양호는 월동기인 12월에서 1월 사이에 기온저하로 호수 수면부가 결빙되면서 물닭의 로드킬 발생이 증가하였고, 다른 조류에 비해 물닭이 차지하는 비율(54.5%)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닭의 주요 로드킬 발생 지역은 장안대교와 남양호교 일대로 호수 내 결빙으로 먹이 섭취가 점차 어려워지면서 낙곡 등 먹이원을 찾아 호수에서 농경지로 이동하는 개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닭은 남양호에서 주변 농경지 및 도로로 이동시 주로 걸어서 이동하였고, 다수개체에 의한 비행이 소수 개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행고도가 높았다. 조사지역에서 차량의 이동량은 302번 지방도일대에서 가장 높았고, 차량 속도도 전체 조사지역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로드킬 발생 빈도는 장안대교와 남양호교 일대에서 높았는데, 이는 남양호 일대에서의 물닭 로드킬 발생은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도로 주변 일대의 다양한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에 따른 물닭의 로드킬 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로 내 차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의 추가 설치와 무인과속단속 장비의 신설이 요구되며, 물닭 차량충돌 지역임을 확인시켜 줄 로드킬 주의 안내판과 내비게이션 등을 통한 주요 충돌 지역임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남양호 수변부로 물닭의 비행고도 유지를 위해 교목층의 상록침엽수림, 목재형 울타리 및 전신주 지하 매립 등으로 서식지간 이동시 비행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다층으로 수목을 식재하여 도로에서 수계 지역으로 이동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로 및 주변 일대로의 물닭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가드레일 하단 차폐, 도로 주변 제초 시행, 도로 침입 경보음과 경광등의 설치를 실시하고, 로드킬 비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낙곡 등의 먹이원 공급 지역을 확대등의 저감방안을 다양하게 수립한다면, 물닭의 로드킬 발생으로 인한 사망 요인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에서 확인된 로드킬 개체는 현지에서 발생한 사망 개체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로 더 많은 조류가 차량이동으로 인해 생명에 위험 및 위협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철새도래지 일대에서 물닭의 로드킬을 저감하기 위해 기 제시되었던 저감방안의 수립과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지 교란을 최소화한다면, 물닭의 월동지 및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는 남양호에서의 개체군 감소 및 남양호 내의 조류의 종다양성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the Eurasian Coot Fulica atra population by roadkill status, habitat movement, freezing tendency, vehicle movement in the Namyang Lake, which is protected as a habitat for migratory bir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23, the GPS location was recorded when a dead object was identified by roadkill, the tendency of water freezing was also identified, and the vehicle type and amount in the area where roadkill occurred was analyzed. Namyang Lake was frozen due to a drop in temperature between December and January, the occurrence of coots roadkill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coots (54.5%) among roadkilled individuals was relatively high. The main roadkill occurrence of coots occurred in the section between Jangan Bridge and Namyangho Bridge, and food intake gradually became difficult due to freezing in the lake, land moving to eat grain from the lake to paddy field tended to increase. Coots moved generally on foot when moving from Namyang Lake to surrounding paddy field and roads,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light by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had a relatively high flight altitude compared to that of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The vehicle amount and vehicle speed on the road showed the highest tendency in the area of Local Road No. 302, However, the overall frequency of roadkill occurrences was found to be high around Jangan Bridge and Namyangho Bridg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wild animal habitats and various factors around road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ccurrence of coot roadkill in the Namyang Lake.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roadkill deaths of coots due to vehicle movement, additional installation of speed bumps that can control vehicle speed on the road and new installation of unmanned speed enforcement equipment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at it is a major collision area through warning signs and navig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the flight altitude of coots along the waterfront of Namyang Lake, the flight height is maintained when moving between habitats by implementing evergreen coniferous tree, wooden fences, and underground landfills of telephone poles. a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ovement of coots from roads to aquatic areas by planting trees in multiple layers at the lower part of the trees. If various reduction measures are established to limit the movement of coots on roads and surrounding areas by Covering the bottom of the guardrail, weeding around the road, installing road trespassing alarms and warning lights, supplying food sources such as grains in roadkill non-occurring area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isperse the death factors caused by roadkill of coots. Roadkill objects identified on the road are only a part of the deaths that occurred locally, and in fact, more birds are accepted as a risk and threat to life due to vehicle movement.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coot population and species diversity decline by establishment of reduction plan and monitoring in Namyang Lake, which is used as a wintering and breeding ground for coots.
오태훈(Tae-Hoon Oh),오수길(Su-Gil Oh),백충렬(Chung-Ryul Baek),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2006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총 8회에 걸쳐 1966년에 문화재청에서 낙동강하구 일원(부산구포대교-가덕도 동쪽하단)에 포함되어 천연기념물 제 17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지역인 진우도에서 관찰되는 조류를 대상으로 멸종위기야생동물(조류), 서식형태 및 방해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10목 23과 77종 5,103개체였으며, 종다양성지수(H')는 3.31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민물도요(Anser fabalis), 쇠제비갈매기(Sterna albifrons), 혹부리오리(Tadorna tadorna), 재갈매기(Larus argentatus), 갈매기(Larus canus) 순이었다. 서식형태별로는 텃새가 23종, 여름철새가 9종, 겨울철새가 31종 그리고 나그네새가 14종으로 확인되었다.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학술적 빛 문화적으로 보호가 요구되는 종으로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천연기념물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천연기념물 제243-4호), 매(Falco peregrinus, 천연기념물 제323-7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천연기념물 제323-6호) 및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천연기념물 제323-8호) 등이 관찰되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말똥가리(Buteo buteo), 알락꼬리마도와(Numenius madagascariensis), 솔개(Milvus migrans), 물수리(Pandion haliaetus) 등이 관찰되었다. The bird surveys were conducted in Jin-woo Island from December 2006 to May 2007. Total 77 species and 5,103 individuals were recorded including forest, shrub-grassland and water birds in the study area. Among the total 77 species, 23 resident, 9 summer visitor, 31 winter visitor and 14 passenger migrant were identified in migration pattern. Dominant bird species were Anser fabalis, Sterna albifrons, Tadorna tadorna, Larus argentatus and Larus canus. Shannon-Weaver species diversity indices (H') was 3.31. Natural monuments and endangered birds were 10 species (Haliaeetus albicilla, Haliaeetus pelagicuss, Buteo buteo, Circus cyaneus, Milvus migrans, Falco peregrinus, Falco tinnunculus, Larus saundersi, Numenius madagascariensis and Pandion halieatus)
천연기념물 매(Falco peregrinus)의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
백충렬(Chung-Ryul Baek),오수길(Su-Gil Oh),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약 3년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 및 공주대학교 조류사육장에서 사육을 통한 매(Falco peregrinus)의 관찰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매는 산란기, 포란기 및 육추기가 약 85-90일이 소모되는 번식생활사를 갖는다. 둥지는 일반적으로 해안가 바위 절벽의 오목한 곳으로 비에 젖지 않는 곳을 선호한다. 둥지 장소의 높이는 해발 105.05±19.50m (n=10)이었으며, 부화율은 91.67±14.43%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소율은 77.78±19.25%로 나타났다. 알의 크기는 장경이 4.91±0.25㎝, 단경이 4.05±0.17㎝이고 무게는 45.90±2.08g이었으며, 형태지수는 82.35±2.28으로 타원형이었다. 새끼의 성장 중에서 부리와 부척은 성장 기간 중에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깃털의 영향을 받는 전장, 꼬리, 날개는 깃털이 자라는 15-20일 사이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We conducted the breeding ecology of the Peregrine Falcon at Western Sea of Korea and the aviary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rom March 2004 to February 2007. Peregrine Falcon have 85-90 days life-cycle including nesting to fledgling period. The height of nests were 105.05±19.50m (n=10) above the sea level. The hatching rate was 91.67±14.43% and fledgling rate was 77.78±19.25%. The eggs size were 4.91±0.25㎝ in major axis, 4.05±0.71㎝ in minor axis and 45.90±2.08g on weight. The egg shape was oval close to circle as a shape index, 82.35±2.28. Comparing 3 day chicks from hatching date with fledgling, the length of bill and tarsus of chicks was not different between 15-20 day from hatching date. But, total, tail and wing length were different between 15-20 day from hatching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