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성별 및 학업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심재휘 ( Shim Jae-hwee ),이기혜 ( Yi Kihye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3-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특성과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추정을 이용한 중학교 3학년 때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학생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이 높고 수업에 잘 적응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학업성취 효과는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 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는 모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추정을 통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주관적 학업성취와 수업적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중학교 3학년 때 크게 나타났던 여학생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 격차는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좁혀졌다.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보면 교우관계, 부모자녀 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교사학생 관계는 여학생에게서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교육의 풍토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the 3rd to the 6th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relations on the trajectorie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OL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s academic character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class adjustment improved life satisfaction but the amount of learning time spent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los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including variables of social relatio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fixed effect estimation also showed a similar result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to that in the OLS analysis. The life satisfaction ga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arrowed over time from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bu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ssue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영향요인 분석: 대학 재학기간을 중심으로

        심재휘 ( Jae Hwee Shim ),김경근 ( Kyung Ke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2011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1GOMS1)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임금, 정규직 취업 여부와 같은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졸 청년층의 임금은 개인수준에서 성별, 연령, 가계소득, 졸업평점, 전공계열, 학내 취업프로그램 참여, 어학연수, 취업교육훈련 참여, 인턴 경험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준에서는 교육내용 만족도, 서울소재 대학 졸업, 졸업한 대학의 평판이 임금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정규직 취업 가능성에는 개인수준에서 성별, 연령, 가계소득, 전공계열, 학내 취업프로그램 참여, 어학연수, 취업교육훈련 참여 등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했고, 대학수준에서는 졸업생의 교육내용 만족도와 대학 평판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대학 재학기간은 임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규직 취업 가능 성과는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뚜렷한 명분이나 비전이 없는 상태에서 재학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상당히 불합리한 선택임이 판명되었다. 다른 변수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가계소득이 임금 및 정규직 취업 가능성에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은 교육을 통한 부의 대물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에 불평등을 완화하기위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2011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1GOMS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early-career labor market outcomes such as monthly wage of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and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for young four-year college graduates using multi-leve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individual level, gender, age, parental income, GPA(grade point average), major, participation in on-campus employment programs, language training abroad, participation in off-campus job training, and internship are closely related to monthly wage of early-career young college graduates. At the collegiate level, college satisfaction, having graduated from a college located in Seoul, and college reputation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monthly wage of early-career BA recipients. In a similar vein,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for early-career young college graduate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age, parental income, major, participation in on-campus employment programs, language training abroad, participation in off-campus job training at the individual level, and by college satisfaction and college reputation at the collegiate level. Meanwhile, it turns out that time to degree has little to do with monthly wage of early-career BA recipients, whereas it is closely related to likelihood of making entry into labor market as a regular worker. It can then be said that increasing time to degree with little justifiable cause is rather an irrational behavior. The fact that parental income still has a significant effect,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both on monthly wage of BA recipients and on their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exhibits that inheritance of wealth through schooling is highly likely to take place in Korea, which in turn calls for appropriate compensatory measures to ease inequality.

      • KCI등재

        Wee 클래스 운영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심재휘 ( Jae-hwee Shim ),이기혜 ( Kihye Yi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연구는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조사한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SELS 2010) 3-4차년 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Wee 클래스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여타 학교폭력 가해경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Wee 클래스 운영 목적이 학교폭력 문제 해결이라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 가해경험을 비롯하여 학교 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투입한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개별 학생이 Wee 클래스 운영학교에 진학하는 경향성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경향점수를 이용한 매칭을 통해 선택편의를 통제한 후, OLS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Wee 클래스 운영 효과 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Wee 클래스를 운영 중인 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생 대상 학 교폭력 예방교육을 보다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가해경험 정도는 중학교 때의 가해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남학생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높았다. 한편 단위학교에서 운영하는 Wee 클래스는 전체 학생에게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현재의 가해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프로그램이 향후 발전적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Drawing on 3rd and 4th wave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SELS 2010),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Wee class” which is operated in highschool on reducing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Considering that the objective of “Wee class” is to solve school violence problems, we applied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propensity for entering highschool which runs “Wee class” from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After that, we controlled selection bias using propensity score and applied OLS regression based on matched sample to investigate the “Wee class” effects on reducing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Our regression results exhibited that schools which run “Wee class” spend more tim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an ordinary schools. Against our expectations, however, most covariate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couldn’t predict well whether students enter “Wee class” highschool or not.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it in the past, and also seems to be worse with boys than girls. self-control and positive school climate reduced the levels of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The “Wee class”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tself, however it showed a moderate effect to weaken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and present violence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progressiv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Wee class.”

      • KCI등재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 상대적 수준, 영향요인 및 과제

        김경근 ( Kyung Keun Kim ),심재휘 ( Jae Hwee Shim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세계가치관조사 2차∼6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가 세계적으로 어떤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한편,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육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세계가치관조사 분석 결과는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가 세계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고, 시간이 많이 흘러도 나아지는 점이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한편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는 교육수준, 계층의식, 공동체의식, 접촉경험, 종족정체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교육수준은 다문화적 태도에 직접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계층의식, 공동체의식, 종족정체성을 매개로 다문화적 태도에 간접효과도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공동체의식과 접촉경험은 다문화적 태도에 강력한 정적 효과를 갖는 반면, 계층의식과 종족정체성은 부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연구결과가 제공하는 주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사회가 직면한 과제와 한국인의 다문화적 태도를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ly, drawing on second to sixth wave data from World Values Survey(WVS),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the relative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s of Korean adults compared with that of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Secondly, using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collected in 2013 by the SSK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ttitudes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the role played by educational attainment. Results exhibited that Korean adults` multicultural attitudes ranked among the lowest in the World, which had hardly changed over time.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predictors of multicultural attitudes, it was proven that educational attainment, class identification, intergroup contact, and a sense of community all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s. Especially, it turned out that educational attainment had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wielded an indirect effect on them through class identification, a sense of community, ethnic identity as well. While a sense of community and intergroup contac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attitudes, class identification and ethnic ident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major findings that can help Korean adults embrace cultural diversity and tolerance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