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가 인식하는 심리적 배제와 위축행동과의 관계 : 이중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사리(Song Sa Ri),박명숙(Park Myungsook)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8 미래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적 배제감이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배제감과 위축행동의 관계에서 이중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242명이 참여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하는 심리적 배제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들의 위축행동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배제감이 높을수록 이중정체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정체성 중 이중문화정체성은 심리적 배제감과 위축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지만 이중언어정체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심리적 배제를 감소하고, 이중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rejection and withdrawal behaviors experienced b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investigating whether dual identity medicates the associates. 242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is study overall found that the variable of social rejection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variable of withdrawal behaviors. A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variable of social reje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variable of dual identity.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the variable of dual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variables of social rejection and withdrawal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social interven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study resul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자기유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사리(Song Sa Ri),박명숙(Park Myungsook)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al cultural identity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162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 total of 158 children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d Sobel-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overall found that the variable of dual cultural identity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variable of life satisfaction. A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variable of dual cultural identity was associated with the variable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urther,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howed mediating effect between dual cultural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dual cultural 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study resul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문화정체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와 강원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162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대인면접법(face-to-face survey)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 수준이 높을수록 이들 자녀의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문화정체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유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졌으며 이들 매개변수는 모두 독립변수인 이중문화정체성과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의 내현화 특성인 자기유능감과 외현화 특성인 대인관계능력의 강화를 도울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사회ㆍ문화적 장애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실천인력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박명숙(Park Myungsook),송사리(Song Sa Ri)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4

        본 연구는 한국으로 이주한 초기적응기 결혼이주여성이 삶을 형성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사회ㆍ문화적 장애요인과 보호요인을 포괄적으로 탐색하는 동시에 다문화실천인력의 입장에서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장애요인과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209명의 결혼이주여성과 210명의 다문화실천인력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초기적응 결혼이주여성 두 집단과 다문화실천인력 두 집단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한국어 능력, 외국인에 대한 차별, 가사와 양육의 역할부담 등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과 교육 사회참여를 방해하는 장애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원활한 의사소통능력과 사적 지지체계는 취업 및 공동체 활동 영역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며, 공적 지지체계는 교육영역에 있어 주요한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ㆍ문화적 장애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한 다문화실천인력과 결혼이주여성 당사자의 인식에는 다양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동시에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과 이들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체계인 다문화실천인력의 인식 및 태도를 ‘취업 및 경제’, ‘학습 및 교육’, ‘공동체 및 사회활동’ 영역에 걸쳐 비교함으로써 다문화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 상호 간의 이해를 돕고, 나아가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ㆍ문화적 갈등과 욕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보호요인을 강화시키는 지원체계마련의 바탕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ltural differences and difficult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as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and protective factors that can be solved this problem. For this, we comprehensively searched the Socio-cultural obstacle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face in the process of life 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how the multicultural practitioner perceived obstacles and protective factors experienced by marriage migrant women. In this study, obstacles were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employment and economy’, ‘learning and education’, ‘community and social activities’. The protection factors consisted of the same categories excluding ‘institutions and policies’ area. Comparing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international married 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practitioners who provide welfare services to them across various categories can help to understand between users and providers of multicultural welfare service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that removes obstacles and reinforces protection factors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socio-cultural conflicts and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 KCI등재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효과성연구

        정현주(Chung Hyun Ju),송사리(Sa Ri S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1

        본 연구는 단일체계설계 중 AB설계를 활용하여, 개별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이혼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2명의 아동은 1주간의 기초선 단계와 10주간의 개입단계에 참가하였다. 양적분석에서는 단일체계 평가설계를 위한 개별화된 척도의 반복측정과 K-YSR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서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진행과정 기록과 그림투사검사(HTP, KFD)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개입결과, 단일체계 평가설계의 3표준편차 띠접근을 사용한 분석에서 2명의 아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입결과를 나타났다. K-YSR 척도를 활용한 사전사후 검사 및 프로그램 종료 3주의 추후검사결과 역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10회기 미술치료의 과정과 그림투사검사(HTP, KFD)의 사전사후검사의 질적분석 결과, 아동의 활동내용, 감정 및 행동, 연구자와 아동의 상호작용 등의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들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이혼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개별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개입의 효과들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A-B 단일체계 설계가 유용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art therapy for improving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in divorced family using an AB Single System Design for practice evaluation. We completed a 1 week base-line phase and 10 weeks of the intervention phase with two childre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evalu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data from repeated measures of individualized scales and pre/post-test of K-YSR were utilized. On the other hand, pre/post-test of HTP, and KFD and the recording of the art therapy process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cted data throughout the AB Design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s well as visually. Tools such as trend line and trend index wer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visual analysis. The 3 standard deviation approach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The results show that all children improved. Second, individualized art therapy program is proved to improv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based on the K-YSR pre/post-test and follow-up evaluation. Also,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HTP and KED pre/post-test and process evaluation of the art therapy, we foun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activities, emotion and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 and childre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ized art therapy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Moreover,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use of AB Single-System Design in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 interv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