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과 잠정목록 상에 있는 한국 자연유산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성효현(Hyo Hyun Sung),김지수(Jisoo Kim),서지원(Jiwon Suh)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는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을 토대로 잠정목록에 있는 설악산 지역이 기준(vii)의 심미적 관점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8~2015년 사이에 등재된 기준(vii)을 포함하는 114개소 자연유산별 등재 타당성 근거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여 기준(vii)이 내포하는 가치 요소들을 구체화하고 적용 사례를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악산에 대한기준(vii)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첫째, 설악산 지역에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명승이 국립공원들 중 가장 많다는 점에서 시각적 자연미의 가치를 적용해볼 수 있다. 둘째, 설악산에는 비교적 좁은 지역 내에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스케일의 지형경관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화강암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악산 지역에서 지형발달에 따른 산지하천 지형경관을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values of criterion(vii) and to consider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riterion (vii) of UNESCO World Heritage to Mt. Seoraksan Natural Reserv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criterion (vii) and justifications of World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114 Natural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listed between 1978- 2015, detailed values of the criterion and their applied cases were categorized into 10 values. Based on this category, values were drawn that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and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criterion (vii) in three aspects. First, the value of visuality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due to its abundance of Scenic Sites, which means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area with natural beauty by government. Second,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in that it shows all kinds of granite landform in a relatively limited area. Finally,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gain applied due to its overall mountainous river landscape.

      • KCI등재

        S-23(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을 기초로 한 바다의 속성지명과 바다경계의 획정 근거 분석

        성효현(Hyo Hyun Sung),강지현(Jihyun Kang)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6

        바다를 이용한 항로의 발달과 바다를 터전으로 하는 어업활동의 증가에 따라 안전한 항해를 위한 바다의 경계와 그 공간을 지칭하는 지명의 제정은 필수적이다. 바다의 경계를 획정하는데 있어 국내·외적인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국제수로기구에서 출판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 S-23」에 대한 보고서는 공식적인 문서로써 바다의 경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23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바다경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2002년 제4판 draft를 분석하여 바다의 속성지명 및 바다경계를 획정하는데 사용된 자연지리적 대상을 찾아 경계획정의 근거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S-23(2002)에 나타난 바다는 9개의 속성지명, 즉 Ocean, Sea, Channel, Passage, Strait, Sound, Gulf, Bay, Bight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속성지명은 계층관계를 보이며 하부 계층의 바다는 배타적 또는 포함관계로 표현되었다. IHO의 용어사전에서 정의하는 속성지명의 특성과 현실에서의 바다특성이 상이하게 사용된 예도 발견되었다. 바다의 경계획정기준은 조약에서 제시한 경·위도, 대륙의 최외곽에 있는 곶 또는 갑, 하천하구와 사주 등으로 나타났다. 해저지형의 경우 대륙붕, 해구, 해곡, 해저융기부, 해저퇴, 암초가 경계로 이용되었는데, 특히 남극과 북극지역의 바다 경계는 대륙붕 또는 해저융기부의 경계가 이용되는 사례가 많았다. 해저지형에 의한 경계획정은 S-23 1953년 3판까지 제시된 것과는 달리 2002년 초안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는 해저탐사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저지형에 대한 이해가 개선되고, 이러한 지식이 해양경계획정에 사용된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Establishment of limits and names for oceans and seas is necessary for a safety of navigation. Even if there are no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delimitation of sea boundaries, we can take guidelines for the delimitation of sea boundaries through the analysis of IHO official publications, Limits and Names for Oceans and Sea; S-23. This paper shows the changes of the spatial limit of seas since first edition publication, and the standards for a delimitation of oceans and seas were analyzed using S-23 4th edition draft(2002) in terms of physical geographic features. The generic terms of S-23 include Ocean, Sea, Channel, Passage, Strait, Sound, Gulf, Bay and Bight, and each generic term shows hierarchical structures. Several sea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definitions of IHO dictionary. Sea boundaries are delimited by longitude and latitude, cape, river mouth, sandbar, and so on. Undersea features such as a shelf, trench, trough, rise, bank and reef are also important features for delimitation of sea boundary. Especially, seas that are delimited by undersea feature are mainly located Arctic and Southern ocean area in S-23 4th edition. Advanced knowledge of marine science with a technical advance might affect to delimit for sea boundary.

      • KCI등재

        Activitie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Hyo Hyun Sung(성효현)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5

        해저지형에 대해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지명을 부여하는 것은 해양학과 관련된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원활이 하며 그 연구결과의 활용이나 해도 사용에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다. 따라서 각 국가나 국제기구에서는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해저지명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영해 범위 내에서나 EEZ 또는 공해상에 해저지명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활동을 전개하여 왔다. 본 연구는 최근 대한민국에서 해저지형에 지명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 연구 내용은 첫째, 한국에서 해저지명을 부여하는 활동들을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둘째 해양지명 표준화를 위한 지침개발 내용을 소개하며, 셋째, 그 동안 과학적 탐사가 종료되어 SCUFN(국제수로국 산하 해저지명 소위원회)에 제안할 동해에 위치하고 있는 14개의 해저지형의 특색을 밝히고, 마지막으로 체계적 해저지명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미래계획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The consistent use of appropriate names for the undersea features is an essential elem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ocean scientists. The correct use of names on bathymetric and nautical charts provide benefits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Also it is expected that naming of the marine geographical features within the territorial waters and EEZ contributes to secure the territorial waters and preserve the various marine resources. This paper will seek to addresses a variety of activities where geographic names issues for undersea features arise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attention will be given upon 1) the general history of activitie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2)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for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3)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dersea features in East Sea; and 4) future plan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for naming marine geographical features in Korea.

      • KCI등재

        하천유역구분을 위한 DEM 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 대전시 건천 (乾川) 유역을 사례로 -

        성효현(Hyo Hyun Sung),이자영(Ja Young Lee) 한국지형학회 2000 한국지형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형이 한 유역 내에 공존하는 지역에 있어서 격자형 DEM의 구축기법의 변화가 결과적으로 유역추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이는 유역을 구분할 때에 대상지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격자DEM의 자료선정과 내삽법 그리고 오류처리기법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기복지형의 경우에 정확한 유역 구분을 위해서는 사용자료로서 등고선만을 이용하여 TIN을 구축하고 Linear혹은 Quintic 내삽법을 적용하여 격자형 DEM을 생성한다. 그리고 sink오류 수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러한 지형에서의 적절한 격자형DEM 구축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저기복지형에서의 정확한 유역구분을 위해서는 등고자료와 표고자료를 조합하여 사용하며, Quintic내삽법을 통하여 격자형 DEM을 구축한 후 평면 삼각형(Flat Triangle)오류의 수정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유역구분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산악지형과 저평한 지형이 한 유역 내에 공존하는 지역에서 유역경계 등의 지형정보를 추출하고자 할 때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선별적인 DEM구축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지형 특성에 의거하여 도출된 격자형 DEM 구축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유역경계를 추출할 수 있다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upon which we can decide data selection, interpolation, and error correction of raster DEM(Digital Elevation Models) according to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 areas when we delineate watersheds. For this purpose, 1 analyzed how modifications of raster DEM affect the delineation of watersheds in the areas where diverse topographies are in one watersh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delineate watersheds accurately in high relief areas, we have to establish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using contour data, construct raster DEMs with Linear or Quintic interpolation method, and correct sink errors. Second, in the case of low relief areas, we use both attitude point data and contour lines data, set up raster DEMs using the Quintic interpolation method, and correct flat triangle errors. Therefore, we must establish DEMs based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to derive topographic information such as watershed delineation in an area where mountains and flatlands coexist in one watershed. We can obtain accurate watershed delineation by utilizing the raster DEM creation method derived from each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 KCI등재
      • KCI등재

        GIS 시장개척과 지리학의 가능성

        성효현(Hyo Hyun Sung)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4

        오늘날 정보화 시대에 GIS 시장은 LBS, 텔레매틱스 등 지리정보 기반의 다양한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GIS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리학과 GIS의 특성을 살피고 GIS산업과 시장에 서 지리학자들이 기대한 대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졌는지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지리학과의 관계에서 GIS 기술은 지리학의 공간적 기본 개념을 토대로 현실세계의 문제를 더욱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에 지리학에서의 GIS 활용의 의미는 GIS가 지리학을 이론적 학문에서 현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학문으로 전환을 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GIS 분야에서의 지리학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GIS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지리학 및 지리교육전공에서 설정된 GIS 관련 교과목은 GIS기본이론 및 활용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GIS관련 전문학회지에서의 연구결과들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지리학자들에 의한 GIS 연구도 주로 공간분석과 응용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타 분야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IS 분야에서 GIS 전문인력으로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리학 전공자들은 신기술을 수용하고 GIS를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리학 교육과정에서 GIS 기술을 강화하여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기술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GIS is considered as a big industry or business in the field of applied sciences. Recently GIS market in Korea is growing rapidly for LBS, Telematics, Web-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IS and geography, and the question of how geography emerged out of intellectual trends within GIS to examine possible contribution of geographers in GIS fields. The application of GIS appears to be largely technical in nature. It is important for the GIS operator and the consumer of GIS products to be aware of the geographical concepts that underpin GIS operations. Also it is seen that many departments of geography in Korea have attempted to actively adopt GIS into their education program, with aim to improve the status. GIS has promoted a shift towards applied geography from academic geography. GIS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geography are concerned not with technology, but with the basic concepts and the issues relating to its use, in comparison with other academic field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geography community to make sure that our students receive a geographical education that includes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technical capabilities. It is concluded that promoting GIS technology in geography curriculum is essential for the further expansion of geography within GIS and also for the survival of geography.

      • KCI등재

        독도해산의 사면침식으로 인한 지형변화

        강지현(Ji Hyun Kang),성효현(Hyo Hyun Sung),박찬홍(Chan Hong Park),김창환(Chang Hwan Kim),정의영(Eui Young Jeong)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독도해산의 지형특성을 분석하고 지형의 형성작용에 대한 원인과 침식경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지형분석을 위해 독도주변해역의 수심데이터와 탄성파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수심데이터를 이용하여 독도해산의 평탄한 정상부와 해산사면의 경사, 사면향 등을 분석하였다. 독도해산은 정상부가 평평하게 침식되어 형성된 평정해산의 형태를 띠고 있고, 0~2°의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수심자료와 탄성파 자료에 의하면, 동도와 서도 주변 해저에는 불규칙한 돌출지형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과거 독도에서 붕괴된 암설이 퇴적되었거나 상대적으로 침식에 강한 암반이 남아 형성된 지형으로 생각된다. 해산 사면은 14~40°급경사 지형으로서 매스무브먼트에 의해 다량의 암설이 흘러내린 오목지형이 발달하고 사면의 기저부에서는 매스무브먼트에 의해 운반된 암설이 퇴적된 볼록지형이 나타난다. 사면 곳곳에는 해저곡(submarine gully)이 발달하고 해저곡이 분포하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침식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매스무브먼트에 의해 침식·붕괴된 암설과 해저곡을 따라 운반된 퇴적물은 해산의 기저부에 퇴적되어 있다. 독도해산사면에서 발생하는 매스무브먼트는 해저화산의 진화과정 및 지진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독도해산은 사면에서 매스무브먼트와 해저곡을 따라 일어나는 침식작용에 의해 사면이 후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ndform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es in Dokdo seamount. For geomorphic analysis, bathymetry data were collected by multi-beam echosounder and the seismic survey was also conducted.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f depth, slope, aspect and erosional landform, Dokdo Seamount is characterized by a flat or gently sloping top of 2° or less and seamount slope with 14~40° gradient. There are protrusion of landform around the Dokdo on top of the Dokdo seamount. It is inferred that the features are formed by collapsed debris deposits or remained bedrocks by differential erosion in the past. The massmovement topography including slump and slide is shown on seamount slope with 14~40° gradient. In addition, gullies with various length are developed on the Dokdo seamount slope. Slope erosional processes occur more actively along the submarine gullies on the Dokdo seamount. It is inferred that the massmovement processes on the slope of Dokdo seamount are related to earthquake activities and evolution of submarine volcano. Consequently, slope of the Dokdo seamount has retreated by erosional processes of mass-movement and submarine gullies.

      • KCI등재
      • KCI등재

        교사를 위한 자연재해 교육자료의 개발과 적용 - 사회과를 중심으로 -

        전상희 ( Sanghee Jeon ),성효현 ( Hyo Hyun Su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사가 실제 교실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연재해 교육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재해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기반지식을 도출하고, 사회과와 재해교육의 연계성을 분석하였으며, 현직 사회과 교사 76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자료는 교수학습지도안, 학생활동지, 교사도움자료로 구성된 교육모듈 형태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모듈은 총 10가지로 학습자 중심이며, 지역적 특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데이터를 활용하고, 일련의 재난관리 전 단계를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육자료의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3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수효능감, 인식 변화,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교사들의 재해교육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해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는 지식과 역량에 대한 이해도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사들은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지도안과 학생활동지가 포함된 교육모듈이 제공된 것에 큰 만족감을 나타냈다.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education material for natural hazard so that a social studies teacher can apply in actual classes.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natural hazard education material, this study derived basis knowledge through research on existing studies and analyzed the linkage between social studies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study administered a requirement analysis out of 76 social studies teachers currently in teaching. Educ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in an education module type composed of lesson plans, worksheets, and teacher assistance materials. This study developed a total of 10 learner-oriented educational modules. These modules are developed to help students to learn about regional characteristics, utilize actual data, as well as learn about all the phases of disaster management. The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such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 34 social studies teachers, currently in teaching, hav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n, the study evaluated teaching efficacy, change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program for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result was that the teachers’ confidence o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natural hazard eduction was increased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knowledge and competency that students are to learn was also enhanced. Especially, the teachers showed a great satisfaction on the provision of an education module that includes detailed lesson plans and worksheets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 KCI등재

        초등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연수 교육 과정 개발

        정영란(Young-Lan Chung),성효현(Hyo-Hyun Sung),우애자(Ae-Ja Woo),박진주(Jin-Joo Park),신예진(Ye-Jin Shin),안미경(Mi-Kyung Ahn),이은희(Eun-Hie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 環境 敎育 Vol.21 No.3

        Since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taught separately in various subject area, a well-founded and organized curriculum in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eded to educate teache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a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both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urriculum was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it was based on international and updated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urriculum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and the particular perspectives. The particular is made of 60 hours, which covers 6 perspectives on environment. They are ecological perspective, environmental ethics perspective, social-cultural perspective, economic perspective, environmental hygienic perspective, and environmental policy. Environmental policies of Korea and the world were included so that teachers will understand efforts made at national level and participate more to environmental action in their schools. Lesson objectives were specified for teachers to apply this curriculum to their classroom easily. Related elementary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indicated at the end of each lesson so teachers can link their training setting with their classroom setting. Especially, in this curriculum,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ch lesson are introduced. Thus, this research is very practica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planning to teach environment in their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