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문제와 대응논리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동향과 현황분석

        백용매 ( Yong Mae Baek ),류윤정 ( Yun Jung Ryu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psycho-social adjustment status and recent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3 to 2011 an analysis of 103 papers,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performed more rapidly since 2006, In general, most of these studies dealt with the topics such as cultural adaption stress, marital life and satisfaction, mental health of marital immigrant women among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ut, researches about other family members were unusual. It is suggested that more studies about multi-cultural adaption stress and adjustment process of husband, children, law-in mother and father members are needed. In the future studies, we should include Korean family control groups in research design, to compare the current psychological adjustment statu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native Korean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daption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외현화와 내재화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로샤반응 -인지, 정서, 대인관계영역을 중심으로-

        손창석 ( Chang Seok Son ),백용매 ( Yong Mae Bae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2

        본 연구는 정신과를 방문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평가와 진단을 통해 외현화와 내재화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과 연령 및 학력 수준이 비슷한 일반 청소년들을 대응표집하여 로샤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로샤검사의 여러 지표들 중 사고의 생산성과 인지자원활용성은 반응 수(R)와 람다 값(L) 및 D점수를, 정서영역은 색채반응 총합(SumC)과 무채색반응 총합(Sum shading) 및 공간반응(S)을, 그리고 대인지각영역은 인간운동반응(M)과 공격반응(AG)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고와 인지자원 활용도 지표에서는 반응 수에서, 정서영역에서는 색채반응총합과 무채색 및 음영반응 총합이, 그리고 대인지각영역에서는 인간운동반응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분석하면, 내재화집단은 외현화집단에 비해 에너지수준이 낮고 정서적 자극상황에서 철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극 상황을 억압하거나 회피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자극을 단순화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내적인 사고 활동을 통해 좌절된 욕구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고, 스트레스 통제력과 인내력이 부족하여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는 대처능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은 외현화집단에 비해 초조, 우울, 불안, 고통스러운 정서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집단은 내재화집단에 비해 낮은 내적 자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려는 경향이 높았으며, 현실에 대해 관습적으로 지각하고 대처하기보다 비관습적이고 충동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화집단에게는 정서자각과 표현 및 대인관계기술을, 외현화집단에게는 충동억제와 조절, 계획능력, 문제해결중심의 개입이 더 적절한 치료전략임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classified youths who had psychological problems into externalizing problems group, internalizing problems group, normal group through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diagnostic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coping styles, cognition, emotion, interpersonal problems by comparing Rorschach responses. Summarie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total responses than internalizing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productivity of thought and cognitive resources than internalizing group. Second, the internalizing group had more higher scores in achromatic color, shadowing response, Sum shadowing than externalizing group, while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higher Sum C than normal adolescents. This results indicate that internalizing group were more depressive, anxious, restless than externalizing group, and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impulsive, aggressive traits than internalizing group. Third, internalizing group has less human movement response(M) than externalizing group. Thi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ocial withdrawal and shrinking behavior of internalizing problems group than externalizing group. Forth, Rorschach recognized as an useful diagnostic tool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pathology from youths who ha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주경험과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미라 ( Mi Ra Kim ),백용매 ( Yong Mae Bae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사주 경험과 사주에 대한 태도,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관계와 사주경험에 대한 남·녀 간의 태도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문제해결척도는 Maydeu-Olivares와 D`Zurilla(1996)가 제작한 개정판 사회적 문제해결척도(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Revised: SPSI-R)를 최이순(2002)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재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독립성과 의존성척도는 Singelis(1994)가 개발한 아동용 척도를 성인에 맞게 수정·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사주의 경험정도, 사주에 대한 태도,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 간의 상관분석과 사주경험 빈도에 따른 사주태도, 사회적 문제해결, 의존성 및 독립성과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주경험에 대한 남·녀 간의 태도차이는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212명중 최근 5년간 사주경험 1~3회는 96명으로 45.3%, 사주경험 4~9회는 29명으로 13.7%, 사주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 87명으로 41%를 차지하여, 사주경험의 유·무는 약 6대 4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주경험과 심리적 특성변인인 사회적 문제해결의 각 하위요인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으며, 사주경험과 사주태도와의 관계는 중등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심리적 특성변인인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존성 및 독립성과 사주경험 간에는 관련이 없고, 사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사주를 보는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주태도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사주명리학이 남·녀 모두에게 무속이나 미신이 아닌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문제해결의 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주경험은 심리적 특성변인보다는 사주에 대한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특히 심리적 특성변인인 독립성 및 의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주감정행동은 개인이 일상생활을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일종의 정보로써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현상이며, 문화적으로 친숙한 행동으로 상담이나 심리학 분야에서 재조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Saju attitud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and th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s experiences about Saju. For social problem-solving scale, Maydeu-Olivares and D`Zurilla(1996)`s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Revised(SPSI-R) that Choi Lee-sun re-standardizes as Korean version was used. In addition, for the reliance and independence scales, Singelis(1994)`s sale for children was revised and changed for ad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the degree of Saju experiences, attitudes about Saju experienc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while one-way ANOVA on the differences attitudes about Saju,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and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aju experience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s to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s attitudes about Saju, the independence group T-test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212 respondents, 96 had one time to three times Saju experiences(45.3%) in recent five years, 29 had four times to nine times Saju experiences(13.7%), and 87 had no Saju experience(41%), which shows the ratio of six to four about existence of the Saju exper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sub-areas of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that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bu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ju experiences and Saju attitudes. It means that there are no relationship among Saju experiences, social problem-solving, reliance, independence, and positive attitudes about Saju lead to Saju experienc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Saju attitude. This means that men and women consider Saju-myungrihak as a problem-solving method, not a shamanism or a superstition in society. This study suggest that attitudes about Saju affect Saju experiences more than variab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re are no relation among Saju experiences and independence, reliance that 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erefore, as a kind of information to lead individuals` daily life profitably, Saju behaviors is the univers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nd it needs to reconsider it as a culturally familiar behavior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 KCI등재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박봉헌(Bong-Heon Park),백용매(Yong-Mae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대상으로 모성이데올로기, 양육스트레스,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긍정적 모-자녀 관계 간에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기가치감 수반성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내재모형(nested model)로서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성이데올로기와 긍정적 모-자녀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양육스트레스에서 긍정적 모-자녀관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모성이데올로기가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를 이중으로 매개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성이데올로기를 깊이 내면화 할수록 어머니는 자녀에게 자신의 가치감을 더 수반시키게 되며 이는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와의 관계를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결국 양육스트레스가 초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성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상담 장면에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경험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ing ideology on parenting stress and to acces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Methods To this end, 279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large cities, including **, **, **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g ideology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fu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mothering ideolog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through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with dual mediation effects. Conclusions The deeper the mother's ideology is internalized, the more a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to child, which means that the mother becomes less positive about her relationship with the child, resulting in pa-renting stress. That’s wh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othering ideology effects parenting stress of the middle-aged women. Also, it has significant meaning the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s data to seek counseling strategies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of middle-aged woman.

      • KCI등재

        정서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및 부모가 지각하는 양육태도와 귀인성향 비교

        백용매,이진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에서는 정서장애 아동과 그 부모,정서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그리고 정서장애 아동의 부모와 일반 아동의 부모가 지각하는 양육태도와 귀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전문가로부터 소아기 정서장애로 진단받은 9-14세의 아동 30명과 그들의 부모,그리고 일반 아동 30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용 귀인성향 질문지,부모용 귀인성향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집단별 차이를 t-test와 일원변랑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 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그 부모,정서장애 아동의 부모보다 양육태도에서 부정적으로 평가 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에 대한 귀인성향에서 정서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그리고 일반 아동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한 원인추론에서 노력과 같은 내적 요인에 귀인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정서장애 아동의 부모는 외적 요인(과제 난이도)에 더 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서장애 아동의 부모가 가진 인지적 추론과정의 변화를 통해 아동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고,보다 긍정적인 양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attribution tendency among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and their par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children at the ages between 9 and 14 who were diagnosed lor childhood emotional disorder by clinical psychologists, 30 normal children. and 60 their par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ttribution tendency questionnaires of children and parents. Th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 were evaluate more negatively than the other 3 groups. Second, both children and parents of normal children tend to attribute to internal factors of the children’s behavior such as effort. However,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 tend to attribute to external factors of children's behavior such as difficulties of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 need to change parenting attitudes and attribution tendency about their children’s behavior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more objectively and provide more positive environment lor their children.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