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상황에 따른 노인단독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 비교 연구

        이연숙(주저자) ( Yeun Sook Lee ),김현정(공동저자) ( Hyun Jung Kim ),안창헌(공동저자) ( Chang Houn Ahn ),박재현(공동저자) ( Jae Hyun Park ),허혜영(공동저자) ( Hye Young Heo ),안창헌(교신저자) ( Chang Houn Ah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실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들을 거주지역, 가구구성, 소득수준의 3개의 변인을 고려하여 총 8가지의 가구상황으로 구분하고 각 가구상황별로 주거환경 만족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구조적 설문지를 동반한 1:1 대면면접조사와 현장관찰조사로,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저소득 노인단독가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80개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시지역은 편리성의 입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농촌지역은 전망, 조명의 설비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거주지역 간에 주거상황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노인부부가구의 노인독거가구보다 만족도가 높아 가구구성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소득이 전반적으로 높고 낮은 정도의 차이에 따라 주거의 실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노인독거가구의 주거상황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소득 노인단독가구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주거환경을 계획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housing conditions of the low income single or couple elderly households. Specifically, this study divided the elderly households into total 8 hous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hree factors of residential area, household composition and income level, and compare the housing satisfaction level by household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the 1:1 interview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field study, targeting the low income single or couple elderly households over 65 years old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80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First, the households living in the urban areas and those in the rural areas had different housing conditions. Secondl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housing conditions between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and couple elderly households. Third, the housing condi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ap in income leve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understand their various and differentiated demands and plan the housing environment to properly meet the demand.

      • KCI등재

        한,중,일 IoT홈 가전생활재의 지능형 기능성 비교연구

        장순순(주저자) ( Chun Chun Zhang ),이연숙(공동저자) ( Yeun Sook Lee ),황지혜(공동저자) ( Ji Hye Hwang ),박재현(공동저자) ( Jae Hy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급속도로 발달한 정보기술은 산업환경 전반에 걸쳐 정보와 기능의 통합화를 이루며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통신 환경의 출현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모든 전자기기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이제는 산업환경을 넘어 주거환경까지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도로 발전하는 기술과 함께 진화하는 주거환경의 스마트 가전의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한국, 중국, 일본의 대표적인 브랜드 상품((Samsung, Haier, Panasonic)을 선정하여 각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선정된 브랜드는 GHA(General rules of intelligentization technology for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s) 의 스마트 가전 적용 기준을 활용하여 각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류된 유형은 스마트 가전 사용자가 자율적(Self)으로 학습, 활용, 적용, 진단, 추론, 구성, 조절 등이 가능한 7가지의 유목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를 기준으로 나타난 각 국가별 브랜드 상품은 의(Clothing), 식(Food), 주(Housing)의 범주로 체계화 하였다. 브랜드별 나타난 주요 특성으로는 한국의 삼성은 원격제어 기능이, 중국의 하이얼은 전자기술의 적용이, 일본의 파나소닉은 에코나비(ECONAVI)인 에너지 절약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Along with rapid development, progress of the network technology and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human are stepping into the intelligent society of internet. Thereby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re keep improving. Under the big background of internet era, the timeliness and convenience of smart home system has been improved greatly. While lots of smart products have gradually penetrated into people``s daily life. The household appliances are among most popular ones.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smart features of household living products among most representative brands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he smart features include self-learning, self-adapting, self-coordinating, self-diagnosing, self-inferring, self-organizing, and self adjusting. As result, most smart features of these products showed great similarity. While some features were dominated according to countries such as remote control feature in Korea, energy saving feature in Japan, and one button operation feature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