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성과

        김성열(Kim Seong-Yul),도순남(Do Soonnam),이정열(Lee Jeong-Y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2

        학교운영위원회는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국·공립학교에는1996년부터, 사립학교에는 2000년부터 도입되었다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는 심의기구인 국·공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와는 달리 필수적 자문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에 그동안의 운영 성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경남지역 중등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들이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는 학교운영의 민주화, 학교경영의 투명성 제고, 의사결정의 질 제고,학교공동체 형성, 단위학교의 자율성 보장 등 영역에서 보통 이상인 것으로나타났다. 자문기구로서의 역할을 감안한다면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는 대체로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사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는 이사회와의 관계를 적절하게 정립하면서 모델의 다양화 전략을 탐색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성공모델로 발전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uncover the effects of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by analyzing school council members' perceptions, and to explore ways of enhancing effectiveness and of solving various issues of school council. The results shows that school council members' perception about school council's effects,<br/>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democratizing school management, enhancing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process, developing autonomous school community, are above the average. Despite school council's role is limited to the role of consultation, the effects of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is large sufficient to affect school management.<br/> In the future,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should make more conscious efforts to develop relevant relation with a board of trustees of private school. School council-based model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foster successful development of school-based management.

      • 교육의 지역화에 관한 교원의 인식 분석

        도순남,최호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 No.40

        본 연구는 교육의 지역화의 개념 및 그 범위 수준 등에 관한 논의를 하기위해 교육의 실행자인 교원들의 교육의 지역화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남지역의 초중등 교원 346명을 대상으로 교육의 지역화의 필요성, 교육지역화의 현황, 기대되는 효과,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 등에 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교원들은 교육의 지역화는 수업의 효과성을 위해 국가수준의 틀 안에서 광역단위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내용 역시 국가수준에 기초한 교과를 중심으로 내용의 재구성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원들은 교육의 지역화를 교육자치와 더불어 적극적인 분권화의 맥락에서 보다는 소극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의 지역화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입시문제 완화 및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정책의 실행과 더불어 단기간에 실행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s perception on the loca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zation of education in its relation to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control. The perceptions were specified in this study as the need, reason, current state, desirable direction and the effects of education localization. The demographic variabl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actors; age, teaching career, gender, the type of institution, school level and location of school. Five hundred teachers(including educational administrator) in Kyungnam province were surveyed through a mailed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22 question items. The number of returned answer sheets was 351, and 346(69.0%) of them were avaliable for data analysis. Such statistics as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is of frequency were implemented to explo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ich localization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s that since teachers can manage class according to students' needs, teachers can improve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education localization, the teachers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 attending in rural district school, and had more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y have used local material for classes. Third, most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localization of education. The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localization should b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region level of localization based on the not city but province. And it is needed to participate for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localization for education. Therefore, to achieve localization of education successfully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ional authority prepare effective educational policy which improve th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and provide the trai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