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식재 포플러 묘목의 생육특성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

        우수영 ( Su Young Woo ),이성한 ( Seong Han Lee ),제선미 ( Sun Mi Je ),곽명자 ( Myung Ja Kwak ),유하나 ( Ha Na You ),여진기 ( Jin Kie Yeo ),전병환 ( Byoung Hwan Che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배후도시용 유보용지를 이용하여 2012년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을 대상으로 식재 시 대절처리에 따른 묘목의 생육특성과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재 2년차 목재에너지림 포플러 묘목의 총 수고와 직경은 무대절처리구(347.8cm/19.5mm)와 1m 대절 처리구(324.5cm/18mm)에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지제부 대절처리구(259.8cm/15.1mm)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식재 이후 2년간 순수고생장량에 있어서는 1m 대절 처리구가 241.4cm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무대절 처리구(212.7cm) 및 지제부대절 처리구(181.6cm) 순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의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산한 결과, 무대절 처리구(약 4.3ton/ha)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m 대절 처리구(약 4.0ton/ha)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약 2.6ton/ha)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율의 경우 1m 대절 처리구가 약 10.0%로 무대절 처리구(26.2%)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30.1%)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수관활력도 및 잎 피해도 역시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식재 후 2년 간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총 생산량은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간척지 환경을 고려한 적응지수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wood biomass production for a short rotation coppice plantation with differently coppiced poplar established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2012. Total tree hight and DBH after two growing seasons wer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347.8㎝/19.5㎜)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324.5㎝/18㎜)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259.8㎝/15.1㎜). However, net growth of tree hight during the two growing seasons was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241.4㎝) followed by non-coppiced (212.7㎝)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181.6㎝). Above ground wood biomass production during the 2 years after plantation was estimated to b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about 4.3 ton/ha)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about 4.0 ton/ha)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about 2.6 ton/ha). However,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urvival rate, vitality of tree crown and degree of leaf injury was showed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Overall adaptability concern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reclaimed land was also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 KCI등재

        정자기장 처리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 변화

        이성한(Seong Han Lee),우수영(Su Young Woo),곽명자(Myung Ja Kwak)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5

        본 연구는 정자기장 처리가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스파티필름(Spathiphyllum spp), 산호수(Ardisia pusilla DC.),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홀리아페페(Peperomia pereskiifolia) 및 필레아(Pilea cadierei)의 5종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안쪽 바닥면에 표면자속밀도 3,500G의 이방성 NdFeB계 원형 소결영구자석을 장착하여 자성처리한 화분에서 6개월간 생육시켜 나타난 변화를 관찰하였다. 자성처리화분에서의 생육은 스파티필름, 산호수 및 필레아에서 유의성 있는 생육증대를 유도하였으며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조직 내 함수율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티필름은 광합성률 또한 유의성 있게 증대되었으나 산호수 및 필레아의 경우 광합성률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자성처리화분이 동화산물에 대한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의 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생물량 축적에 보다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홀리아페페의 경우 생육이나 광합성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유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성처리화분의 이와 같은 효과는 식물종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자성처리에 따른 엽 내 질소 및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 a/b 비율에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식물종에 따른 제한은 있으나 적절한 자기장 처리를 통해 환경변화에 대한 관엽식물의 잠재적 적응능력을 높이고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실내식물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tic magnetic field (SMF)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indoor plant species. Five foliage plant species, Spathiphyllum spp., Ardisia pusilla DC., Syngonium podophyllum, Peperomia pereskiifolia, and Pilea cadierei were potted into plastic pot equipped with round type anisotropic sintered NdFeB permanent magnet inside the pot. The surface magnetic flux density of each magnet was 3,500 G. After 6 months of growth period, the biomass accumulations of Spathiphyllum, A. pusilla, and P. cadierei under SMF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Tissue water content also increased under the influence of SMF in most species. The photosynthetic rate of Spathiphyllum under SMF significantly increased but other spec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hotosynthetic rates of A. pusilla, and P. cadierei, they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total fresh weight under SMF. This suggests that the demand of assimilates for normal metabolism could be decreased under magnetic influence and thereby biomass accumulation could be more favored. But this is not always true for all plant species because P. pereskiifolia in this experiment, showed no changes in both photosynthetic rate and biomass accumulation. Leaf nitrogen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in most plant species under influence of SMF. Chlorophyll a/b ratio also increased by SMF. Although there might be a limitation depending on plant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exposure to SMF might allow plant to have an enhanced acclimation capacity against environmental fluctuations and optimal application of SMF could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indoor plants such as an attempt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