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의 국내 분포 및 온도별 발육특성

        정대훈,경예,김현경,구현나,조수원,김길하,Jeong, Dae-Hoon,Kyung, Ye Jin,Kim, Hyunkyung,Koo, Hyun-Na,Cho, Soowo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2

        국내 분포조사가 되어 있지 않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를 대상으로 3년간(2015~2017년) 281지점의 관엽식물과 666지점의 과수를 조사하였다. 관엽식물의 경우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34지점에서 발견되었고,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8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나 과수에서는 두 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분포조사를 통해 채집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실내사육하며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4^{\circ}C$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6^{\circ}C$에서는 361.4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32^{\circ}C$에서는 39.0일로 가장 짧았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circ}C$에서 71.7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32^{\circ}C$에서 177.7마리로 가장 많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2^{\circ}C$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4^{\circ}C$에서 184.9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28^{\circ}C$에서는 21.5일로 가장 짧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circ}C$에서 51.5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28^{\circ}C$에서 143.8마리로 가장 많았다. 세대순증가율($R_0$)과 내적자연증가율($r_m$)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32^{\circ}C$에서 162.3, 0.127이며,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28^{\circ}C$에서 98.3, 0.13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의 최적 온도는 각각 $32^{\circ}C$와 $28^{\circ}C$로 판단되며 국내에서의 월동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We surveyed 281 sites of tropical plants and 666 sites of fruit plants for three years (2015~2017) on Pseudococcus longispinus and Pseudococcus orchidicola which have not been surveyed domestically. In tropical plants, P. longispinus were found at 34 sites, while P. orchidicola were found at 87 sites. However, both species were not found in fruit plants.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temperatures. The female nymph of P. longispinus did not develop at $14^{\circ}C$ and the developmental period was the longest at $16^{\circ}C$ for 361.4 days and the shortest at $32^{\circ}C$ for 39.0 days.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 of P. longispinus was the shortest at $28^{\circ}C$ as 71.7 days. The number of offspring was highest at 177.7 at $32^{\circ}C$. The female nymph of P. orchidicola did not develop at $12^{\circ}C$. However, the developmental period was the longest at $14^{\circ}C$ for 184.9 days and the shortest at $28^{\circ}C$ for 21.5 days. The longevity of female adult of P. orchidicola was the shortest at 51.5 days at $28^{\circ}C$. The number of offspring was highest at 143.8 at $28^{\circ}C$. The net reproductive rate ($R_0$) and intrinsic rate of increase ($r_m$) of P. longispinus were 162.3 and 0.127 at $32^{\circ}C$, respectively. The $R_0$ and $r_m$ of P. orchidicola were 98.3 and 0.139 at $28^{\circ}C$,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of P.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was $32^{\circ}C$ and $28^{\circ}C$, respectively. Therefore, we guess that they can never be able to survive the winter of Korea.

      • KCI등재

        Pseudococcus viburni (Signoret) (Hemiptera: Pseudococcidae) does not occur in Korea

        구현나,정대훈,김슬기,경예,김길하,조수원,Koo, Hyun-Na,Jeong, Dae-Hoon,Kim, Seulki,Kyung, Ye Jin,Kim, Gil-Hah,Cho, Soowo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가루깍지벌레류인 Pseudococcus viburni Signoret (Hemiptera: Pseudococcidae)는 포도원과 다른 과실 과원에도 피해를 주는 국제적 해충이다. 이 종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격리되어 왔으며 야외에서의 발생기록은 전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P. viburni 부재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감 과수원 533사이트, 사과 및 기타 과수원 144사이트, 묘목원 및 온실 281사이트를 지난 3년간(2015-2017) 조사하였다. 그 결과 P. viburni는 한국의 야외에서나 묘목원 등에서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보고한다. The obscure mealybug, Pseudococcus viburni Signoret (Hemiptera: Pseudococcidae) is a polyphagous cosmopolitan pest, damaging vineyards and fruit orchards. The species has long been quarantined in Korea and has never been recorded in the wild in Korea.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absence of P. viburni in Korea, we have searched for the species from the orchards. 533 sites of persimmon orchards, 144 sites of apple and other orchards, and 281 sites of nurseries and greenhouses were surveyed for the last three years (2015-2017). As a result, P. viburni occurs neither in the wild nor in nurseries in Korea.

      • 04 포스터 발표 : 농식품 환경분야(PF) ; PF-08 : 농산물 중 Glyphosate 및 대사산물의 잔류분석방법 확립

        이현숙 ( Hyun Sook Lee ),이한진 ( Han Jin Lee ),최은혜 ( Eun Hye Choi ),경예나 ( Ye Na Kyung ),장문익 ( Moon Ik Chang ),이규식 ( Gyu Seek Rhee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Glyphosate는 비선택성 제초제로써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농약으로, 식물에 흡수되면enzyme 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EPSPS)의 기질 결합 부위에 결합하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활동을 억제한다. Glyphosate의 특성상 식품에는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나 과수원 토양, 비농경지 등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Glyphosate를 비호지킨림파종과 폐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발암물질 2A 등급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2013년 스리랑카에서는 신장질병의 주요 원인이 Glyphosate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국제환경조사공중보건지에 게재한 바 있다. 이에 국내 유통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Glyphosate에 대한 잔류 실태 모니터링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화합물만을 분석하는 현행 시험법을 Glyphosate를 포함한 대사산물 3종(AMPA, N-acetyl Glyphosate, N-acetyl AMPA)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잔류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Glyphosate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물로 추출하였으며, 유지 및 비극성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Dichloromethan으로 2반복 액액분배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인 물층을 취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분석법의 검증을 위하여 감자 등 대표농산물에 대하여 직선성, 회수율, 정량한계 및 분석오차를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40)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량한계는 0.05 mg/kg이었으며, 정량한계 및 정량한계 2배, 10배 수준으로 처리시 평균 회수율 70-120%, 분석오차는 20% 이하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R2)는 0.99 이상의 수준으로 모두 코덱스 가이드라인 규정에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시험법은 국내 유통되는 농산물 중 Glyphosate 및 대사산물의 잔류분석 공정 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