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수체계의 유형이 조직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창희 ( Chang Hui Kang ),김세움 ( Se Um Kim ),박상곤 ( Sang Gon Park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4 응용경제 Vol.16 No.3

        본 논문은 팀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세 가지 방식,즉 개인별,팀별,그리고 혼합 보상체계의 상대적 성과를 현장실험을 이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현장실험의 결과에 따르면,세 가지 보상체계 간에 존재하는 평균성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그러나 개인별 보상체계와 비교할 때,팀별 체계와 혼합 체계는 참여자가 극단적으로 낮은 성과를 낼 가능성을 유의하게 낮춘다.그러나 탁월하게 높은 성과를 유도할 가능성의 측면에서 세 보상체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이로부터 우리는 팀별 보상체계의 중요한 역할은 최상의 성과를 유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최악의 실패를 막는 것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ree types of compensation schemes for team members’ work performance: individual-based, team-based, and mixed compensation. To empirically analyze teams’ relative performance under each compensation scheme, we conduct a field experi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performance under each scheme. However, compared with individual-based compensation, the team-based and the mixed compensation scheme significantly lower the possibility of extremely poor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three compensation schemes do not lead to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sibility of excellent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crucial role played by the team-based compensation scheme is to prevent the worst failure, rather than induce the best outco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입수학능력시험 성적 자료를 이용한 학급 내 동료 효과의 분석

        강창희 ( Chang Hui Kang ),채창균 ( Chang Kyun Chae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0 勞動經濟論集 Vol.33 No.1

        본 논문은 같은 학급 내 동료들(classroom peers)의 특성이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1990년대 중반에는 평준화 제도에 의하여 학교와 학급 간 학생 배정이 외생적이라는 점을 활용한다. 실증 결과에 의하면, 학급 내 동료집단은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하위권 동료의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권 동료의 긍정적인 영향을 압도한다. 이러한 동료 효과의 구조는 우리나라에서 평준화 대 비평준화 논쟁에 관하여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Us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year 1995, the paper investigates effects of classroom peers on a student`s test scores. It exploits exogenous assignment of students across different classrooms within a school under the leveling policy in 1990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strong impacts of peers on individual students. Negative effects of low-performing peers exceed positive effects of high-performing peers. Such a structure of peer interaction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bility grouping vs. mixing debates in Korea.

      • KCI등재

        목차(目次) : 가족내 자녀수가 자녀에 대한 사교육 투자에 미치는 영향

        강창희 ( Chang Hui Kang ),현보훈 ( Bo Hun Hyu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2 勞動經濟論集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내 자녀수가 개별 자녀에 대한 사교육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자녀수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녀의 성별을 도구변수로 활용한다. 추정 결과에 의하면 자녀수가 개별 자녀에 대한 사교육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가족내 자녀수는 둘째 자녀 딸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것이 둘째 자녀 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확정적이지 않다. 이는 자녀의 수와 질 간의 대체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암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effects of family size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using a data set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To deal with endogeneity of family size, the paper employs an instrumental variable (IV) method in which the sex of the first-born of the family is used as an IV. The results suggest that quantity-quality trade-offs of children within a family function in a way that varies by the sex of the child. While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family size on private turoring expenditures of a second-born daughter is negative, the effect for a second-born son is indeterminate. The result for daughters implies that high costs of raising a child are likely to explain low birth rates of Korea.

      • KCI등재

        노동시장제도 평가지표의 의미 -국제평가기관 지수들을 중심으로-

        옥우석 ( Woo Seok OK ),강창희 ( Chang Hui Ka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9 비교경제연구 Vol.16 No.2

        IMD, WEF, 세계은행 등 국제기관들은 국가경쟁력 및 제도 관련 평가지수들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노동시장제도 관련지표들의 순위가 하위권에 머물러 있어 국내 노동시장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거로 종종 활용되고 있지만, 이들 지표의 의미나 한계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해고비용, 노사관계 및 노동시장규제 등 한국의 순위가 낮은 국제기관 노동시장제도 관련 평가지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들 평가지표를 근거로 노동시장 개혁을 추진하는 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이들 평가지표는 노동시장 규제는 비용만 발생시킬 뿐 편익은 없다는 매우 강한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둘째, 노동시장제도 관련 평가지표의 개선이 전체 평가지표의 개선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셋째, 세계은행의 해고수당 관련 지표는 진정한 해고비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그 적용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넷째, 노사관계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반영하는 지표들은 노동시장제도와는 무관한 그 나라의 특수한 역사적, 정치적 맥락과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국제기관 평가지표들을 활용하여 노동시장제도가 노동시장 및 전체 경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 연구들은 아직 이들 사이에 분명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IMD), World Economic Forum(WEF) and World Bank(WB) regularly publish various indices measuring a country`s standing i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stitutional qualities. Korea usually stands low in these rankings. The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the indices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the labor market indices in particular-really measure what they desire to measure and what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such indices. Our primary finding is that one should exercise caution in adopting policy reforms suggested by these indices. First, the current indices are generally based on an assumption that labor market regulations create costs alone but not benefits.thecondces improvement of a country`s standing in labor-market indices does not lead to a rise in its standing in overauggrankings. Thiea, World Bank`s "fieing costs" index, which greatly pushes Korea down in thegranking of labor market institutional qualities, fails to reflect a country`s true level of fieing restrndiions. Fourth, indices for a country`s statnal qindustrial relations are strongly related with its specific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hence being an endogenous variable in an empirical analysis. Finally, studies that attempt to establish causal effects of labor-market reforms on economic performances have yet to show clear causality, since they are usually based on cross-county data collected at one point in time and have few tools to address endogeneity. To improve a research in this line requires a construction of cross-country panel data.

      • KCI등재
      • KCI등재

        2007년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 분석

        유경준 ( Gyeong Joon Yoo ),강창희 ( Chang Hui Ka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3 勞動經濟論集 Vol.36 No.2

        본 논문은 2007년 7월부터 시행된 비정규직보호법이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비정규직을 객관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본고는 「경제활동 인구조사의 고용형태별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한다.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우리는 분석 표본을 만 55세 주변 연령대의 남성으로 제한하여 이중차분법을 사용한다. 본고의 추정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는 시간에 따라 U자형의 모습을 보인다. 법이 시행된 지 1년쯤 후인 2008년 8월경 총고용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가장 크다. 비정규직법 발효 초기의 고용 감소는 주로 정규직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13개월 이후의 고용 감소는 주로 비정규직의 감소에 의하여 설명된다. 비정규직법이 총고용에 미치는 부(-)의 고용효과는 2009년 8월, 2010년 3월경에는 대부분 사라진다. Using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upplement by Employment Type,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e 2007 Act on the Protection of Fixed-term and Part-time Employees on employment levels. Since the Act is applied to only individuals below 55 years of age, we restrict the analysis sample to men whose ages are close to 55 at the time of the survey. For such a sample, the empirical analysis combines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with a difference-in-differe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2007 Act takes a U-shap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2007 Act takes a U-shape. The negative effect of the Act was largest around August 2008, a year after it took effect.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faded away toward August 2009.

      • KCI등재

        노동조합이 사업체의 고용규모와 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

        유경준 ( Gyeong Joon Yoo ),강창희 ( Chang Hui Kang ) 한국경제학회 2014 經濟學硏究 Vol.62 No.4

        본 논문은 통계청의 2004~08년 ‘광업·제조업 조사’와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자료(2006~08년)’를 병합해 구축한 패널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에서 노동조합이 사업체의 고용규모, 임금 및 생산성 등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광업 및 제조업 분야의 노동조합은 3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체들에서는 고용규모, 임금 및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편, 이들 노동조합이 30인 이상의 사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의 대상이 되는 지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만, 100인 이상의 중대규모 사업체들에서 노조는 평균임금을 최소 2.1%, 최대 12.1% 정도 상승시킨다. Employing a panel data set that combines Statistics Korea`s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2004-2008’ with ‘Current State of the National Trade Union Organizations 2006-2008’, we examine impacts of unions on the establishment`s employment size, wages and productivity. We use fixed-effects methods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at relies on cross-sectional data. We find that unions in small establishments with less than 30 employees have little impact on the establishment`s employment size, wages and productivity. Effects of unions on establishments with at least 30 employees differ by the measure of the performance. In particular, unions raise the average wage of the establishment with at least 100 employees by 2.1% to 12.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