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烏貝散이 HCI-aspirin 으로 유발된 십이지장궤양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구세광,이형식,김종대,한상원,김상찬,이재현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9 基礎科學 Vol.3 No.-

        오패산이 HCI-aspirin tm으로 유발된 rat 십이지장궤양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오패산을 1,3 및 5일 동안 경구투여하고 십이지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전 기간동안 대조군에서는 십이지장 융모의 위축과 붕괴가 관찰되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점막상피의 변성 및 탈락이 관찰되었고 점막고유층에서는 염증세포의 침윤(infilteration)의 소견이 관찰된 반면 오패산 투여군의 투여 1일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투여 3일후부터 점막상피의 첨부에서 경미한 카타르성 물질이 관찰된 이외에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오패산이 십이지장궤양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In order to study, the histological effects of Opeaesan on the duodenal ulcer induced by HCI-aspirin tm in rate, experiments were done by oral administration and observed histological profiles of the ulcerative lesions. Ulcerative lesions were unmerously detected in control groups especially in pylorus-duodenal junctions. Histologically, very severe injury to duodenal epithelium wer observed in control groups and these injuries were increased with time intervals. But in the Opaesan-administration groups, no gross lesion of ulcer were demonstrated and histologically minor injury to the mucosal epithelium were observed. Among the Opaesan treatment groups, most slight injuries to duodenal mucosa were detected in 5 days after administration when the histological profiles were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s. According to thes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Opaesan should be used in treatment of the duodenal ulcer but the funcitonal mechanisms were unknown.

      • 한국재래산양 신생자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구세광,이재현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9 基礎科學 Vol.3 No.2

        한국재래산양 신생자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Cg) A 면역반응세포의 각 부위별 출현 분포와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Cg A 면역반응세포는 위장관전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부위별 분포는 유문부(148.0/1㎟)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직장(135.0/1㎟), 위저부(106.0/1㎟), 결장(82.0/1㎟), 십이지장(67.0/1㎟), 공장(62.0/1㎟) 및 회장(33.0/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은 주로 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회장 및 결장부위에서는 점막샘에 다수, 점막 상피에 소수 관찰되었으며, 공장과 결장에서는 점막 전체에 산재되어 관찰있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chromogranin(Cg) A-immunoreactive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neonate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Cg A-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y were situated to the mucosal gland and mucosal epithelium, and these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pylorus(148.0/1㎟), rectum(135.0/1㎟), fundus(106.0/1㎟), colon(82.0/1㎟), duodenum(67.0/1㎟), jejunum(62.0/1㎟), and ileum(33.0/1㎟) were followed in that order.

      • 한국재래산양 태자의 위장관에서 Serotonin 면역반응세포의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구세광,이재현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8 基礎科學 Vol.2 No.2

        임신 180일령의 한국재래산양 태자에서 위장관 각 부위에 걸쳐 serotonin 면역반응 세포의 분포와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는 위장관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부위별 분포는 유문부(74.8/1㎟)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직장(55.6/1㎟), 공장(27.8/1㎟), 십이지장(27.5/1㎟), 결장(24.0/1㎟) 및 위저부(22.2/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장관 전 부위에서 원형, 타원형 및 방추형의 형태로 점막샘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소수의 면역반응세포들은 점막상피에서도 관찰되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fetus(180 days of gestation)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cal(ABC) methods.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se cells were situated to mucosal glands and epithelia. Theses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pylorus(74.8/1㎟), and rectum(55.6/1㎟), jejunum(27.8/1㎟), duodenum(27.5/1㎟), colon(24.0/1㎟), and fundus(22.2/1㎟) were followed in that order. The immunoreactive cells in the stomach regions were round or spherical, however these cells in the intestine were spherical to elongated spindle in shape.

      • 한국재래산양 태자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구세광,이재현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2

        임신 180일령의 한국재래산양 태자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CgA) 면역반응세포의 각 부위별 출현 분포와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CgA 면역반응세포는 위장관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부위별 분포는 직장(104.0/1㎟)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회장(66.6/1㎟), 십이지장(62.1/1㎟), 위저부(53.3/1㎟), 유문부(46.0/1㎟), 결장(34.9/1㎟) 및 공장(30.0/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은 주로 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회장 및 결장부위에서는 점막샘에 다수, 점막 상피에 소수 분포하였으며, 공장과 결장에서는 점막 전체에 산재되어 있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chromogranin A(CgA)-immunoreactive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fetus(180 days of gestation)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CgA-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y were situated to the mucosal glands and mucosal epithelia. These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rectum(104.0/1㎟), and ileum(66.6/1㎟), duodenum (62.1/1㎟), fundus(53.3/1㎟), pylorus(46.0/1㎟), colon(34.9/1㎟), and jejunum(30.0/1㎟) were followed in that order.

      • 한국재래산양 태자에서 위장관내분비세포의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구세광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1

        임신 180일령의 한국재래산양 태자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의 각 부위별 출현 분포와 빈도를 도은법으로 관찰한 결과 은호성세포는 위장관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위저부에서 가장 다수 관찰되었다. 은친화성세포는 유문부, 공장, 회장 및 결장에서 극소수 관찰되었다. 또한 위장관 전 부위에서 온호성세포들이 은친화성세포들보다 더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재래산양 태자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의 출현 분포와 빈도는 다른 동물과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were studied in the fetus(180 days of gestation) of the Korean native goat with silver techniques. Argyrophil cells(Grimelius positive cells) were fond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y were most predominant in the fundic gland regions. Argentaffin cells(Masson-Hamperl positive cells) were observed in pylorus, jejunum, ileum, and colon. In the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argyrophil cells were observed more numerous than argentaffin cells.

      • 생후 1개월령 한국재래산양의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분포 및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이형식,구세광,이재현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0 基礎科學 Vol.4 No.1

        생후 1 개월령의 한국재래산양 위장관에서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의 각 부위별(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결장 및 직장의 7부위) 분포와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한 결과,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는 위장관 전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위장관 부위별 출현빈도는 위저부(156.0/1㎟)에서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내었고, 직장(93.0/1㎟), 유문부(84.0/1㎟), 결장(79.0/1㎟), 십이지장(71.0/1㎟), 회장(55.0/1㎟) 및 공장(49.0/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chromogranin A 면역반응세포들은 주로 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회장 및 결장부위에서는 점막샘에 다수, 점막 상피에 소수 관찰되었으며, 공장과 결장에서는 점막 전체에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chromogranin A-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at 1-month-old were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digestive tract was divided into seven portions, fundus,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colon and rectum. Chromogranin A-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whole gastointestinal tract and they were situated to the mucosal glands, which were located in the basal parts of digestive tract, with round, oval and/or spindle shape and surface epithelium with spindle shape. These cells were most predominant in fundus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the other portions were observe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rectum > pylorus > colon > duodenum > ileum > jejunum.

      • 연령에 따른 흰쥐 부신의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박주희,이재현,구세광,이형식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8 基礎科學 Vol.2 No.2

        흰쥐 부신의 발생에 따른 형태적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임신 20일령, 출생직후, 출생후 7일, 15일 및 30일에 각각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bovine Sp-1/chromogranin 항혈청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조직학적으로 임신 20일령과 출생직후의 부신에서는 수질과 피질의 구분이 불명확하였으며, 크롬친성모세포가 단독 또는 집단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출생후 7일령부터는 피질과 수질의 구분이 명확해졌으며 크롬친성모세포의 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bCG 면역반응세포들은 임신 20일령의 흰쥐 부신에서는 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출생직후부터 소수 관찰되었으며, 이후 이들 세포의 수는 일령에 따라 증가하였고, 출생후 7일령부터는 약한 면역반응 및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두 종류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The histological changes were investigated in the adrenal glands of developmental rats(20 days of gestation, at birth, 7 days, 15 days and 30 days after birth) and the immunohistochemical chages against to bovine Sp-1/ chromogranin antisera were studied. Histologically, the zone of cortex and medulla were nut apparent 20 days of gestation and at birth. In these ages, the undifferentiated cells so called "pheochromoblasts" were observed in the cortex tissue. From 7 days after birth, the zone of cortex and medulla were clearly appearent and no pheochromoblasts were observed in the cortical tissue. Immunohistochemically, no bCG-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20 days of gestation, but a few numbers of these cells were observed at birth, after that the numbers of these cells were increased with ages. From 7 days after birth, two types cells that dark and light 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 일령에 따른 닭 태자 샘위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장재우,이형식,구세광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9 基礎科學 Vol.3 No.1

        닭 태자의 샘위에서 일령에 따른 크기,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부란 10일부터 부화직후에 걸쳐 10개군으로 구별하고 일반 조직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샘위는 전 연령에 걸쳐 긴 방추형으로 복강의 상부에서 관찰되었으며 크기는 부란 10일경에 직경 1.70±0.05mm, 길이 2.40±0.08mm로 관찰된 후 일령에 따라 증가하여 부화직후에는 직경 6.61±0.77mm, 길이 14.21±1.03mm로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 닭 태자의 샘위의 상피는 부란 초기 거짓중층원주상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단층원주상피로 분화되고 발생초기 상피의 함입에 의하여 proventricular gland가 형성되며 복합관상샘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점막상피는 다시 분화되어 부란 후기에 gastric gland를 형성하였다. To investigat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proventriculus of the chicken embryos with incubation periods. Samples were taken from 10 groups(10 days of incubation to hatching), and stained with H-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roventriculus of chicken embryos were observed by long spindle shaped in upper abdominal cavity and the size were detected that 1.70 ± 0.05mm in diameter and 2.40 ± 0.08mm in length at 10 days of incubation, after that the size were increased with incubation periods and in hatching, the size were reached at 6.61±0.77mm in diameter and 14.21±1.03mm in length. Histologically, the epithelium of the proventriculus were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in early incubation periods and after that these epithelia differentiated to simple columnar epithelium. The proventricular glands were made by invagination of surface epithelium in early incubation periods and after that these glands were differentiated to compound tubular gland type. In late incubation periods, the surface epithelium were differentiated twice and made gastric glands. The tunica muscularis and serosa were relatively well developed throughout all incubation periods but muscularis mucosa were observed after hatching.

      • SCIESCOPUSKCI등재

        Inhibitory effects of lysozyme on endothelial protein C receptor shedding in vitro and in vivo

        ( Sae Kwang Ku ),( Eun Kyung Yoon ),( Hyun Gyu Lee ),( Min Su Han ),( Taeho Lee ),( Jong Sup Bae ) 생화학분자생물학회(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5 BMB Reports Vol.48 No.11

        Lysozyme protects us from the ever-present danger of bacterial infection and binds to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LPS) with high affinity. Beyond its role in the activation of protein C, the endothelial cell protein C receptor (EPC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ytoprotective pathway. EPCR can be shed from the cell surface, which is mediated by tumor necrosis factor-converting enzyme (TA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lysozyme on EPCR shedding. We investigated this issue by monitoring the effects of lysozyme o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leukin (IL)-1-, and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mediated EPCR shedding and underlying mechanism. Data demonstrate that lysozyme induced potent inhibition of PMA-, TNF--, IL-1-, and CLP-induced EPCR shedding. Lysozyme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PMA-induced TACE in endothelial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ysozyme as an anti-EPCR shedding reagent against PMA-mediated and CLP-mediated EPCR shedding. [BMB Reports 2015; 48(11): 624-62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