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의 생산현황통보에 관한 연구

        황진현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The purpose of production status report is figuring out the amount of records produced by departments and record centers and establishing plans for transfer and collect of archives. These are the main functions of production status report clarified by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Production status report is introduced as the means to control the record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which lack the understanding of the record production and management. Up to now, public institutions carry out production status report. However, it only has been done as a formal procedure and records collected unsurely transfer to Archives. The implementation of production status report does not accord with the original purpose.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t view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production status report. Record managers in the field, the researchers who made efforts to state production status report in the law and the archives did not reached the agreement of opinions y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to judge whether production status report is of importance or not. Although its significance is controversial, it’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cord management tasks and it stands the position as the distinct method in Korea. Nonetheless, the issue that production status report lacks efficiency in the field due to the lack of support of forms and systems brings up continuously. Thus, I evaluated current functions of production status report and proposed future improvements so that it accomplishes its original intent and support users in the field. 생산현황통보는 국내 기록관리의 주요 성과이자 특징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한국적 기능이다.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당시, 법률에 생산현황통보 제도를 포함시키기 위한 여러 노력이 있었고, 2006년 법률 개정 이후에도 여전히 그 기능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현황통보에 대한 시스템, 서식 등의 업무적 지원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기능으로 변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황통보 제도의 제정목적과 함께 현재 실무 현황 및 업무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생산현황통보 제도 전반을 이해하고, 취지와 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법률 제정 관계자와 생산현황통보제도를 집행하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관계자와의 면담하였다. 제도를 실무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현장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과의 면담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생산현황보고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견해와 함께 상호간의 의견 차이를 확인하였고, 시스템을 통한 실무 지원이 가능하도록 현재의 기능을 평가하고, 향후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생산현황통보 제도에 관한 기록전문가 면담 연구

        황진현,Hwang, Jin-hyun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7

        기록관리는 기록의 생산 시점부터 시작된다. 공공기관이 기록을 제대로 생산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제의 방안과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는 공공기록물법 제정 시점부터 기록의 생산 시점부터 생산 통제를 위해 생산현황통보제도를 도입하였고, 현재까지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생산현황통보 제도는 목적에 부합하는 운영이 되지 않고 있으며, 실제 제 도를 실행하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들 사이에서 무용론이 제기될 만큼 그 실효성이 의심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도를 관장하는 국가기록원 내에 서도 제도의 존폐여부에 대해 이견이 존재한다. 이에 본 제도가 존재하여 야 하는 이유에서부터 운영의 문제점, 나아가 대안에 대한 의견까지 실제 기록전문가들의 면담을 통해 정리해보았다. Records management begins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cord. Public institutions need control methods and policies to ensure that records are produced and managed properly. Korea introduced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to control the records from the production date. However,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is not operating for that purpose, so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are raising uselessness.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over whether to keep the system or not, even with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refore,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this policy, problems in operation, and opinions on alternatives were summarized through interviews with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 KCI등재

        정부 업무관리시스템 혁신 방향 제언 민간기업 업무시스템 및 온-나라 2.0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황진현,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5

        The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 a standardized system commonly us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is a major tool that remains in the work process and decision-making of government agencies. Production of document-type records is mainly focused on approval documents, so it does not cover various types of records. In a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the production of new digital types of records, the emergence of various collaboration software and work systems, and remote work,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the government work management system will go. This study investigates business systems and utilization methods of competitive companies, analyzes the usage status of On-Nara 2.0, a government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conducts interviews with business managers. And the purpose is to analyze what kind of difference there i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improvement functions and policy directions to respond to digital innovation and improve job accountability and efficiency 정부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시스템이자 정부기관의 일하는 과정, 의사결정 등이 남는 주요 도구인 업무관리시스템은결재문서 중심의 문서형 기록 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기록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디지털 유형 기록의 생산, 다양한 협업 소프트웨어와 업무시스템의 등장, 재택근무 등 변화하는 환경에서 정부 업무관리시스템이 나아갈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쟁력 있는 민간기업의 업무시스템과 활용 방식을 분석하고, 정부 업무관리시스템인 온-나라 2.0의 사용 현황 분석과 업무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더하여디지털 혁신에 조응하고 업무의 설명책임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기능과 정책적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행정정보시스템 기록 이관 절차와 방법 연구 - 원자력안전위원회 MIDAS RASIS RI/RG 업무기록 사례를 중심으로 -

        황진현,박종연,이태훈,임진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4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4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preservation method against the set of dat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IDAS RASIS RI/ RG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nd then followed it with the under analysis of the MIDAS RASIS, thus presenting the transfer process. This was conducted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MIDAS RASIS-designed records management modules DB.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MADIS RASIS, the records management module DB was thus planned, which presented the transfers through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세트 형태의 디지털 정보에 대한 보존․관리 방법을 찾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의 MIDAS RASIS에서 생산된 RI/RG 업무기록 사례를 분석하였다. MIDAS RASIS 분석을 위해 기록관리 기능요건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으며, 체크리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MIDAS RASIS 기록관리 기능을 검토하여 이관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MIDAS RASIS의 기록관리를 위한 기록관리 모듈 DB를 설계하였고 표준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관 데이터세트 식별과 평가 절차 연구 국가철도공단 전자조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황진현,백영미,임진희,Hwang, jin hyun,Baek, young mi,Yim, jin he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개정 이후 기록관에서는 데이터세트 기록 관리를 위한 관리기준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의 체계적 데이터세트 기록 관리를 위한 데이터세트 기록 식별 절차와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국가철도공단의 KR전자조달시스템의 8개 데이터세트 기록 식별 후 관리기준표를 작성하였고,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진행, 보존기간과 이관 및 수집 여부를 책정하였다.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절차에 대한 구체적 사례가 부족한 시점에, 이 사례연구가 기록관에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fter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Records Act, the archives created a management standard table for data set records management and performed management and contro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ata set record identification procedure and evaluation index were developed for systematic data set record management of archives. By applying this, a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prepared after identifying the records of 8 datasets in kr's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and the retention period, transfer, and collection were determined. It is hoped that this case study will be of practical use to the archives at a time when concrete examples of procedures for the management of dataset records are lacking.

      • SCOPUSKCI등재

        소결조건에 $Ta_2O_5$ 첨가된 Mn-Zn 페라이트의 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황진현,한승기,한영호,Hwang, Jin-Hyeon,Han, Seung-Gi,Han, Yeong-Ho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1

        고주파 저손실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Mn-Zn 페라이트의 제조공정 중 소결조건과 Ta2O5첨가가 Mn-Zn 페라이트의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등조성선을 따라 냉각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해서 정확하게 산소분압을 조절하였으며 적절한 등조성선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좋은 손실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CaO-SiO2 첨가계에 Ta2O5를 0ppm에서 400ppm으로 변화시켜 가며 첨가하였으며, Ta2O5 가 400ppm 첨가되었을 경우 균일한 grain 성장과 더불어 낮은 전력손실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상응하는 상평형 산소분압을 정확히 맞춰 냉각할 경우 전력손실 최소값이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킨 시편보다 높은 온도쪽으로 이동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생산현황통보 정책 평가 연구

        황진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19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8

        The policy of records production reports is peculiar to Korea, which has no precedent found in other countries. Thus, we can say that this policy mirrors Korea's unique approach to records management. The number and the lists of records (files) produced in the previous year are reported each year to the records center and archives. Even the researchers in academia, as well as the working-level archivists, are raising questions on the objectives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policy, and some even argue that the policy is useless. The archivists who practice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in the field each year are especially discontent about the policy. An evaluation of the policy of records production report should be presented beforehand if the policy is to be maintained with some improvements or to completely be abolished for a full reorganization.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n external evaluation that is performed by a third party, which can also be a general evaluation that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goals. There have been many policies in the records management sector, but they have been myopic and could not be evaluated fundamentally. The same is true for the records production repor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erve as a reference for new policy decisions, by evaluating the policy objectives, the enforcement process, and results that followed, based on an analysis of records production report. 본 연구는 기록관리법 제정 이래 현재까지 20여년 간 운영중인 생산현황통보 정책에 대한 평가과정과 결과이다. 생산현황통보는 해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국내 기록관리 환경을 반영한 정책이자, 공공기관의 처리과, 기록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까지 이어지는 실무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동안 정책목표가 달성되지 못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업무 과중을 야기한다는 비판이 있어왔으나 생산현황통보 서식의 축소 이외에 근본적인 개선은 미미했다. 이에 생산현황통보 정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서, 본 정책에 대한 목표, 집행과정,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가 향후 새로운 정책결정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기관 ‘비공개 세부 기준’ 개발 전략

        황진현,임지민,변우영,임진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21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1 No.1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of an institution include subject information and rationale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by the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such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work, and continuous implementation is required. However, studies that reviewed the purpose and role of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or the status of public institution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standards were insufficient despite such standards being an indispensable tool in practice and a major device to protect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strategies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research team to develop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through the case of institution A. This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public institutions that intend to develop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in the future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itution A and the research team and sharing details during the project process. 비공개 세부 기준은 기관에서 비공개해야 하는 대상 정보와 그에 대한 근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보공개법에 따라 업무성격을 고려하여 수립 및 공개하여야 하며, 지속적인 현행화가 요구된다. 실무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자 국민의 알권리를 보호하는 주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비공개 세부 기준’의 취지와 역할을 돌아보거나 공공기관의 개발, 운영 현황을 살펴 본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발주기관과 연구사업 수행팀의 전략을 A기관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두 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사업 과정 중의 세부사항을 공유함으로서 향후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 하려는 공공기관에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체계적인 원문정보공개를 위한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황진현,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6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which are ahead of the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in 2016, to conduct a systematic disclosure of the original official documents on the basis of records management. As of now, many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are facing difficulties in systematically conducting the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as they lack specialists in records managements, let alone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ocedures. In this situation, the study induces insights on this matter by inspecting former cases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oreover, the study examines the examples of three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which are establishing a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better cope with the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The institutions are in the beginning stages of building up a system for records management and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stitutions must be considered in working out the strategy for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flected the attributes of each institute in establishing a self-developed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disclosure of original documents based on registrar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is made possible. This study also suggests functional requir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coping with the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원문정보공개를 앞둔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이 기록관리에 기반하여 체계적인 원문정보공개를 실천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은 기록관리에 대한인식은 물론 체계가 갖추어진 사례가 드물어 원문정보공개를 대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원문정보공개를 시행하였던행정자치부와 서울시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원문정보공개에 대응하기 위해 기록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사례 또한 살펴보았다. 정부산하공공기관은 새로이 기록관리와 원문정보공개에 대한체계를 갖추는 시작 단계이므로 이들 기관의 특성에 부합하는 원문정보공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기관별 업무특성이 반영된 자체개발 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기록관과 기록관리시스템에 기반한 원문정보공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계도를 구상하였으며, 원문정보공개 대응을 위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기능요건들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