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 청소년 위기실태 및 위기결과 분석

        황순길 ( Hwang Soon-gill ),김동민 ( Kim Dong-min ),강태훈 ( Kang Tae-hoon ),손재환 ( Son Jae-hwan ),김지혜 ( Kim Ji-h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4

        위기청소년의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문제는 계속 심화되고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의 위기상황 등을 반영하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위기실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한 기초 마련과 위기청소년 정책 및 지원 사업 개발에의 활용을 위해 전국적 규모의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위기청소년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용, 중·고등학생용, 위기·취약청소년용 총 3종의 청소년 위기실태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일반학생 청소년 83,353명과 위기·취약 청소년 6,463명을 대상으로 전국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협력을 통해 표본설계에서 도출된 조사대상 학교 및 기관에 대한 위기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앵고프(Angoff)방식을 활용한 준거설정 과정을 거쳐 청소년의 위기수준을 고위험군, 위험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군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준거설정 결과를 모집단 청소년수에 적용한 결과 일반학생 청소년의 경우 고위험군 0.51%(21,790명), 위험군 1.73%(74,365명), 잠재적 위험군 14.93% (641,914명), 일반군 82.83%(3,361,103명)의 비율이 산출되었다. 위기·취약 청소년의 경우는 고위험군 4.99% (4,558명), 위험군 8.11%(7,402명), 잠재적 위험군 29.51%(26,941명), 일반군 57.39%(52,387명)의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별 및 학교급별 위기수준을 분석하였고, 위기수준별 위기결과와 보호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정부 지원정책의 다원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기청소년 문제 예측과 이에 따른 선제적 대응 노력, 청소년의 문제유형별 위기수준별 맞춤형 위기개입의 필요성 등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number of youth at risk is not only rising every year but also increasingly being complicated and worse. A nationwide survey on youth at risk was conducted to acquire data reflecting young adults` risk situation recently emerging and providing the foundation to help build a database in respect to the youth at risk and the use of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support programs for adolescent by conducting a nationwide survey on youth at risk. With the definition of the term, youth at risk, the tool to investigate youth risks depending on three groups which were children, teenagers, and young adults who were vulnerable to be at risk was developed. 83,353 normal students and 6,463 at-risk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after, by using the standard of Angoff`s method, the risk level was divided into 4 groups: high-risk group, risk group, potential risk group, and norma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0.51% (21,790) of normal students was high-risk, 1.73% (74,365) was risk, 4.93% (641,914) was potential risk, and 82.83% (3,361,103 participants) was normal. The results of at-risk youth exhibited that 4.99% (4,558) was high-risk, 8.11% (7,402) was risk, 29.51% (26,941) was potential risk and 57.39% (52,387) was normal.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isk and the risk result by analyzing the demographic trait, gender, the risk levels classified by schools. The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should be diversified, predications for problems of at-risk youth and efforts to swiftly respond to the youth risks by using data should be essential, and the intervention tailored by the level of risk, depending on types of youth problems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학교급별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모형 개발

        황순길(Hwang, Soon Gill),박재연(Park, Jae Yeon),이혜정(Lee, Hey Jung),손지아(Son, Ji Ah)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차별화된 자살예방교육의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자살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초‧중‧고등학교 학생 총 117명에게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초‧중‧고 교사와 현장 및 학계 전문가 총 24명을 대상으로 자살예방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자살예방교육내용에 대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학생 83,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의 모형안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초‧중‧고 학교급별 청소년 자살예방교육내용을 최종적으로 마련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 발달과업, 가족관계, 학교생활, 생명존중의식 강화, 자살예방을 위한 방법 등 총 6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자살예방교육은 초‧중‧고 학교급별로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해야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 학교급별 자살예방교육 모형이 향후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초‧중‧고 학생들의 각기 다른 발달적 과업에 따라 모형을 구성하고, 성공적인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dolescent"s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odel development was processed as follows. First, we reviewed literature regarding domestic and foreign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en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of 11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model and decide directions of suicide prevention eduction. We also ha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24 teachers, suicide prevention experts and professors to draw preferences and demands of students, and improve the contents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model for each school level. In addition, we surveyed 83,353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developed model of adolescent"s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was finally reviewed by experts. The model consists of six factors: (1) mental health, (2) development tasks, (3) family relations, (4) school life, (5) strengthening respect for life consciousness, and (6) methods for suicide prevention. We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school level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suicide prevention models for different development tasks and proposed action plans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 KCI등재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청소년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의 효과성 평가

        황순길(Soon Gill Hwang),두진영(Jin Young D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의 인터넷사용시간 조절 및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 문제 해소를 위해 생태체계적인 접근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고위험군 인터넷중독 청소년 18명이었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3주간의 기초선 단계(A)와 12일간의 인터넷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 개입단계(B), 그리고 2개월간의 프로그램 사후단계(C)로 구성된 ABC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심리내적 어려움인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가족들과 멘토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 청소년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은 사전-사후-추후검사의 일요인 반복측정설계를 SPSS 1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자의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t-test,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18명 중 추후 연락되지 않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개별화된 평가에서 18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220분을 사용하였지만, 개입이후 사후단계에서 17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99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인터넷(게임)사용시간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11박 12일간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은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생태체계적 접근을 활용한 단기간의 기숙형 치료개입이 인터넷사용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 appropriate ways to asses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using ABC Design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target client of this study is patient having Internet Addiction problem eighteen teenagers. The ABC design includes a 3weeks of the baseline phase, (A) and 2weeks of the intervention phase, (B) with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Internet Addicted, and 2mouths of the following services, (C). The target problem is the increase time of the internet using problem eighteen teenagers mostly complain.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2 months following test in which the adolescents. In resulted in the positive changes among the belief of internet using, K-scale, G-scale, depression, wellness, and the self-controlability scale. Visu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aken for analyzing of results. Visual analysis demonstrate Line graph, correlation line by SINGWIN Program and evaluates the tendency of measurable values. First, autocorrelation analyzes if each values does not have reciprocal effects and work independently in baseline phase and intervention pha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y of the changes between the baseline phase and following services phase is assessed by Proportion/Frequency. Additionally, in this analysis, there in the d-index for assessing the effect size. Both analyses have efficient results and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interventions bring a positive reduction, 76%. Finally, we propose those suggestions in order to accelerate the using of this study. First, we need the future studies to consider the trend of occurring in a younger age and the different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develop the programs separated by the age and the participants. Second, we suggest to establish the permanent residential system and raise the fund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대상의 기숙형 대안캠프 효과성에 관한 연구

        황순길 ( Hwang Soon Gill ),정현주 ( Chung Hyun Ju ),김범구 ( Kim Bum Goo ),양대희 ( Yang Dae Hee ),이은경 ( Lee Eun Ky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적응적 학업복귀를 돕기 위해 이들이 가진 다양한 문제에 초점을 둔 9박 10일간의 구조화된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인상담, 집단상담, 프로젝트기반학습, 아웃도어활동, 기타 체험활동, 부모교육과 부모상담 등으로 구성된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참여청소년들이 경험한 것의 문화적 의미들을 찾아내고자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하고 문화기술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관련하여 ``자신감을 회복``하고, 동기가 강화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은 캠프활동을 통해 미래에 대한 목표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대인관계 기술, 집단응집력과 관련하여서도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자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1회 시범운영한 것만으로는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추후, 지속적 운영 및 참여대상의 확대를 통해 적용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While most adolescents who drop out of school hope to return to school, they face a great deal of adversity, including poor school achievement, low self-concept, lack of self-control, unsystematic lifestyles, and difficulties in personal relationships. The lack of comprehensive services that aid dropouts for adaptive reentry calls for an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t deals with the various problems facing these adolescents. As an attempt at such an intervention, we developed a structured, 10-day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To evaluate the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for dropouts, a 10-day experimental operation was h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we provided theoretical grounds and a model for an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s. Secon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fter the experimental operation via ethnography research,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at inquiry so as to supplement the program. Third, Mentorship was found to be critical in the alternative boarding camp in providing youths with role model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first Korean program for alternative boarding camps for dropout adolescents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