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송아지에 warfarin 투여 시에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

        임건태,윤영민,이경갑 한국임상수의학회 2003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0 No.1

        We executed this experiment to observe side effects of warfarin, the anticoagulant that is used for preventing thrombus in cardiovascular surgery for calves. The 6 calves(70~130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regardless of sexes. We administered warfarin at 0.07mg/kg daily for 25 days. Blood was collected before warfarin administration, every five days for 30 days. PCV, RBC, WBC, fibrinogen, total protein and platelet as blood test, prothrombin time (PT) as blood coagulation test, and AST, SDH, total bilirubin, BUN and creatinine as serum biochemical tests were measured.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T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fter warfarin administration. It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nd remains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from the third day to the 28th day. PCV and RBC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value before the administration (p<0.05). In the serum biochemical test, SDH shows significant increase comparing the value before the administration (p<0.05). AST and total bilirubin were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value before the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o give warfarin to prevent thrombus in cardiovascular surgery, we can get anticoagulation effect with minimal administration(0.07mg/kg, PO) from the third day of the administration. However because of the decreased PCV and RBC, it may cause anemia. It may cause damage to liver based on the result of serum biochemical test.

      • KCI등재

        아이러니스트로서의 니체 -리처드 로티의 니체 비판에 대한 한 가지 대응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3 No.-

        로티는 니체의 입장과 아주 유사한 측면을 많이 보여준다. 특히 로티의 근본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반(反)표상주의적(anti-representationalist) 관점이라는 것은 니체의 진리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철학의 정체성과 관련해서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 역시 두 사람의 친근성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티는 니체를 비판하고 있다. 다시 말해 로티에 의하면 니체는 로티가 이상적으로 보고 있는 진정한 의미의 아이러니스트가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했으나 그 자신이 그러한 자신의 비판적 입장을 절대화시키는 잘못을 범하게 됨으로써 다시 스스로 비판했던 형이상학으로 추락하고 말기 때문이다. 과연 그렇다면 이러한 로티의 입장은 정당한가? 이 글에서는 로티의 니체 비판을 간략히 살피고 거기에 대해 재비판을 시도하고자 한다. 요컨대 니체 자신의 입장 속에서 로티가 규정하고 있는 아이러니스트의 분명한 징후를 포착함으로써 니체에 대한 로티의 부정적 평가가 부당하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니체는 자신의 입장을 절대화시키고 있다고 결코 보기 힘들다. 그 근거들 가운데 이 글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은 바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니체의 저술이다. 이 저술의 성격은 내용상 예술적이고 아이러니적이며, 줄거리는 그리스 비극과 일맥상통하는 의미에서 비극적이다. 다시 말해 이 저술에서 언급되는 내용은 그 표면적인 주장이나 표현과는 달리 그 의도에 있어서 항상 자기부정과 자기비판의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으며, 그 줄거리 역시 성공한 내러티브가 아니라 실패한 이야기로 꾸며져 나중에 궁극적으로 니체라는 작가의 의도가 성공적으로 달성되게끔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의도란 디오니소스적 긍정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는 비극적 인식과 예술적 세계해석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것은 아이러니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비극작품이다. 그리고 거기서는 자신의 가르침을 직접적으로 전파하는 차라투스트라의 의도가 아니라 그러한 가르침에 대한 계속적인 회의를 통해 자신의 의도를 달성하는 니체가 숨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니체는 로티가 말하는 아이러니스트라고 할 수 있으며, 그가 아이러니스트라고 규정될 수 있다면, 니체를 전통적 의미의 형이상학자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Rorty is similar to Nietzsche with respect to many points. Especially, Rorty’s most important thought i.e. anti-representationalist view is closely related to Nietzsche’s viewpoint of truth. In addition to this, they agree with the status of art concerning the identity of philosophy. Nevertheless, Rorty criticise Nietzsch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Rorty, Nietzsche can’t be true ironist. Because even if Nietzsche had criticised the traditional metaphysics, he in turn has fallen into that metaphysics by making his own critical positions absolute. Then, is Rorty’s opinion justifiable? This paper aims to perform anti-criticism about Rorty’s position. In sum, it is the target of this paper that by means of disclosing ironist’s symptoms in Nietzsche’s thoughts, I want to suggest the impropriety of Rorty’s negative estimation about Nietzsche. It seem to me that Nietzsche has not made his own thought absolute. This paper deals with Also sprach Zarsthustra as the grounds of my opinion. This book is not only a fiction and ironical but also tragic in the sense of Greek Tragedy. In order words, the contents of this book always implies the possibility of self-negation and self-criticism with respect to the intention of that book and the plot also is meant to construct the failed story rather than the successful sto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tention of a author, that is to say, Nietzsche. This intention is the tragic knowledge and the artistic interpretation of world, ultimately aiming at dionysian affirmation. In sum up, Also sprach zarathustra can be defined as ironical tragedy. And it is Nietzsche who has reached not Zarathustra’s intention but his own intention by means of successive suspicions about his doctrines that lies under this book. In this sense, Nietzsche can be determined as Rorty’s ironist and insofar he can’t be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 KCI등재

        니체의 도덕적 세계해석 비판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06 니체연구 Vol.9 No.-

        <Abstract> Nietzsche's Criticism of the Moral Interpretationof the World Lim, Gun-Tae(Soonchunhyang University) Nietzsche's criticism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s is closely related to his criticism of the moral interpretation of the world.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metaphysics is itself the moral interpretation of the world. This criticism is performed by the attention to the natural process of life. According to Nietzsche, the natural process of life is beyond the moral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morality to this process results in the depression of this life. Therefore in order to recover the power of life, we must return to the natural process of life. In sum up, Nietzsche's target is to revive the 'homo natura'. First of all, this paper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Nietzsche's criticism of the moral world view. It can be called the tragic interpretation of this world i.e.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of this world. This interpretation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Nietzsche's criticism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s. Next, the concrete forms of the antinatural moral is the good conscience and the ressentiment. And the ascetic ideal enables them to obtain the proper values. Third, we must question on which grounds Nietzsche can oppose to the moral interpretation. There are multi dimensions for his criticism. we will investigate each other. Finally we ask what the results of Nietzsche's criticism can be. This question includes the Nietzschean defense of the criticism of the Nietzsche's critic of the morality. 니체의 전통 형이상학 비판은 그의 도덕적 세계 해석 비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달리 말하자면 전통 형이상학 자체가 세계에 대한 도덕적 해석이다. 니체의 이러한 비판은 삶의 자연적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수행된다. 니체에 의하면, 삶의 자연적 과정은 도덕성을 넘어서 있다. 그리고 도덕성을 이러한 과정에 적용하는 것은 삶의 침체를 결과한다. 따라서 삶의 힘을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삶의 자연적 과정으로 돌아가야 한다. 요컨대 니체의 목표는 자연인을 되살려내는 것이다. 우선 이 글은 도덕적 세계관에 대한 니체의 비판의 배경을 다룬다. 그것은 이 세계에 대한 비극적 해석 다시 말해 이 세계에 대한 미적 해석으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니체의 전통 형이상학 비판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반자연적 도덕의 구체적 형태는 양심과 원한이다. 그리고 금욕적 이상은 그것들이 적절한 가치를 갖게끔 해준다. 세 번째로 우리는 니체가 어떤 근거들 위에서 도덕적 해석에 반대할 수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적 세계 해석에 대한 비판을 위한 여러 가지 차원이 있으며 그 각각이 차례로 검토될 것이다. 끝으로 우리는 니체의 도덕 비판의 결과가 어떤 것일 수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이러한 탐구는 니체의 도덕 비판에 대한 비판을 니체적인 입장에서 옹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 KCI등재

        니체의 몽테뉴 회의주의 수용과 변형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5 니체연구 Vol.27 No.-

        According to Nietzsche, the delight of living on this earth increases owing toMontaigne’s writing. But strangely there is a few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two thinkers or about Montaigne’s philosophical influence on Nietzsche. Becauseit seems that interpreters of Nietzsche have focused on superficial comments orthe frequency of references. Nevertheless such a way of understanding is notappropriate because of Nietzsche’s aphoristic style or deliberate non-systemicwriting. Rather we must discover the contexts of the hidden thoughts thatNietzsche doesn’t express explicitly. In this respect, this dissertation aims toinvestigate French moralist Montaigne’s influence on Nietzsche in order to knowNietzsche deeper. But the overall research between two thinkers will ask manytimes and labors. Therefore we choose the essential part of Montaigne’s thoughtsi.e scepticism. 니체는 몽테뉴가 글을 씀으로써 이 지상에서 사는 기쁨이 늘어났다고 극찬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상하게도 몽테뉴가 니체에게 미친 철학적 영향이나 두 사람 간의 관계에 연구는 아직까지 극히 드물다. 이에 대한 원인을 짐작컨대 니체의 해석자들이 너무 표면적인 언급이나 인용의 빈도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니체의 글을 독해해 왔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하지만 니체의 아포리즘적 글쓰기 방식이나 비체계성을 등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식의 이해 방식은 그리 적절하다고보기 어렵다. 오히려 니체가 노골적으로 표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에게 심대한작용을 하고 있는 사상적 맥락을 짚어내는 일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글은 지금까지보다 더 심층적으로 니체에게 다가서서 니체의 사상을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방금 언급한 프랑스 모럴리스트이자 니체가높이 평가하고 있는 몽테뉴의 입장이 니체에게 미친 사상적 파급 효과가 어느정도인지 밝혀보고자 한다. 그러나 두 사상가 사이의 전면적인 비교 연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특정한 주제와 관련하여니체가 몽테뉴의 견해를 생산적으로 수용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보고자한다. 그러한 주제로 여기서 택한 것은 미로와 같은 몽테뉴 사상의 핵심적 실마리라고 할 수 있는 회의주의이다.

      • KCI등재

        니체의 도덕 심리학적 도덕 비판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2 니체연구 Vol.21 No.-

        According to Aristotle, the motive of morally good action is the character or the education that results in such a character. By the way, theses factors are all a posterior. Therefore, we can ask whether it is certain that only such elements play a decisive role in the behavior of moral agent. And in my opinion,moral-psychological critique of moral that Nietzsche suggests could compensate the analytics of the motive and the course of action which Aristotle shows. Because Nietzsche seeks to find the principal motive of the behavior which we can name in a priori and dispositions rather than in a posteriori and environmental traits. Next, according to Kant, the object of attention in moral action is the dimension of deliberate choice. But we can again question follows. Is it sufficient to explicate the moral behavior of human beings only in terms of deliberate choice? Absolutely not. Here Nietzsche again could help us. For Nietzsche tries to investigate the deep dimension beyond the superficial and shallow motives of moral actions. Nietzsche thinks that not cultivation or conscious selection but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actors play a notable role in moral behavior. Of course, he doesn’t ignore those elements including environmental dimensions. Nietzsche wants to explain that the former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latter. At any rate, we note that he regards the human beings as organism under the contemporary german materialists and so insists that the physiology is the best way of explanation about human beings. In other words, Nietzsche said that the physiological thinking is the highest thinking concerning moral action and conscious lives. In addition, Nietzsche reaches the physio-psychological mode of thought by announcing that the unconscious is important in decision of action.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의 동기란 성격과 그것을가능하게 만드는 습관 내지 교육이다. 그런데 이 같은 요소들은 모두 후천적인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과연 도덕적 행위자의 행위에서 후천적요소들만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단정할 수 있는지 물어볼 수 있다. 그리고바로 이 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행위의 동기나 과정에 대한 분석을 결정적으로 보강해 줄 수 있다고 여겨지는 견해가 도덕에 대한 니체의 도덕 심리학적 도덕 비판이다. 왜냐하면 니체는 그러한 비판을 통해 행위의 주요한 동기라고 간주될 수 있는 것들을 후천적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보다 선천적이고 기질적인 요인들 속에서 찾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칸트의 경우 도덕적행위에서 주목의 대상은 주로 의식적인 선택의 차원에 있었다. 그런데 과연인간의 도덕적 행위를 해명하는데 있어서 의식적인 선택의 요소들만으로 충분한가? 결코 그렇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은 비교적 분명하다. 그리고 바로이 지점에서 다시 우리의 유력한 조력자로 등장할 수 있는 철학자가 니체이다. 왜냐하면 니체는 도덕적 행위의 표면적이고 의식적인 동기를 넘어선 심층적차원에 집중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니체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양육이나 의식적인 선택이 아니라 유전적이며 심리학적이고 생리학적인 특성들이라고 여기는듯이 보인다. 물론 그렇다고 니체가 도덕적 행위에 있어서 환경적 요인이나의식적 선택의 요소를 전적으로 무시하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니체는 그 정도에 있어서 전자가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뿐이다. 어쨌든도덕적 동기에 관한 니체의 설명에서 우리가 유의해야 할 사항은 그가 당시독일 유물론자들의 영향을 받아 인간을 기본적으로 유기체로 보았으며 따라서그런 인간에 대한 가장 적합한 고찰방식은 생리학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니체는 도덕적 행위를 포함한 인간의 행위와 의식적 삶에 대한 최선의 설명이란 생리학적 설명일 수 있다고 간주했다는 것이다. 덧붙여 니체는무의식적 차원 역시 행위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인간 행위에 대한 그의 생리-심리학적 설명 방식을 완성하게 된다.

      • KCI등재

        음악을 하는 가운데 삶을 긍정하기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6 니체연구 Vol.29 No.-

        We must note Nietzsche’s critical reception of Schopenhauer’s view of music because Nietzsche thinks that Wagner can be responsible for rebirth of tragedy in German and Schopenhauer is a source of Wagner’s philosophical and musical inspiration. For example, as in Tristan and Isolde, the absolute superiority of music over drama or language can’t be known without the important significance which Schopenhauer gives music. Second, we can easily discern that Nietzsche first affirms Wagner but later denies him for he discloses the christian morality and romantic tendency by regarding music as means expressing the idea while the relation of Nietzsche to Schopenhauer is more complex. Finally, the critical confrontation with Schopenhauer’s musical thought provides Nietzsche with decisive moment through that Nietzsche overcomes Schopenhauer’s practical pessimism. In sum up, this study has it’s own need and originality in that it tries to show the role and power of music in Nietzsche’s one essential thesis i.e. the affirmation of life by means of analysing Nietzsche’s critical sublimation of Schopenhauer’s musical theory 쇼펜하우어의 음악관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수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우선 니체가 독일에서 그리스 비극의 부활을 책임질 수 있다고 여겼던 바그너에게철학적이고 음악적인 영감을 준 원천이 바로 쇼펜하우어이기 때문이다. 가령,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와 같은 작품에서 나타나는것처럼, 드라마나 언어에 대한 음악의 절대적 우위와 같은 특징은 쇼펜하우어가음악에 부여한 중요한 의미를 거치지 않고서는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니체가 바그너의 음악에 열광하다가 거기에서 등을 돌리게 된 이유는 주지하다시피, 바그너가 방금 언급한 이 같은 경향을 끝까지 고수하지 못하고 음악이 이념을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여기면서(F. Nietzsche, Der Fall Wagner, 10, KSA 36), 초기와는 달리 다시 기독교적인 도덕성과 낭만주의적 경향을 보여주었기 때문이었다고 비교적 확인하기 용이한 반면, 쇼펜하우어와의 관계는 훨씬더 밀접하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쇼펜하우어의 실천적 페시미즘을 극복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니체에게 제공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쇼펜하우어가 보여주는 음악적 사유와의 비판적 대결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 연구는 지금까지 잘 드러나지 않았던 쇼펜하우어의 음악 이론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지양을 분석함으로써 니체 철학의 핵심적 테제 가운데 하나인 삶의긍정에서 음악이 하는 역할과 힘을 확고하게 보여주려 시도한다는 점에서 나름의 필요성과 독창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진리의 가치로서 진실성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1 No.-

        In this article, I focus on Bernard Williams’ proposition that the truthfulness in the political area which 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an be a intrinsic value, if we could distinguish the denial of metaphysical and absolute truth from the recognition of the truthfulness as a value of truth. According to him, a value of factual truth consists in enabling us to commit to the truthfulness. In order to support his own position, Williams refers to Nietzsche who questions the value of morality by means of genealogy. So to speak, as Nietzsche supposes about morality, Williams discusses on a value that truth can have in our life rather than truth in itself. In addition to this, Nietzsche embodies such a truthfulness in his philosophy. We can confirm this fact in that Nietzsche shows the dual aspects. On the one hand, he denies absolute truth and defines truth as error, and on the other hand he commits to the truthfulness by affirming the will to truth in spite of it’s negative effect. Further, we can establish that factual truth and truthfulness have played a important role since ancient Greek from Foucault’s attention to parrhēsia. Finally, Hannah Arendt is worth being commented because she warns the danger which can appear if we lack the truthfulness in politics. 이 글에서는 절대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진리를 부정하는 차원과, 진리의 가치로서 진실성을 인정하는 차원을 구분함으로써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정치적 영역에서 진실성이 본질적 가치임을 주장하고 있는 윌리엄스의 입장에 주목했다. 그는 형이상학적 진리를 부정하지만, 사실적 진리를 인정하면서그러한 사실적 진리의 가치는 우리가 진실성에 관여할 수 있게 만드는데 있다고보고 있다. 윌리엄스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계보학을 통해 도덕의가치를 문제 삼았던 니체를 끌어들인다. 윌리엄스는 도덕에 대해 니체가 주장한것처럼, 진리 자체라기보다는 진리가 우리 삶에 대해 갖는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셈이다. 더 나아가 윌리엄스가 본질적 가치로서 규정하는 진실성을 니체 역시 스스로 자신의 철학 내에서 구현하고 있다. 우리는 이 같은 사실을 니체가 보여주는 이중적인 모습, 즉 절대적 진리를 부정하고, 진리를 오류라고 정의하는 입장과, 무조건적인 진리에의 의지를 그 부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긍정함으로써 여전히 진실성에 대해 스스로 관여하고 있는 입장을 통해 볼 수 있다. 더불어 우리는 사실적 진리와 진실성이 이미 오래 전 그리스 시대부터 정치적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는 사실을 파레시아에 대한 푸코의 논의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아렌트는 정치적 영역에서 진실성이 결여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기만과 같은 구체적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논의할가치가 충분하다.

      • KCI등재

        충동의 기호학 - 클로소프스키의 니체 해석이 가진 몇 가지 함축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21 니체연구 Vol.39 No.-

        The first element of semiotics of impulse is impulse. The uncommunicable in body and soul is the waves. Klossowski calls that which this impulses express the singularity of human soul uncommunicable in itself. This impulses compose the depth of soul. i.e. unknowable depth of soul. This particular constellation which makes individual enables every individual to be singular cases. The second element of semiotics of impulse is phantasm. The phantasm is the obsessive image in us produced by impulses. The phantasm is the obsessive image that we are forced to return in when satisfying or getting rid of the impulses. The phantasm makes us particular cases. The phantasm can't find a proper expressions. And The phantasm can't be communicable in itself. Because we can't understand and speak it. And Nietzsche's strongest phantasm is the eternal return. So the third element of semiotics of impulse is simulacre that emerges in order to express inexpressible phantasm. The simulacre is motivational revival of phantasm and imitates the invisible movements of soul. According to Klossowski, simulacre is actualization of phantasm that can't be communicable and representable in itself and play a obsessive power. Therefore the eternal return of Nietzsche is the simulacre to express his own phantasm, the eternal return. Eventually the eternal return is not the theoretical doctrine but the simulacre of doctrine. The implications of the semiotic of impulses are as follows: First, Nietzsche’s sickness is indispensable root to approach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impulse. Second, because Nietzsche can describe the eternal return consistently by means of the will to power, he need not write a independent book about the will to power. Third, for the eternal return is a kind of simulacre and that simulacre is intimately related to parody, the beginning of Also sprach Zarathustra that deals with the eternal return is simultaneously the beginning of parody. Fourth, because Nietzsche’s writings is composed of simulacre which tries to deliver the depth of impulse that can’t be communicable easily, so only the few can understand them, it is difficult to deliver Nietzsche’s message to mass. Fifth, Nietzsche’s delirium is the destination of symptom of sickness but a necessary result from the eternal return. 충동의 기호학을 구성하는 첫 번째 요소는 충동이다. 신체나, 영혼에서 전달 할 수 없는 것은 충동, 다시 말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충동이 지닌 강도의 파동, 부상(浮上)과 부침(浮沈)이다. 클로소프스키는 이런 충동이 표현하는 것을, 그 자체로는 전달할 수 없는 인간 영혼의 진정한 독특성이라고 부른다. 이런 충동 은 교환할 수 없는 영혼의 깊이, 이해할 수 없는 영혼의 깊이를 구성한다. 모든 개인을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개인을 구성하는 충동의 이 같은 독특한 배열이 다. 충동의 기호학을 구성하는 두 번째 요소는 환영이다. 클로소프스키가 강조하 고 있는 충동이 우리 안에 산출한 강박적 이미지가 바로 환영이다. 환영은 행위 자가 충동을 만족시키거나, 없애려 하는 가운데, 계속 그리로 돌아갈 수밖에 없 는 강박적 이미지로 나타난다. 환영은 우리 각자를 특이한 경우로 만든다. 환영 은 적절한 표현을 발견할 수 없다. 환영 자체는 전달할 수 없다. 왜냐하면 환영 은 이해 불가능하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니체의 가장 강력한 환영은 영원회 귀였다. 그리고 이처럼 표현할 수 없는 환영을 표현하기 위해 등장하는 개념이 충동의 기호학을 구성하는 세 번째 요소 시뮬라크르다. 우리말로 허구라고 옮긴 시뮬라 크르는 환영의 의도적 재생이며, 영혼의 볼 수 없는 움직임을 모사한다. 클로소프스키에 의하면, 시뮬라크르는 자체로 전달할 수 없고, 표상할 수 없는 어떤 것, 즉 강박적 구속력을 발휘하는 환영의 현실화이다. 그래서 자신의 환영을 표현하 기 위한 시뮬라크르가 니체의 영원회귀이며, 영원회귀는 이론적 학설이 아니라 학설의 시뮬라크르다. 충동의 기호학이 갖는 함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니체의 병은 니체가 자기 철 학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던 충동 본연의 모습으로 접근하기 위해 불가결한 통로 였다. 둘째, 힘에의 의지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충동을 바탕으로 니체 는 영원회귀까지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힘에의 의지에 관한 독립된 저술을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셋째, 영원회귀는 일종의 시뮬라크르이 며, 그런 시뮬라크르를 낳는 작용이 바로 패러디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원회 귀와 패러디는 불가분하게 연결되며, 영원회귀를 핵심으로 하는 차라투스트라 는 이렇게 말했다 의 시작은 동시에 패러디의 시작이 된다. 넷째, 니체의 메시지 가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되기 어려운 이유는 그의 저술이 전달 불가능한 충동의 깊이를 전달하기 위한 시뮬라크르로 구성되어 있어서, 니체 자신의 내밀한 충동 적 삶에 공감할 수 있는 소수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니체가 맞이 한 광기란 단순히 그가 앓던 병적 증상의 종착점이 아니라, 영원회귀에서 불가 피하게 따라 나오는 필연적 귀결이다.

      • KCI등재

        니체 - 언어와 세계 그리고 진리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5 No.-

        In The Birth of Tragedy, Nietzsche claims that human knowledge and scienceare forced to face their own limits. It is important that internal causes make themarrive at a critical point. One of such causes is the nature of human language. According to Nietzsche, human language can’t become a medium that can deliverhuman beings the objective knowledge about real world. Rather the language is nomore than a metaphor. This metaphor is not only a trope in the traditional sense. It is fundamental process which enables us to perceive a stimulus and next totransfer it into image and finally to imitate that image into words. Here Nietzschenotes that in metaphoric process, there isn’t no logical relations. Instead there is avoluntary relations. After all, since the language as essential instrument ofrepresentaionalism i.e. correspond theory makes a metaphor, our knowledge nolonger can pretends to know the world in itself independent of us. Following thisline of thought, we come to recognize that human knowledge is a set of fictionsmade in order to survive in the world and truth becomes a perspective truth basedon interpretation.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는 인간의 지식과 학문이 그 고유한 한계에 부딪힐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중요한 점은 내재적 원인들이 지식과 학문을 그러한지점에 도달하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그러한 원인들 가운데 하나가 인간 언어의본성이다. 니체에 의하면, 인간의 언어는 인간에게 실재 세계에 관한 객관적 지식을 전달해 줄 수 있는 매체가 될 수 없다. 오히려 언어는 메타포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이 메타포는 단순히 전통적 의미의 수사적 비유법이 아니다. 니체가 염두에 두고 있는 메타포는 우리가 자극을 지각한 다음 그것을 이미지로 옮기며, 끝으로 그 이미지를 낱말로 모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근본적과정이다. 니체는 메타포적 과정 속에는 어떠한 논리적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점에 주목한다. 대신 거기에는 임의적 관계들만 있을 뿐이다. 결국 표상주의 혹은 진리 대응설의 핵심적 도구인 언어가 메타포가 되기 때문에, 우리의 지식은더 이상 우리와 독립해 있는 세계 자체를 안다고 참칭할 수 없다. 이 같은 사유노선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인간의 지식 혹은 인식은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만들어진 일련의 허구들이며, 진리란 해석에 기반을 둔 관점적 진리로 됨을깨닫게 된다.

      • KCI등재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Until now the interpretations of Nietzsche’s will to power has been accomplished endless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it originally and it is meaningless to add to another thing which is trivial and commonsense. Nevertheless we should not ignore them. If so, how can we escape from this dilemma or moderate it? This paper suggests such a method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all illuminate the cardinal characteristics of the will to power by describing the sources of it independent of particular viewpoints. This requires that we should investigate Schopenhauer’s concept of will. Next among many interpretations we will analyse two representative i.e. those of Heidegger and Deleuze. The former shows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 and the latter post-metaphysical interpretation. Finally we shall make a starting point for criticising fascistic misunderstanding and further demonstrate which position is more probable. This course is made possible by means of the Dionysisch that Nietzsche had been interested in his all life. Because the direct comparison of two thoughts will make us fall in another hermeneutic circle which needs the preunderstanding of their whole work that is not yet possible.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은 지금까지 수없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독창적인 해석을 하기는 쉽지 않고 그렇다고 평범하고 일반적인 한 가지 해석을또 한 가지 덧붙이는 것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기왕의해석들을 전적으로 무시하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의 논의가 이 난국에서 벗어나거나 최소한 그것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까? 이 글은 그러한 방식으로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우선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이 발원한 원천을제시함으로써 특정한 해석들에 의존하지 않고 힘에의 의지가 가진 근본 특성들을 조명해 본다. 이는 니체가 특히 초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던 쇼펜하우어의의지 개념에 대한 검토를 요구한다. 다음으로 많은 입장들 가운데 니체의 힘에의 의지에 대한 대표적 해석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하이데거의 해석과 들뢰즈의 해석이 그것들이다. 전자는 형이상학적 해석을 대변하고, 후자는탈(脫)형이상학적 해석의 전형을 보여준다. 끝으로 이 두 가지 해석의 공통점을통해 힘에의 의지에 대한 파시즘적 오독을 불식시킬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더 나아가 어느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를 논증한다. 이 과정은 직접 두입장을 비교하지 않고 니체의 전후기 사상에 걸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Dionysisch)에 관한 니체의 견해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이같은 방식을 택한 이유는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하이데거와 들뢰즈 견해의 직접비교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그들의 사상 전체에 대한 선이해를 요구하는 또 다른해석학적 순환에 마주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다른 기회에 이루어져야 하는 더큰 규모의 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