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동의 기원

        윤형(Hyung You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성서학 학술세미나 Vol.2011 No.10

        본 논문은 다신론적인 세계관하에서의 노동관과 유일신론적인 성경적인 노동관을 고찰함으로써 힘들게만 인식되는 노동의 근본적인 기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작금의 노동관의 정체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본질적인 노동패러다임을 규정하고자 한다. 우선 양자는 노동이 인간의 근본규정이라는 사실에는 일치하나 그 근원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다. 전자에서는 신들의 고통경감차원에서 인간이 창조되고 그들의 어깨위에 무거운 짐이 지워짐으로써 노동은 곧 고통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부각된다. 동시에 신과 인간 사이에 노동과 안식의 부조화가 생긴다. 이밖에 신과 인간사이의 수직적인 지배관계가 특징이다. 이에 반해 성경에서는 인간의 노동이 하나님이 주신 세상에 대한 다스림(Dominium Terrae)의 대리권 행사로부터 기원한다. 이와 함께 인간은 하나님의 일과 안식을 모범삼아 노동과 안식의 균형을 취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하나님과 인간사이에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수평적인 의존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인간의 노동은 세상에 대한 다스림에서 파생한 것으로서 그 특징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인간노동의 기원과 그 고통의 원인이 야웨 하나님에게 있음을 알게 됨으로써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을 발견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view of work under the multitheism and the biblical theology, and the origin of work of both sides, which is felt hard, and to find the identity of our present working and to establish the new paradigm of the work. At first it corresponds to both sides, that the work is an essential aim for mankind. However the opinion of its origi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rmer case mankind has been made for their gods, in order that they need not to work hard. So man must take the heavy burden on his shoulder in behalf of them. This gave the negative image to the work: "it is a pain in itself." This brings about the inharmony of Work and Rest between gods and man. In addition it results in the hierarchical relation between them. On the contrary man"s work in the bible derives from the representative right of control over the world, which God permits him. It emphasizes, that man has to take the balance of Work and Rest after the model of God"s. Besides one knows, that there is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on the basis of Imago Dei. Therefore man"s work derives from Dominium Terrae(control over the earth). In result one knows that the origin of man"s work and its difficulty is in the hand of the Lord God. Finally one finds the new paradigm of work through it.

      • KCI등재

        창세기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윤형(Hyung Youn) 한국구약학회 2021 구약논단 Vol.27 No.2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past achievements of the study of Genesis, investigates its recent studies,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future study. For 200 years, the Korean Society of Old Testament Studies has examined the process of the composition of Genesis with great depth. The society has provisionally recognized its various sources. Different techniques have been derived to analyze these sources. Through literary, form, and redaction criticism, the organization has discovered that the composite process of Genesis is very complicated. Against the excessive form of historical criticism, a new trend has emerge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ader’s position. Moreover, the reception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Genesis has reached a turning point. In particular, synchronic criticisms, which attribute more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der than the author, have been adopted. Genesis has not been the center of concern in recent studies, displaced by scholars’ focus on the study of the Pentateuch. The themes of recent studies vary widely. In future studies of Genesis, the sharp contrast between history and revelation should be harmonized, and Jewish interpretation also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동시성 관점에서 본 요엘 2장 28-32절(MT 3:1-5)의 선교-신학적 의미

        윤형(Hyung You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경적인 입장에서 ‘요엘 2장 28-32절’을 분석하면서 본문이 갖고 있는 선교 신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문을 분석한 결과 영 부음을 통해 일어나는 예언, 꿈, 이상과 같은 파생적인 현상들은 모두 하나님의 현존을 증거 하는 표현들이다. 동시에 영 부음은 일부가 누리는 특권이 아니라 모든 육체가 누릴 수 있는 권리이다. 이런 사건 배후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갖고 있었던 영 부음을 둘러싼 특권의식에 대한 비판이 들어있다. 나아가 요엘서의 중심 낱말인 야웨의 날은 한편으로 비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상이라는 변증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양면성을 지닌 그 야웨의 날에 살아남은 자는 야웨께 방향을 잡고 그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이다. 동시에 이 본문은 예언 당시뿐만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어 초기 교회시대에 일어난 오순절 사건과 동일한 하나님의 역사라는 신학적 동시성을 갖고 있다. 그것은 회개적인 상황, 영의 부음, 종말론적 상황이란 세 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아울러 이 본문은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도 동일한 교훈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혼돈스런 현실 속에서 신앙의 회의주의에 빠져 삶의 방향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방향을 올바로 찾고 붙잡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요엘서에서 강조하는 회개라는 히브리어 낱말 또한 방향전환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거 역사에서 보듯이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보여준 높은 이상보다는 당장 눈앞에 보이는 현실에 집착함으로써 궁극적인 방향성을 상실하곤 하였다. 요엘은 이 점을 비판하고 백성들에게 미래의 이상을 보여주면서 이스라엘이 다시 하나님께로 삶의 방향을 돌릴 것을 강하게 권고하고 있다. 나아가 신학적 동시성이란 개념은 요엘서와 같은 동일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하나님의 영을 받을 수 있는 선교 신학적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its missionary theological meaning through an analysis of Joel 2:28-32, which is based on a canonical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phenomenons like prophecy, dream and vision derived from the democratic pouring of spirit, are evidences of the presence of Lord. At the same time it is known that the baptism of spirit is no privilege of a few people, but a right of all flesh. Therefore there is a critique about the sense of privilege of israelites in relation to the spirit-pouring behind of this event. Furthermore the key word of ‘Day of Lord’ has a dialectic character of critique and vision. One who survived in the ‘Day of Lord’ with two faces is a person who oriented at Lord and called his name. And this text has a theological synchronism, that is, the pentecost event in the first christianity is also an occurrence of the same God as Joel-times. Three references are a democratic pouring of spirit, the situation of repent and an eschatological circumstances. At any rate the text proposes the same lesson as the past, which recommends people to make a right direction, who lost direction of life in the midst of religious skepticism in chaotic reality. The hebrew word of repentance has also the meaning of conversion of direction. The past history showed that Israel used to lose the ultimate direction by being attached to immediate reality than the higher ideal which God provided. So Joel criticizes this point, and advises them again to convert to Lord by displaying the vision of future. Furthermore the concept of a theological synchronism is to be a missionary theological fundament, that is, people under the same position like Joeltimes can take God’s Holy Spirit.

      • KCI등재후보

        노동의 기원

        윤형(Hyung You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2 Canon&Culture Vol.6 No.1

        본 논문은 다신론적인 세계관 아래 노동관과 성경적인 노동관을 고찰하여 힘들게만 인식되는 노동의 근본적인 기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작금의 노동관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본질적인 노동 패러다임을 새롭게 규정하고자 한다. 우선 양자는 노동이 인간의 근본 규정이라는 사실에는 일치하나 그 근원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다. 전자에서는 신들의 고통 경감 차원에서 인간이 창조되고 그들의 어깨 위에 무거운 짐을 지워 노동은 곧 고통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부각된다. 동시에 신과 인간 사이에 노동과 안식의 부조화가 생긴다 이밖에 신과 인간 사이의 수직적인 지배 관계가 특징이다. 이에 반해 성경에서는 인간의 노동이 하나님이 주신 세상에 대한 다스림(Domimum Terrae)의 대리권 행사에서 기원한다. 이와 함께 인간은 하나님의 일과 안식을 모범삼아 노동과 안식의 균형을 취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수평적인 의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인간의 노동은 세상에 대한 다스림에서 파생한 것으로서 그 특징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인간 노동의 기원과 그 고통의 원인이 야웨 하나님에게 있음을 알게 되어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을 발견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view of work under the polytheism and the biblical theology, and the origin of work of both sides, which is felt hard, and to find the identity of our present working and to establish the new paradigm of the work. At first it corresponds to both sides, that the work is an essential aim for mankind. However the opinion of its origi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rmer case mankind has been made for their gods, in order that they need not to work hard. So man must take the heavy burden on his shoulder in behalf of them. This gave the negative image to the work: ‘it is a pain in itself.’ This brings about the inharmony of Work and Rest between gods and man. In addition it results in the hierarchical relation between them. On the contrary man’s work in the bible derives from the representative right of control over the world, which God permits him. It emphasizes, that man has to take the balance of Work and Rest after the model of God’s. Besides one knows, that there is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on the basis of Imago Dei. Therefore man’s work derives from Dominium Terrae(control over the earth). In result one knows that the origin of man’s work and its difficulty is in the hand of the Lord God. Finally one finds the new paradigm of work through it.

      • KCI등재

        에스겔 43장 1-12절을 중심으로 본 에스겔 환상성전의 성격

        윤형(YOUN Hy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에스겔서 40-48장에 나오는 환상성전은 매우 독특하고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과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불확실하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환상성전 본문 중 핵심으로 볼 수 있는 에스겔서 43장 1-12절 분석을 통해 그 성전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의 편집과정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다양한 역사비평적인 관점보다는 전승되어 내려온 최종본문을 정경으로 수용한 신학적 공동체에 관심을 갖는 정경비평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에스겔 환상성전이 과거에 가졌던 그리고 아직도 이스라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숙고함에 있어 두 가지 변증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비판과 이상). 이스라엘과 그 주변세계의 성전을 고찰하면서 성전이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무엇보다 성전이 정치적으로 우상화된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것은 성전의 거룩성 원칙에 어긋나는데 ‘영광의 회귀’ 본문인 에스겔 43장 1-12절을 분석하면서 분명해진다. 에스겔서 전체에 나타나있는 하나님의 영광은 성전의 핵심요소다. 본문에서 하나님의 영광과 거룩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수행되는 제의행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비판기준이다. 한편 그것은 솔로몬 성전에서 벌어지는 우상숭배적인 제의를 비판한다. 다른 한편 그것은 포로기 공동체로 하여금 이상적인 미래를 보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연구 결과 우리는 에스겔 성전이 변증법적인 성격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성전의 종말론적 의미는 신약에서 그 정점을 이룬다. 비록 그 성전은 비현실적이지만 여러 세대를 흘러 내려오면서 매시대의 신앙공동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논문의 연구 성과는 과거에 나타났던 에스겔 환상성전이 현재의 교회에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교회는 끊임없이 개혁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음을 인식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Ezekiel’s visionary temp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xt (Ez 43:1-12). In the book of Ezekiel, chapters 40-48, Ezekiel’s temple is both unique and unreal. Thus, what it means in the history of Israel is unclear. Instead of the historical approach, using a canonical approach,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theological community, we aim to show that Ezekiel’s visionary temple had and still has two functions in contemplation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Israel: criticism and utopia. Examination of the temples of the Orient and Israel reveal that they had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God and humankind in both, which is especially evident in analysis of Ezekiel 43:1-12. God’s glory is seen as the core of the temple, an idea that is found throughout Ezekiel. In the text, God’s glory and holiness were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behavior of the Israelites in the Jerusalem temple. On the one hand, they criticized the idolatrous cult of Solomon’s temple; on the other hand, they let the exiled community see a hopeful and holy future. Thus, the visionary temple had a two-sided effect. The eschatological meaning of Ezekiel’s temple culminated in the New Testament, and though the temple is not real, it has had a powerful influence on the theological community throughout the generations. Even now, Ezekiel’s temple is a critical message to the present-day church. Finally we found, that the church should be continually reformed through criticism and utopia.

      • KCI등재

        구약성서 관점에서 고찰한 노동의 가치와 인식에 대한 연구

        윤형(Hyung, Youn) 한국구약학회 2018 구약논단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ow work is appreciated in the Old Testament. The method of study focuses on the textual interpretation of Hebrew words, and the canonical approach is appropriated for understanding the context. The concept and value of work is a cognitive one, not a technical (economic) problem. The value of work differ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through which work is seen. Unfortunately, work is perceived negatively in today’s world. However, the Old Testament understanding of work i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we consider the ancient writings in general, we find a counter factor to our misapprehensions. Work is an administrative principle within God’s world. This study examines three books in the Hebrew scripture, that is, the Pentateuch, the Prophets, and the Writings. First, the Pentateuch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workers,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Sabbat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workers reflect the image of God,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workplace (earth), and that the Sabbath is a key to appreciating the value of work. The Prophets presents the concept of justice, which is another critical factor in valuing work. Finally, in the Writings, fear of the Lord plays a vital role in the work ethic. In conclusion, we found a renewed vision: Fear of the Lord is to be needed for recognizing the value of work rightly.

      • KCI등재

        구약성서 관점에서 본 문화의 생성과 발전

        윤형(Hyung You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를 구약 성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본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문화의 생성과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스라엘 주변세계는 자신들의 삶의 자리에 적합한 문화를 만들었다. 그 문화의 밑바탕에는 다신론에 근거한 신화적인 요소가 깊게 자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이스라엘은 그들의 유일신론적인 종교가 문화를 통제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 인간 사회의 삶의 양식인 문화에 대해 본문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우리는 카인 중심의 후예들을 통해 도시, 음악, 기술 등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 문화는 인본주의적으로 흘러 결국 라멕의 서사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력으로 마감된다. 이에 반해 셋의 후예는 여호와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카인의 후예와는 다른 방향의 제의 문화를 생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셋의 족보는 더 진전되어 마침내 홍수 이후 새로운 문화를 촉발시키는 ‘노아’라는 홍수 영웅을 만들어낸다. 그러므로 본문은 두 개의 짧은 대립적인 족보에 나타난 문화의 생성과 발전을 통해 독자에게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하나는 인본주의적인 세계관을 지닌 문화로서 사람 자신이 문화의 중심이 된다. 사람이 공동체에서 하나의 집단적인 문화흐름을 만들면 그에 대해 거부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의 가치 평가 기준은 사람이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절대적인 잣대를 들이댈 수 없다. 즉 인간의 자율적인 이성과 감정을 가치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신본주의적인 세계관을 가짐으로써 사람보다는 하나님이 제시한 외부 기준에 따라 문화의 가치를 판단한다. 성서에 따르면 그 기준은 바로 출애굽 이후 형성된 율법으로써 외부 문화의 수용범위와 정도를 규정한다. 구약성서는 신학적인 서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구약성서의 전승을 이끌어온 사람들이 당시의 문화를 수용하거나 비판하며 공동체내에서 갑론을박하는 가운데 경험한 삶의 역사를 담고 있다. 우리가 분석하고 해석한 본문도 독자에게 두 개의 대립적인 본문을 통해 우리 주위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다시 한 번 숙고하도록 권고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ulture and understand its identity in view of the Old Testament. In the article, I have survey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 various aspects. Israel’s neighboring countries created their own appropriate cultures suitable to their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olytheistic and mystical factors were deeply rooted in their cultures. On the contrary, the monotheism prevailed in the Israelite culture. What does the Bible teach about the ways in which we can appreciate the culture as the collective lifestyle of human beings? The biblical evidence shows that various cultural achievements, such as city life, music and technology, can be first attributed to Cain’s descendants. However, these cultural legacies became human-centered, and finally they propagated violence, as attested in the epic of Lamek. Unlike Cain’s, however, Seth’s descendants achieved a cultic culture by calling the name of YHWH.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he flood hero Noah started the new paradigm of culture after the flood. Thus, this article proposes two directions for the reader by trac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ancient cultures in two contrastive short genealogies. One is a human-centered culture. When a cultural paradigm is formed in a given community, it is not easy for the constituents to resist it. In this case, human beings articulate and control the standard of the value of the culture and there is no room for the absolute criterion. The arbiter of cultural standard is the autonomous reason and emotion of the humankind. The other is a Godcentered culture. According to the Bible, the criteria, which demarcates the value of culture, are the Laws given after the exodus and they determine the acceptable range of the external culture. The Old Testament is a theological book as well as a historical book, which informs us about how the ancient Israelites accepted or criticized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how the differences were resolved in their community. The comparative task of this study contributes toward the reconsideration of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cultures surrounding us in our days.

      • KCI등재

        잠언 8:22-31에 나타난 지혜와 창조의 역학적 관계

        윤형(Hyung Youn) 한국구약학회 2020 구약논단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wisdom and creation through an analysis of Proverbs 8:22-31. With a canonical approach I tried to consider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nd the text,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der. As a result, wisdom is found to be of incredible value above what we have ever thought. First, wisdom had been in existence a very long time ago. Above all, the participation of wisdom in the creation process of this world gives us extraordinary meaning. For God did not create the world alone but with a helper named wisdom next to Him. Furthermore, this wisdom plays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Wisdom is, so to speak, not an object or a concept, but it has personality like human beings. So wisdom is often described in Proverbs as calling people on the stre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change our understanding of wisdom. The reason is that people do not own wisdom, but rather it leads them. Therefore, if we want to be wise, we have to get close to it, not learn it. One step further from there, we get to find God, the source of wisdom. So the authors of wisdom literature repeatedly emphasize that “the fear of the Lord is wisdom.”

      • KCI등재

        창세기 족보에 나타난 장자권

        윤형(YOUN Hy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장자권의 관점에서 창세기에 배치된 10개의 족보들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그 족보들이 갖는 신학적인 의미와 역할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 족보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요약하고 정리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일 뿐만 아니라, 그 안에 선택된 장자를 통한 ‘여호와의 이름 전승’이라는 깊은 신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무엇보다 이 족보들은 모세에게 와서야 알려진 ‘여호와’라는 이름이(출 6:3) 어떤 과정을 거쳐 창조 때부터 계속 전승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출애굽기의 모세 소명 기사에서 하나님이 모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너는 바로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이스라엘은 내 장자라’(출 4:22). 즉 이스라엘을 장자로 표현한다. 하나님은 왜 이스라엘을 장자로 표현하였으며, 이 장자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이에 본 논문은 족보와 장자권 그리고 여호와의 이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근하였다. 첫째, 장자권의 핵심본문인 야곱과 에서 이야기(창 25:27-34) 분석을 통해 장자권의 기원과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여기서는 장자권이 어떻게 야곱에게 돌아가게 되었는지 서술하였다. 둘째, 원역사(창 1-11:26)에 나타나는 5개의 족보분석을 통해 장자권 개념이 어떻게 그 속에 투영되어있는지 서술하였다. 이곳의 다섯 개 족보에서 장자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은 셋, 노아, 셈이다. 이들의 족보를 관통하는 것은 세대와 세대를 이어서 여호와의 이름을 잊어버리지 않고 계속 전승시키는 것이다. 셋째, 족장사로 넘어오면서 5개의 족보(창 11:27-50장)가 나오는데 이 부분에서도 장자권 개념이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분석하였다. 데라의 족보를 필두로 족장사에 나오는 5개의 족보는 집안의 실질적인 장자가 누구인지 말해주고 있다. 특히 마지막 야곱의 족보는 총 10개 족보의 결론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 장자권이 창세기 족보를 편집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10개의 족보가 장자권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면서 그 족보들은 누가 창조주 하나님 여호와란 이름을 기억하고 전달시켰는지 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and role of 10 genealogies in Genesis by analysing their correlation in view of birthright. They are not only tools which have been made to summarize various stories, but also have a deep theological mean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name of the Lord through a chosen firstborn son. Above all, they are important materials which show the process of deliverance in the Lord’s name from the beginning of creation, which was known to Moses (Ex 6:3). In Exodus, the Lord says to Moses: ‘Then you shall say to Pharaoh, thus says the Lord: Israel is My firstborn son.’ (Ex 4:22) Why did God describe Israel as firstborn son?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genealogy, birthright and the name of the Lord. At first, the origin of birthright is understood with the analysis of Esau and Jacob (Gn 25:27-34). Here it is analysed, how the birthright finally belongs to Jacob. Secondly, the study is tried, how its concept is reflected in 5 genealogies of Genesis 1-11:26. Here, it runs through the text to transmit the name of the Lord without obliv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irdly, it is tried, how birthright is penetrated in 5 genealogies of the ancestor’s tale (Gn 11:27-50). Including Terah’s genealogy, they say who is the firstborn son in the family. In particular, the last genealogy of Jacob makes a role of conclusion of the 10 genealogies. As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birthright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ompilation of genealogies within Genesis. That is, 10 genealogies have been composed under the concept of birthright. They show the trend, who remembered and were delivered the name of the Lord, God of Creation.

      • KCI등재후보

        구약 신학적 관점에서 본 하나님의 쉠/이름

        윤형(Hyung You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2

        본 논문은 구약 신학적 관점에서 성경에 사람과 하나님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름의 의미를 탐구하면서, 그 이름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발견하고 그 이름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재발견하고자 한다. 우선 이름은 한 존재의 정체성을 대변하며 그 특징과 관련하여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무엇보다 성경에는 사람과 신들, 그리고 하나님의 이름이 나타나는데 양자의 기원이 각기 다르다. 즉, 전자의 이름은 제3자에 의해 주어지는데 비해, 하나님은 다른 세계의 신들과 달리 모세에게 자신의 이름을 음성으로 직접 말해준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출 3:14). 이 동사의 어근은 ‘하야’인데, 이것은 ‘있음 또는 호흡’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니까 이것은 한 존재의 실존을 강조한다. 이와는 반대로 우상은 ‘엘릴’으로 ‘없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역사적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는데, 이에 비해 이방신들은 비역사적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제국의 붕괴와 함께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 밖에 하나님의 이름은 현존, 거룩, 인애와 진실, 그리고 힘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이름은 말씀을 통해 계속 이어지며, 특히 예언자의 입을 통해 보존된다.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을 대신한다.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 그 자체이다. 이스라엘은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이름을 중단 없이 보존한다.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이 제기된다. 과연 하나님의 이름은 이스라엘이라는 좁은 공동체 안에 숨어버렸는가? 전환점은 예수 그리스도의 출현과 함께 마련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이름이 그와 함께 드러났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이제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이름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과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그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자신의 격을 재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람들에게 자신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name" under the perspective of the old testament theology, which is variously found in the name of men and God in Bible, and to find the basic identity of the name and to refind the concept of the name. At first the name represents the identity of one being, and has its own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its owner. Above all various names of men, gods and YHWH appear in Bible. However their origi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rmer case the name has been given to them by the another. But the case of the latter is different from the gods of the other world. He reveals directly his name to Moses with the voice: I am who I am (Ex 3:14). The root of the verb is in Hebrew hyh(haya), which means "anything or breath." This verb emphasizes the existence of one Being. To the contrary idol is elil, which means "nothing". In addition the israelite God YHWH is historical as known in history of Israel. In compare to that the heretical gods are unhistorical. Because they disappear with the collapse of their empire. Besides YHWH has his own peculiar characters, which are Presence, Holiness, Mercy and Compassion, Power. But Israel forgets the holy Name YHWH in his history and calls the name of heretical gods. Nevertheless the name YHWH lives through the words of God, above all by the mouth of the prophets. The Name of God, is on behalf of God: "Nomen Dei est Deus ipse." Israel preserves continuously God"s Name of God itself behind the narrow community Israel? But the turning point is made with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Because the Name of God YHWH is revealed with him. In result one knows under the perspective of old testament theology, that the Name of God, which was revealed to Moses in Sinai Mountain, is as same as that of God of Jesus Christ. Finally man re-finds his own Person through the calling of his name. Therefore this article offers the opportunity to people, his own Identity newly to f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