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월(派越) 기술자의 베트남전쟁 경험과 생활세계의 변화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71

        The Vietnam War made a great effects not only on the Korean social structures, but also on the Korean individuals life world. However, past studies on the Vietnam War showed almost no interest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war and individuals history of everyday life or the life world. This study interviewed seven Koreans who worked for the Vinnell military support firm in Vietnam and analyzed their war experience and the changes of their life world. For the workers, the war meant an opportunity to escape from poverty, to experience new working fields and regulations, and to change their job agency and daily life. Their understanding of the war based on their life history. The workers` war experience and memory expressed in this study may offer the first step to understand a micro process for the state`s developmentalism to unite through a war with the people`s desire to be rich, and a process for developmentalism and a militarism to make a base in Korea.

      • KCI등재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의 전쟁 동원과 일상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5

        최근까지 한국의 베트남 파병에 대한 연구는 정치·경제, 국제관계 등 주로 거시적인 영역에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의 전쟁동원체제의 형성과 일상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국가의 전쟁 동원은 공적 영역인 전쟁과 개인의 사생활을 접합시키고, 일상은 전장이 재현되는 공간으로 재구축된다. 전쟁은 거시적인 사회변화뿐만 아니라 미시적 생활세계의 변화를 동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는 첫째, 박정희 정권 당시 전쟁 동원을 위한 역사·사회적 조건과 동원기제의 형성, 둘째, 전장과 일상의 접합을 통해 전쟁 동원을 원활히 하고자 했던 국가의 노력, 셋째, 전쟁 동원의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박정희 정권은 전쟁 비용은 미국에, 후방 지원사업은 대내적 자원 동원에 의지하는 ``이중의 무임승차``를 통해 전쟁을 수행했다. 파병은 내부적으로 큰 저항없이 이루어졌고, 국가는 전장과 일상을 연결함으로써 전쟁 동원의 효율성을 추구했다. 하지만 대내적인 전쟁 동원은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전쟁 미담``을 통해 홍보되는 것과는 다르게 국가의 전쟁 동원에 대한 대중의 참여와 협조는 그것이 대중들의 이해와 부합하는 한에서 효율적이었던 것이다. The studies on Korean Army in Vietnam War have usually focused on the macro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or international relations until now. However, this study centered on the formation of the state``s war mobilization and the changes in the people``s daily lives in Korea during the Vietnam War. The state``s war mobilization connected the public affairs, the war, to the private affairs, the people``s daily lives. As a result, the people``s daily lives became the places where the battlefields were reproduced. The war produced not only macro social changes, but also micro people``s daily lives. To examine these processes this article studies: 1.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mechanisms for the state``s war mobilization under Park Chung-Hee regime. 2. The state``s efforts to connect the battlefields to the people``s daily lives for its war mobilization. 3. The effects and limits of the state``s war mobilization. The Park regime depended on the USA for the cost of battlefields, and the Korean people for the cost of civilian suports by its war mobilization. In other word, the Park regime paid nothing for or had a "free ride" on the cost of battlefields and civilian supports. The Korean state could sent Korean Army without a strong opposi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pursued an effective war mobilization by connecting the battlefields to the people``s daily lives. However, the state``s war mobilization were not so easy. Although the state``s propaganda through "praiseworthy anecdotes" about the Korean Army in Vietnam War, the people``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o the state``s war mobilization depended on that the mobilization were for or against to the people``s interests.

      • KCI등재

        구술을 통해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 - 새마을지도가 "만들기"와 "되기" 사이에서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0

        이 연구는 1970년대 활동한 5명의 수훈(受勳)자의 구술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이 새마을지도자로 형성되는 동적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새마을지도자의 형성에는 새마을 교육, 상징ㆍ의례의 공급과 같은 관 주도의 ‘새마을지도자 만들기’과 정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수직적ㆍ획일적 과정이라기보다는 새마을지도자의 참여와 의미 부여가 동반된 이중의 과정이었다. 새마을지도자들은 수동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이 관 주도 새마을지도자 만들기의 또 하나의 주역이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 구술자들이 새마을지도자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는 관과 마을의 매개자로서 이들이 수행했던 활동이 이었다. 이들의 운동과정은 관에 대한 일방적인 추종, 혹은 주민에 대한 헌신을 넘어선 강제, 순응, 타협, 포섭, 회유, 속임수 등 다양한 방책을 통해 관과 마을 사이를 ‘오갔던’ 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새마을지도자의 형성은 위로부터의 동원뿐만 아니라 관과 마을 사이의 ‘유기적 통로’로서 그 경계를 넘나들었던 주체 활동의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the dynamic processes to build the leaders of the Saemaeul Movements in 1970s by using oral testimonies of the 5 interviewees who received the government`s prizes for their activities in the Saemaeul Movements. To make Saemaeul Leaders. the government used processes such as educating and supplying symbols or ceremonies for the trainees. It was a double process including both the trainee`s uniformly activities forced by the governments and their voluntary activities. They were not simply passive participants, but positive actors in the government`s processes to make the Saemaeul Leaders. They mediated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villages through policies such as coercion, adaptation, compromise, subsumption, appeasement, or trickery rather than simply followed to the government policies or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villagers. After all, making of the Saemaeul Leaders was a result of not only the government mobilization, but also the voluntary activities of the leaders themselves as mediating agenc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villages.

      • KCI등재

        베트남전쟁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윤충로(Yoon Chung-Ro) 비판사회학회 2007 경제와 사회 Vol.- No.76

        최근까지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 참전군인은 잊힌 존재였으며, 지배 이데올로기를 투영하는 작은 거울로 인식되어왔다. 이 연구는 전쟁의 피해자라고도 할 수 있는 참전군인이 왜 보수세력의 주요한 동맹세력이 되고, 지배 이데올로기에 강력하게 결박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 과정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현재 참전군인이 보여주는 집합적 정체성은 고엽제로 대표되는 육체적 고통, 전쟁에 대한 사회적 망각, 반공ㆍ발전을 위한 전쟁이었다는 정형화된 전쟁 기억의 균열 등의 요인을 통해 형성되었다. 집합적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참전군인과 단체는 스스로를 방어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의 경험, 가치, 상징 등을 현재로 불러오는 ‘재생에 의한 동원’을 시도하는데, 여기에서 핵심이 되는 것이 반공, 발전, 국가주의이다. 참전군인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강력한 친화력은 이데올로기가 그들의 집합적 정체성을 객관화하는 데 적절히 부합했기 때문이며, 이는 왜 참전군인 사이에서 지배 이데올로기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지를 설명해준다. Until now, the Vietnam War veterans in Korean society have been nobody or been recognized as simply mirrors reflecting the ruling ideology. This study tries to explain why the veterans who were suffered by the war have become important partners of the conservatives and been strongly connected to the ruling ideology. For this purpose, it researches the linkage between the ruling ideology and the process to form their collective identity, using their oral statements. The veterans’ collective identitie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factors such as physical pain represented by the agent orange, social forget-fullness of the war, and the crack of the patterned war memory which justified the war by anti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collective identities, the individuals and the groups of the veterans tried to mobilize by revival which brought the past experiences, values and images to the present, in order to defense and justify themselves. The central contents of “mobilization by revival” were anticommunism,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ism. The fitness of the ruling ideology to objectify their collective identities made affinity between the veterans and the ruling ideology. The affinity explained the reproduction of the ruling ideology among the veterans.

      • KCI등재

        특집논문 : 베트남전쟁 참전자의 삶의 맥락과 생애사적 시간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4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참전자 3인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전쟁과 압축적 산업화 시대를 살았던 ‘구체적 개인’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주류서사와 접합, 길항, 어긋남 등을 보이며 형성되는 개인들의 삶의 맥락에 주목했다. 둘째, 공식적 기억을 구성하는 객관적·역사적 시간과 연관하여 구술 자료에서 독특하게 드러나는 체험적 시간, 혹은 생애사적 시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삶의 전기(轉機)’와 ‘삶의 경로의존성’에 유의하여 구술자의 생애사적 시간에 접근하고자 했다. 3명의 구술자 모두에게 베트남전쟁은 결정적인 ‘삶의 전기’였고, 이는 각자의 삶의 맥락에서 재배열되었다. 각각의 생애사는 전쟁의 역사적 시간과 개인적 시간이 접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변화의 양태를 보여주었다. 이는 한국의 베트남전쟁에 대한 공식기억이 채울 수 없는 구체적이고 풍부한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우리가 살아왔던 세계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와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concrete individuals`` who lived in the period of the two wars in Korea and Vietnam, and the compressed industrialization of Korea, focusing on the oral life histories of the three participants in the Vietnam War.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 observed individual`s life context which formed in the process of connection, competition, and collide with the dominant narrative in Korean society. Secon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in their lived experiences or life historical time which were expressed in their oral life histories, in the connection with the objective and historical time which composed the official memory of the Korean society. Third, I approached their life historical times, considering the turning points in and the path dependency of their lives. For all the three participants in the oral statements, the Vietnam War was the decisive turning points in their lives and it was reallocated in their life contexts. Each life history of the three men showed various aspects of changes in their lives which might be expressed in the connection of the war`s historical time and their individual time. And their life histories included concrete and affluent life stories which the Korean official memory of the Vietnam War could not fill up,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a deepe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ld which we have lived so far.

      • KCI등재

        한국의 베트남전쟁 기념과 기억의 정치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6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베트남 참전과 관련된 세 가지 기념물을 중심으로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억의 재현 방식, 기념물을 둘러싼 갈등과 기억의 정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공식 기억에 대한 대항 기억의 상징으로 베트남 푸옌성에 건립된 한·베평화공원, 한국 참전군인 단체의 후원으로 베트남 하미마을에 세워진 위령비, 관주도 전쟁 기억만들기의 전형을 보여주는 강원도의 베트남참전용사만남의장, 이 세사례는 단순한 물적·공간적 의미를 넘어서 한국 사회가 베트남전쟁의 기억과 과거사에 대면해온 몇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이 기념물들은 한국과 베트남의 역사적이고 현실적인 관계를 투영하는 작은 거울이었고, 과거사를 둘러싸고 한국이 베트남, 더 나아가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만들어 가야할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금석이었다. This article studied varies methods to revive Vietnam War memory, conflicts about different memorials,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to memorize a past focusing on the three memorials for Korea``s participation on the Vietnam war. The three memorials, including Korea-Vietnam Peace Park constructed in Phu Yen as a symbol of an counter-memory against the official memory, the monument constructed at Ha My village donated by Korean veterans of the Vietnam War, and a memorial meeting place for the Korean veterans of the Vietnam War constructed in Kangwon province as a symbol of official memory of Vietnam War, showed not only as a simple material and spacial meaning but also as a method to face the memory and history of the Vietnam war in Korea society. The memorials are mirrors to reflect the Korea-Vietnam relation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ouchstones for Korea to think about new relations with Vietnam and the world based on the past history.

      • KCI등재

        관주도 기념의 정치와 새마을운동기념관 ―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윤충로 ( Yoon Chung Ro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6

        대중의 통념 속 새마을운동은 가난과 배고픔을 해결한 ‘잘 살기운동’이며, 박정희 대통령은 이를 이끌었던 지도자로 기억된다. 이러한 신화는 최근 기념관 건립을 통해 기억의 터를 마련했다. 경상북도 청도와 포항의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과 구미시의 새마을운동테마공원전시관이 바로 그것이다. 청도 신도리와 포항 문성리의 기념관은 새마을운동발상지를 둘러싼 주민들의 인정투쟁과 관주도 기념의 정치의 산물이었다. 기념관을 중심으로 한 ‘새마을운동의 성역화’는 박정희에 대한 신화화였다. 구미시는 ‘종주도시’라는 추상적 개념으로 자신의 지역적 정체성을 세우고자 했다. 이는 박정희 이후에도 경상북도에서 지속되는 새마을운동의 전통과 현재성을 강조함으로써 박정희를 기념한다. 새마을운동테마공원전시관은 박정희 대통령 생가에서 새마을운동테마공원으로 이어지는 박정희 기념공간의 일부다. 이의 건립 과정은 지역 권력을 중심으로 한 기억의 상업화, 보수적 기념의 정치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기념관이 보여주는 선별된 기억은 박정희, 새마을운동, 경제발전을 등치시킨다. 이는 1970년대 농촌의 몰락, 유신체제를 정당화했던 새마을운동, 박정희 독재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경북의 세 새마을운동기념관이 재현한 새마을 운동은 일종의 ‘상상적 노스탤지어’다. Memorialized as a ‘Wellbeing Movement’, Saemaul Undong aimed at alleviating poverty and hunger with President Park Chung-hee recognized as its leader. The myth presides in the realm of memory, framed through memorials and buildings commemorating the events of that day: Saemaul Undong Memorial in Cheongdo, Pohang, and the Saemaul Undong Theme Park at Gumi,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memorials in Chungdo, Sindo-ri and Pohang, Moonsung-ri are products of two villages struggle and the politics of commemoration driven by the local governments’ fight for recognition as the movement’s birthplace. The two memorials redefined their cities while also shaping perceptions of Park Chung-hee’s legacy. Gumi established itself with the abstract concept of a ‘Leading City of Saemaul Undong’. After Park Chung-hee's death, Gyeongsangbuk-do province has been commemorating the concept which emphasized the tradition and nowness of sustained Saemaul undong. The Exhibition Hall within the Saemaul Undong Theme Park has memorialized Park Chung-hee extending his influence and legacy from his birthplace to the park itself. In addition, local authority’s effort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se memorials also expose the commercialization of memory and the conservative politics of commemoration. The selected memory related to the memorials has been identified with Park Chung-hee, Saemaul undong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 is little mention of the collapse of farming areas in the 1970s, the role the movement played in justifying the Yushin Regime, and Park’s dictatorial and heavy-handed policies. Instead, the Saemaul Undong Memorial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reproduce an ‘imagined nostalgia’ for a movement.

      • KCI등재

        새마을운동 이후의 새마을운동

        윤충로 ( Chung Ro Yoon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09

        이 연구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 이후 새마을운동의 변화와 현재성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를 198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찾고자 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새마을 운동은 시간적으로는 연속되지만 그 형식·내용적 간극은 작지 않다. 이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새마을운동을 비교하면서 둘 사이의 연속, 변용, 단절점들을 포착하려 노력했다. 1980년대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그리고 그 이후 새마을운동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정권의 안정화를 위한 정당화 기제로서의 역할, 둘째, 국가의 수직적·중앙집중적 행정체계를 모방한 조직체계의 형성, 셋째,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체계 구축, 넷째, 국가적 동원운동에의 참여와 새마을 관료조직, 행위자의 형성 등이다. 1980년대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영향과 새롭게 구축되는 새마을운동 체계가 교차하는 시기, 민간조직을 중심으로 한 새마을운동의 토대가 만들어진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 새마을운동은 현재의 새마을운동으로 들어오는 관문, 1970년대와 현재를 잇는 ‘과도기’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and present states of the Saemaul Movement after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based on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80s.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and 1980s occur in succession, however, there are large gaps in the form and contents. We have measured the differences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and 1980s, and we tried to grasp the continuity, transformation and disconnection points the two movements. Given the relationships with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after the Saemaul Movement,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80s’ features include: the role of a way to justify the stabilization of political power, the formation system of an organization by modeled the vertical and centralism with the administration system, the system build-up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he involvement in the national mobilization, or the building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agents for the Saemaul Movement. The 1980s was the time that had been effected by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had been built for the new Saemaul Movement system, and had constructed foundation of the Saemaul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non government organization. Therefore, this period of the Saemaul Movement has a huge historical significance on the gateway to the present Saemaul Movement and ‘transitional period’ which has linked with the 1970s and the present.

      • KCI우수등재

        박정희 이후 새마을운동의 정치적 재구성과 사회적 재생산

        윤충로(Yoon, Chung Ro)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3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그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이름은 같지만 같은 운동이라고 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기억하지만 그 이후 새마을운동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박정희 정권 이후 새마을운동은 정치적·사회적 격변과 부침(浮沈)을 겪었고,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져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현실 운동으로 존재하고 전국적인 거대 조직으로 성장했다. 이 글은 박정희 이후 새마을운동을 후기 새마을운동으로 구분하고,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 과정을 살펴봤다. 이를 위해 첫째, 박정희 정권 이후 각 정권과 새마을운동의 관계를 운동에 대한 호명(呼名)과 동원이라는 기준으로 분류했다. 둘째,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생산을 지역말단 단위의 새마을 조직과 지역정치의 특성을 통해 설명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획하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정치적 상황에 수동적으로 끌려온 결과도, 탈정치적 순수 민간운동의 결과도 아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새마을 조직의 형성, 정치적 여건의 변화에 대한 새마을 조직의 대응, 중앙 조직과 구분되는 회원 조직의 일상적 활동과 운동의 재생산, 지역·지방정치와 운동의 접합 등, 위와 아래에서의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을 포괄하는 복합적 과정의 산물이다. The Saemaeul Movement of the 1970s and that of since then have the same name, but are different character. Most people remember the Movement of the 1970s, but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that of since then.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have experienced the indif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radical changes in its character, and up and downs in its political and social status, However, the Saemaeul Movement has grown into a big national organization and is a current social movement as before. This article studies the process of its change and reproduction and classifies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as a ‘Post Movement’ different form that of the 1970s. For this study, the article class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each government after park Chung-he with the criteria of the government’s recalling and mobilization of the Movement. And the article explains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ts local organizations and the local politics of Korea. The current Movement is not produced by a consistent systemic planning. Also, the Movement is not a result that has been passively dragg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or that has been nonpolitical pure civil movement. The Movement is produced by the complex processes including the changes and reproduction by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local movements and politics, the reproduction of the daily activities and movements in the provinces different from the central organization, correspondence by the organization of movement against the political changes,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in the movement.

      • KCI우수등재

        전장의 일상화와 고통의 재구성

        윤충로(Yoon, Chungro)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이 연구는 미군 폭격훈련장으로 사용되었던 매향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이 경험했던 폭력과 고통, 폭력과 공존한 일상, 저항과 고통의 사회화 과정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주민들은 냉전문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폭력’, 한미동맹으로 인한 ‘구조적 폭력’, 생명권 위협, 소음 피해, 재산권 피해 등과 같은 ‘직접적 폭력’이라는 다층적 폭력을 경험했다. 하지만 전장이 일상화된 공간에서도 주민의 삶은 계속되었다. 주민들은 폭력과 공존하는 삶을 살았고, 그 속에서 경제적 이해를 도모했으며, 소극적 저항을 통해 자신의 공간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1988년 이후 전개된 주민들의 저항과정은 개별화되어 있던 고통의 사회적 공인과 공감의 확산 과정이었다. 2005년 미군 폭격훈련장이 완전히 폐쇄되기까지 17년, 장기적 투쟁에서 주목할 점은 투쟁에 대한 ‘주민의 기억’과 ‘사회적 기억’ 사이에 나타난 시차(時差)이다. 주민들은 초기 투쟁 기간을 가장 인상깊게 기억했으나, 사회적 기억은 2000년 전국적 투쟁기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투쟁의 시차(時差)뿐만 아니라 투쟁에 대한 양자 간의 시차(視差)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이러한 기억의 구성적 특성은 폭력의 직접적인 피해자와 타자의 고통에 접근하는 외부자의 이해와 연대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This article studied the suffering and violence, daily lives mixed with violence, struggle and socialization of suffering faced by the residents of Maehyang-ri. They experienced multilateral violence such as cultural violence including cold war ideology and cold war culture, structural violence based on Korea-America alliance, and direct violence including threat of life, injury by noise, and damage on property. However, the residents’ daily lives kept going on among the routinized military activities. They pursued economic interests and tried to find their own space through passive struggle among their lives mixed with violence. The processes of the residents’ struggle since 1988 were the spreading processes of social recognition and sympathization of their individualized suffering. In the long struggle during the 17 years until closing of the shooting range of U.S air force in the 2005,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time lag between ‘the residents’ memory’ and ‘the social memory’ on the struggle. For the residents, the most impressive memory was the struggle at the beginning, but the social memory was made up focusing on the national struggle in the 2000. It was resulted not only from the time lag, but also from the parallax between the two memories. Thes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onstruction of the two memories show both the possibility and limi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by the direct victims and by the third parties, and in the solidarity between the direct victims and the third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