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작권 공정이용 제도의 개혁 논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삭제통지 절차 및 저작권 침해 판단을 중심으로-

        손승우 국제거래법학회 2014 國際去來法硏究 Vol.23 No.2

        In Son Dambi’s “Are you Crazy” Case of 2009, a plaintiff posted on NAVER(Online Service Provider: OSP) a home video of his 5-year-old daughter dancing to Son Dambi’s song “Are you Crazy.” A defendant,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KOMCA) who was the collective management entity of copyright, sent NAVER a takedown notice pursuant to the Copyright Act claiming that the video violated its copyright in the song. However, NAVER refused the claim raised by the plaintiff for resuming the reproduction and interactive transmission of the home video on the website. The Korea Copyright Act only allows the resumption of the reproduction and interactive transmission to a reproducer/ interactive transmitter who is a copyright holder or a licensee. Therefore, the plaintiff who was not a copyright holder nor a licensee, could not claim fair use of the copyrighted material to OSP. At the end, he sued KOMCA for knowingly misrepresenting his work as copyright infringement and argued the his use of the song was covered by the fair use doctrine. In a decision, the court held that the defendant must consider fair use when filing a take down notice. This article insists that the Decree of the Copyright Act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allow a reproducer/interactive transmitter to claim fair use in the resumption procedure just as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DMCA). Meanwhile, it also suggests that fair use elements especially commercial harm should be concerned by a court to determine infringement of the owner’s exclusive rights. The copyright users have recently faced with hardship regarding fair use claim because of the complexities and ambiguity of copyright rules. Since most of unlicensed users do not have knowledge on fair use doctrine, copyright owners often misuse the copyright suits and accusation. This article assets that fair use element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not just as a affirmative defense in certain cases, so that the law strikes a better balance between copyright owner’s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저작권침해 사건에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공정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여 원고의 침해 주장에 대하여 단순히 순응하고 손해배상금이나 형사 합의금을 지급하는 경우가많다. 또한 공정이용에 해당될 수 있는 패러디, UCC(User Created Contents) 등과 같이 변형적 이용을 포함한 콘텐츠의 온라인 게시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공정이용을 주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공정이용에 해당될 수 있는 이용에 대해서도 침해판단이 내려진사례가 존재한다. 현재 공정이용은 저작권침해 판단에서 피고의 적극적 항변(affirmative defense) 수단으로서만 기능하고 있으므로 외관상 공정이용이 명백한 경우에도 피고가 항변을 주장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저작권 개혁 논의에서 저작권 침해 판단 시 공정이용의 요건을 적극적으로고려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호주, 영국, 독일 등에서 저작권 제한의 확대를 위한 입법적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공정이용 법리의 적용 현실은 저작권 침해 판단에서, 그리고 OSP의 삭제조치절차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 미국, 유럽 등에서 전개되고 있는저작권 개혁 논의와 우리 저작권법상 OSP 규정의 모델이 된 미국의 DMC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저작권법을 개선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인터넷 게시판에 복제⋅전송된 콘텐츠에 대하여 저작권자의 요청에 따라 삭제된콘텐츠를 복제⋅전송자가 공정이용 사유에 터 잡아 복제⋅전송을 재개해 줄 것을 OSP에게요구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권리주장자의 복제⋅전송 중단 요구에 따라 OSP가 해당 저작물의 복제⋅전송을중단한 경우 그 사실을 복제⋅전송자에게 통보하여야 하는데, 이 단계에서 공정이용에 따른 소명을 할 수 있음을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미국의 학계에서 제안했듯이 공정이용의 일부 요건을 저작권 침해 판단 단계에서고려하도록 하여 저작권자와 이용자 간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공정이용을항변 단계가 아닌 침해 판단 단계에서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이용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제고시키고 저작권자에 의한 남소를 방지하며 부당한 저작물 삭제조치와 손해배상 요구가 점차적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페이스북(Facebook)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적 쟁점

        손승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1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표적인 사업자인 페이스북(Facebook)은 전 세계 가입자 수가 8억45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성장하였고 대규모의 개인정보를 취급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독특한 개방적 정보공유 환경을 가지고 있어서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개인정보 침해의 문제에 끊임없이 직면하고 있다. 최근 SNS가 스마트폰과 IT 기술과 만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는 페이스북에게「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고, 페이스북은 이에 따르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글은 페이스북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법적 쟁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구체적으로, 페이스북의 정보보호정책과 다양한 서비스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개인정보 유출, 아동의 회원가입 및 정보유출 등에 관한 법적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친구찾기 기능과 관련하여 회원과 관련된 모든 사람(비회원 포함)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페이스북에 전달된다는 사실이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명확히 들어나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또한 이 기능이 비회원의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자가 페이스북에 제공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점에 대하여 우려를 표시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의 회원 정보가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광고주 등에게 무단으로 제공되고, 탈퇴 후 해당 회원의 정보가 계속하여 사용된 것과 관련하여 최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동의명령을 살펴보았다. 그 밖에도 이 글은 사생활 정보의 공개, 소셜광고 등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관하여 논하였다. A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is an online service or platform that focuses on building and reflecting of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and activities. Facebook, the biggest giant SNS, has now 845 million subscribers. They disclose and share a wide variety of users' information, and Facebook also shares their information with outside application developers and advertising agents. This practices raise serious privacy issues. There has been much concern that Facebook does not take adequate steps to protect user privacy. This article examines the privacy issues including collecting information, children's privacy protection, data protection measures, and social ads, using Facebook's disputes.This article especially analyzes whether Facebook’s friend finder functionality constitutes an unlawful practice under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The friend finder induces Facebook subscribers to provide the names and email-addresses of their friends who are not even registered in Facebook. Its terms and conditions do not properly inform the users that the e-mail addresses imported through friend finder will be used to contact others. Moreover, Facebook send friendship requests to friends of its users without the friends' consent. It examines the settlement betwee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Facebook in 2011, also including U.S. FTC's settlement. For example, both settlements require Facebook to take several measures including giving users clear notice and obtaining users' affirmative express consent before their information is shared beyond the privacy settings they hav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협약과 지적재산권 및 기술이전의 조화

        손승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0 지식재산연구 Vol.5 No.1

        The environmental experts acknowledge the critical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rapid and widespread transfer and implementation of technologies to stabilize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Objectives and commitments on transfer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y(“EST”), including transfer of information and know-how, exist under the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Kyoto Protocol, and Bali action plan.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have very different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the specific impacts of climate change depend on a country’s geographical,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make a compromise on concrete implementations among the countries. Some countries view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amework is potentially an obstacle to transfer of technology to developing countries. The probability that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able to exploit compulsory licensing under the WTO TRIPs to gain access to EST is low because article 31 provides several safeguards against compulsory licensing, including domestic use only. Even when export restrictions under the TRIPs are waived, that is related to compulsory licensing of pharmaceuticals. A number of measures related to IP and other incentive schemes to promote transfer of EST c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 post-2012 climate regime. Some of the possibilities already being discussed include financial mechanisms and guidelines on IP protection for publicly-funded technologies. As one of the possible mechanisms for achieving both emission reductions and enhancement of EST transfer, this article suggests the similar approach to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When a industrialized country transfers EST to developing countries, it can obtain certain credit for emission reduction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red EST in developing countries. The mechanism enable industrialized countries to protect its intellectual property, and at the same time, developing countries to obtain EST, which ultimately encourages emission reduction. The Basic Law on Low Carbon Green Growth has recently been enacted in Korea, which adopts the Cap and Trade System and emission trading.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ncourage climate-related innovation and support so-called Kyoto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of EST so as to prepare for a post-2012 climate regime. 인류가 그동안 경제개발을 위해 배출한 온실가스로 인해 유발된 기후변화의문제는 개별 국가의 산업, 경제, 정치 등 사회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인류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세계 정상들은 1992년에 기후변화협약(UNFCCC)을 채택하였고, 1997년에는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규정한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지난 12월 코펜하겐 회의에서는2012년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체제를 논의하였으나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첨예한의견 대립으로 인하여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구속력 있는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채막을 내렸다. 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온실가스 감축기술(EST)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과 인도는EST에 대해 강제실시를 주장하지만 현행 TRIPs 협정 제31조 및 도하선언문 등을 검토해 볼 때 의약품과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을 지닌 EST에 강제실시를 허용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 글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개도국의 EST에 대한 접근 및 기술이전의 촉진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서 기술이전에 대한 경제적 유인책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즉 기술보유국은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지적재산권을 유지하면서도 EST를 개도국에 이전하고, 개도국은 이전받은 기술을 적용하여 감축시킨 온실가스의 성과 일부를 기술이전국의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이다. 이는 개도국과 선진국의 이해관계를 조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제도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최빈국에 대한 재원지원과 온실가스 감축노력에 대한 제3자의 검증체제, 등록시스템의 정비 등의 문제가 함께 해결되어야 할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하여 배출권 거래제를도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하고 있는바 향후 미래핵심환경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개발과 함께 기술이전과 관련된 교토메커니즘과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Portable SW 사용의 법적 성질

        손승우 한국경제법학회 2007 경제법연구 Vol.6 No.2

        Potable software is easily installed on any portable storage gadget a user choose – whether it’s a thumb drive, a USB storage, or a pocket hard drive – portable software allows a user to enjoy the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user's personal computer on any host PC. However, there is a copyright issue whether another copy on a portable device by using the portable software should be condemned under the Korean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This article addresses the technical concept of portable SW and examines copyright issues raised in three steps of using portable SW. Especially it applies the fair-use doctrine and the first-sale doctrine to the copyright issues, and insists that a duplication of packaged software a user owned during the packing process is belong to personal non-commercial copy and aims non-concurrent use of software, which is immune from copyright claims. Some of portable SW institut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to protect copyrighted packaged software, and the process of making copy of software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making MP3 and DVD file from analog sources. Yet, if a user copies packaged software for the purpose of distribution of them in many memory storages, it may infringe software owner's copyright. Portable SW는 사용자가 정품 보유 중인 제3자 응용 프로그램 라이선스를 자신만의 USB 메모리 등 저장매체에 담아서 제3자의 PC상에서 사용 가능 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Portable SW는 장소적 제약 없이 어느 곳에서든 자신의 환경에서 작업하던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해 주는 편의성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Portable SW는 정당한 권원을 가지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USB 메모리에 저장해서 제 3의 PC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 도구(tool)이며 이러한 도구의 사용이 SW저작권(프로그램저작권)을 침해하였는지가 문제되고 있다. 특히 스넵샵 과정과 함께 응용 프로그램의 역설치 과정인 팩(pack) 단계에서는 복제권의 침해 여부가 문제시 될 수 있다. 스넵샷 과정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정보가 응용 프로그램과 동일한 형태의 복제물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보는 당해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에 대해 정당한 권원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PC에서 직접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사적복제에 의한 사용’에 해당되어 복제권의 침해를 구성하기 어렵다고 본다. Portable SW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형태와 유사한 사적 복제의 대표적인 예로서, 개인적 사용을 목적으로 정당하게 보유하고 있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player)로 재생하거나 음악 CD에 담긴 음원을 MP3 플레이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로 변환하는 행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사적 복제에 관해 현행 법률은 그 대상이 영상물, 음원, 소프트웨어 등이냐에 관계없이 정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저작물을 개인이 비영리 목적으로 직접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당한 권원을 가진 사용자가 portable SW를 이용하여 보유한 정품 SW를 USB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행위는 사적복제에 의해 허락된다. 그러나 보유한 SW가 국내·외에 널리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서 불법 복제된 것이라면 이는 portable SW 사용 이전에 이미 저작권자의 경제적 이익을 부당하게 해하는 경우로서 저작권 침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Portable SW를 이용하여 팩(pack)된 응용 프로그램을 무력화하여 인터넷 망을 통하여 유포할 가능성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팩된 응용 프로그램을 공중이 개별적으로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수신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무단 제공할 경우에는 SW저작권자의 전송권을 침해하게 된다.

      • 사례를 통해 본 독점금지법 vs 지적재산권

        손승우,Son, Seung-U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5 디지털콘텐츠 Vol.5 No.-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 양자간에는 항상 긴장관계가 존재해 왔다. 이러한 근본적인 대립관계에도 불구하고, 양자는‘소비자 복지의 극대화’와‘창조적 활동과 공정한 경쟁의 촉진’이라는 공통된 경제적 목적을 공유하고 있다(WARD S. BOWMAN, JR.,PATENT & ANTITRUST LAW: A LEGAL & ECONOMIC APPRAISAL 1-14 (1973). 그럼 과연 독점금지법이 지적재산권자 의 권리행사를 제한할 수 있을까?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어떤 경우에 지적재산권의 행사가 금지되는 것인가? 이하에서는 최근의 ‘마이크로소프트(MS)의 끼워팔기(tying) 사건’과 특허권자에 의한 거래거절행위의 위법성 여부가 문제됐던 미국의‘코닥사건’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한다.

      • KCI등재

        Reconstruction of a Genetic Network from Gene Perturbation Data

        손승우,정하웅 한국물리학회 200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8 No.II

        We propose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a gene regulatory network from a gene expression profile. In this method we directly use the gene expression level as a weight of weighted network between genes. Each gene expression level is checked by means of a p-value test for each experiment to gain the confidence of the genetic network. We consider two different kinds of links to represent up and down regulation of the genes. Up (Down) regulation links are assigned between two genes when the gene expression level of one gene is increasing (decreasing) due to the other gene. To decipher the most prudent genetic network without degeneracy, we adapt the minimum spanning tree (MST) technique on weighted directional networks. The algorithm removes surplus links which originate from indirect effects of perturbation and results in the most concise directed network, containing two different kinds of links: positive-weight (activation) and negative-weight (repression) links. Applying the algorithm to a S. cerevisiae gene expression profile, we obtain the topology of the genetic network and find that the genetic network of yeast has a very inhomogeneous structure following the power-law degree distribution. We compare our result with a part of the genetic network of yeast known from the literature and databases.

      • KCI등재

        영업비밀 침해의 실효적 구제 방안 - ‘합리적 비밀관리성’ 기준과 ‘손해배상제도’를 중심으로 -

        손승우,문수미,박장혁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1 No.2

        지식재산으로서 경제적 가치가 큰 정보 중 영업비밀은 특허와 더불어 국민경제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산업재이다. 영업비밀은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않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합리적인 노력에 의하여 비밀로 유지된 생산방법‧판매방법‧그 밖에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로 정의된다(「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해 보호되는 영업비밀은 기업이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 등을 투자하고 연구를 통해 획득한 정보로서 기업의 생존과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인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WTO 체제의 출범과 각국의 밀접한 경제협력체계를 통하여 상품과 인력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었고 세계시장에서 기업 간 경쟁의 심화로 경쟁기업에서 영업비밀을 취급했던 직원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으로부터 영업비밀을 취득하려는 시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영업비밀 유출 문제가 단순히 기업의 생존이 아닌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주요국에서는 영업비밀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추세이다. 일본은 최근 「부정경쟁방지법」을 개정하여 침해유형을 확대하였고, 유럽연합은 새로운 「EU 영업비밀 지침(EU Trade Secrets Directive)」채택하였으며, 미국은 「영업비밀방어법(The Defend Trade secrets Acts of 2016)」 시행을 통하여 영업비밀 침해의 예방과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대한 민‧형사적 제제를 강화하였다. 우리나라도 부정경쟁방지법을 통해 영업비밀 침해에 대하여 민‧형사상 규제를 가할 수 있는 법적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영업비밀을 침해당한 기업들은 법률 상 영업비밀의 요건이 엄격하게 해석‧적용되고 있어 영업비밀의 성립과 그 침해 사실을 인정받기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실제로 영업비밀 침해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내지 충분한 권리구제가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영업비밀 보유자의 또 다른 권리구제 문제점은 손해배상액 입증의 어려움과 낮은 손해배상액의 책정으로 인하여 침해행위에 대한 권리구제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침해에 대한 형사적 처벌이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도 영업비밀의 보호가 미비한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위와 같은 영업비밀 보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정경쟁방지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영업비밀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 중 하나인 비밀 유지에 필요한 ‘상당한 노력’을 ‘합리적인 노력’으로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음에도 법원은 합리적인 비밀관리 노력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지 못하고 법원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지식재산 주요국들이 영업비밀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비밀관리성 요건을 기업의 매출과 인력 및 기술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영업비밀보호 노력에 대한 합리적 기준은 기술보호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중소기업에게 큰 의미가 있으므로 주요국의 사례를 살펴 그 기준을 조속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전문 감정인 제도’와 ‘배액배상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영업비밀 침해 시 영업비밀 보유자에 대한 민사적 구제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특히, 배액배상제도는 오늘날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징벌적손해배상을 우리법의 실정에 맞게 도입할 수 있는 손해배상제도이다. 보다 구체적인 손해배상액의 산정과 더불어 충분히 손해가 배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도적인 개선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영업비밀 침해의 처벌 대상을 침해자뿐만 아니라 영업비밀 침해 상품에 대한 규제까지 확대함과 동시에 침해자 및 실제 이익을 취하는 법인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Among information of great economic value as an intellectual property, trade secret is an industrial material which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in the national economy together with the patent. Trade secrets are defined as information on production methods, sales methods, and other technical or business information that are useful for business activities, which are not publicly known but have independent economic value and which are kept secret by reasonable efforts (The Act o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rticle 2(1)). The trade secrets protected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re information obtained by researching and investing a great deal of cost and time to secure superiority in market competition. As a result, The necessity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he launch of the WTO system and the close economic cooperation system of each country have made the movement of goods and manpower free, and the intensified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n the world market, Attempts have frequently been made to acquire.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who know business secrets can easily leak business secrets by using internet or smart phone has been created, which also causes infringement of business secrets. Globally, the issue of trade secret emerged as a national problem, not simply a survival of the enterprise. It is a tren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n the main countries of intellectual property. In Japa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amended, the European Union adopted 「The new EU Trade Secrets Directive」,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Defend Trade secrets Acts of 2016」, It is strengthening Korean civil and criminal sanctions. Korea has a legal system to impose civil and criminal regulations on trade secret infringement through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owever, companies that are infringed by trade secrets are difficult to accept the fact that trade secrets are established and infringed by the stri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rade secrets by law. Due to these problems, legitimate or sufficient remedies can not be easily recovered despite actual trade secret infringement. In addition to this, the problem of the rights of the owners of trade secrets is often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s and the difficulty of remedy for the infringement acts due to the low compensation amount. Also, it can be pointed out that criminal punishment is not being done strongly because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is insuffici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e secret protection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First, even though the ‘considerable effort’ required for confidentiality, which i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ecuring the trade secret, is relaxed to ‘reasonable effort’, the rational secretive effort standard can not be clearly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is. Second, the introduction of ‘Expert appraisers system’ and ‘Multiple (multiplied) damage for compensation’ sh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ivil relief to business secret holders in case of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Third, the punishment of trade secret infringement should be expanded not only to the infringer but also to the trade secret infringement product, and the penalty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y increasing the fines for the infringer and the corporation taking the real pro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