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적 인간관계의 전사[前史]: 이인직의 <혈의 누>, <귀의 성>을 중심으로

        배상미 ( Sang Mi Ba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본 논문은 신소설의 시초 격인 이인직의 두 작품 <귀의 성>과 <혈의 누>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에 유입된 서구의 국가관은 수직적 인간관계로 짜여 있었던 조선 사회를 수평적 인간관계로 재편되도록 만드는 계기가 된다. 근대적 인간관계의 유입은 소설에도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혈의 누>에서 결혼제도는 현재 조국의 부정부패와 구태를 야기한 근본적인 원인이다. 구완서와 옥련은 부모가 정해준 상대와 일찍 결혼하여 성욕 등 본능적 욕구에만 천착하게 만드는 기존의 결혼제도를 개혁하고자 한다. 결혼 당사자들끼리 결혼을 결정하는 새로운 결혼체계의 시도는 그들에게 문명인이 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다. 그러나 이들의 결혼은 사랑을 근거로 하고 있지 않다. <귀의 성>에서 김승지 부부의 관계는 가부장적 부부관계가 아닌 친밀함에 의거한 소통코드로 구성되어있다. 김승지 부인은 김승지가 이 소통체계에 거스르는 행동을 일삼자 그 원인이 되는 길순이를 제거하기에 이른다. 이 결과는 두 사람 사이에 친밀성의 코드가 확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부부중심의 결혼관이 성립되어가는 과정을 결혼을 둘러싼 당사자들 사이의 관계변화를 통해 보여주는 <귀의 성>과 수평적인 부부관계와 친밀성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코드를 만들어가는 <혈의 누>는 결혼관계가 가문중심에서 부부중심으로 재편되고, 결혼을 뒷받침하는 토대가 부부간의 공감과 유대로 설정되는 변화를 반영한다. 이것을 서구 근대의 결혼을 뒷받침해주는 낭만적 사랑이 나타나게 될 하나의 전초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소설에서 근대적 관계망으로의 변화는 남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남성인물은 가족관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반면, 여성인물은 가족관계에 강하게 긴박되어있다. 여성은 근대적 교육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뜻을 펼 적당한 장소를 찾지 못하고, 가족을 자아실현을 할 거의 유일한 공간으로 발견해낸다. This thesis studied the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from Lee In-Jik`s novels of Hyeol Ui Nu and Gui Ui Sung. The view of nation from western was a chance to reconstruct human relationship from hierarchical to equal. The flow of modern relationship was found in novels. The feudal marriage was a fundamental reason causing corruptions and conventions. Gu Wan-seo and Kim Ok-ryun wanted to renovate the feudal marriage. They tried to the new system of marriage that was consisted by they decided their own partner not their parent`s will but their own will. It was a important condition to get modernity. However, when they decided to marry, they did not concern the feeling of romantic love between them. In Gui Ui Sung, The relationship of Kim`s couple constructed a communication code based their intimacy not patriarchical relationship. Since Mr. Kim broke the communication code frequently, Mrs. Kim eliminated the cause, Jilsoon. The result showed us that their intimate relationship was not very strong. On the one hand, Hyeol Ui Nu showed that when a couple decided their marriage, their will became more important than their parents`, On the other hand, Gui Ui Sung made comprised coupl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de based intimacy. These two novels reflected that agents of marriage changed from parents to a couple. It could be interpreted to the sign that would be appeared to romantic love which based on modern western marriage. However, the change of modern relationship in these novels was ver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The characters of men were relatively free from family, but women were not. Women who learned modern study could not find their own place where worked using their intelligence. Family was only place to achieve their self-realization.

      • KCI등재

        논문 : 1930년대 농촌사회와 들병이 -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배상미 ( Sang Mi B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1 No.-

        본 논문은 1930년대 농촌진흥정책으로 인해 궁핍함이 날로 더해가는 조선의 농촌사회에서 김유정 소설의 들병이가 농민들의 승인 아래 농촌사회의 구성원으로 수용되는 방식을 발리바르의 인민주권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김유정 소설 속의 농민들은 농촌을 갱생시킨다는 명분하에 행해지는 일제의 농촌진흥정책에 의해 기본적 욕구마저 통제 당한다. 그들은 이에 따른 불만족을 들병이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다. 들병이는 일제의 정책을 따를 필요가 없는 등록되지 않은 자로, 일제의 통치 질서를 어지럽힐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일제의 견제를 받았다. 일제 정책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농민들은 이 같은 들병이의 성격에 동질감을 느끼고, 그녀를 농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수용한다. 농촌진흥정책으로 인한 과도한 농민 통제는 농민들의 유랑을 낳기도 했다. 농민들에게 유랑은 궁핍으로 점철된 정주지에서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로 존재했다. 김유정의 소설에서 들병이를 선망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농민들마저 등장한다. 유랑하며 성서비스를 판매하는 들병이의 삶은 물론 결코 유여하지 않지만 식민지 근대 농촌의 규율정책을 넘나들면서 일제의 공고한 통치 질서에 균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것은 불안한 정주생활로 인해 유랑이 항상적인 선택지일 수밖에 없는 식민지 조선의 농민들이 그녀에게 농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지위를 부여하는 이유이다. 김유정이 소설 속에 그려낸 농민들이 가진 항상적인 유랑의 가능성은 그가 일제 통제정책의 모순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This thesis studied the method of being accepted the deulbyung-e under the approvement of peasants in the farm village through the concept of Etienne Balibar`s popular sovereignty. Peasants in the novels of Kim, You-Jeong were controled by Japanese imperialism`s policy of agrarian promotion movement. For this reason, many peasants felt suppression from the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Male peasants were apt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deulbyung-e who wandered some farm villages selling their sexual service. Japanese imperialism observed her unfavorably, because she represented the values opposing to the policy of agrarian promotion movement such as doing not have any duty following their policies. Most peasants emphasized with her characters because of shared similarity. They accepted the deulbyung-e to their community as they also did not confirm the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The excessive control which was caused by the policy of agrarian promotion movement made peasants to decide to be wanderers. Some peasants hoped to the wandering life that would be more satisfied life than poor settled life. The being of deulbyung-e caused some cracks in the order of Japanese imperialism crossing their regulative policies. This was the reason that most peasants gave the state of same community people to the deulbyung-es in the colonized Chosun society assigned wandering was a usual choice for peasants because of their uncomfortable settled life.

      • KCI등재

        논문 : 1930년대 여성 노동자의 노동, 그리고 계급투쟁

        배상미 ( Sang Mi B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1930년대 활동한 장덕조, 최정희, 김말봉 세 여성작가들의 등단 초기작에 나타난 여성노동자의 성격을 발리바르의 논의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발리바르는 보편적인 ‘계급’ 범주가 마르크스의 전형적인 노동자가 아닌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가지는 개인들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계급은 성(sexuality)과 성별(gender)이 중요한노동조건인 여성노동자들을 설명하기에 부적절하기 때문에 ‘계급’을 넘어서는 방법론이 요청된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노동자들이 성에 대한 ‘권리’와 ‘자유’를 확보하려는 투쟁에 주목하고, 이것이 보여주는 여성노동자들의 ‘계급’과 ‘계급투쟁’을 분석하였다. 장덕조의 「저회」 는 관리자의 복장시정요구를 따르기 위해 매춘을 해야 하는 동료 노동자의 상황에 분노한 K 백화점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소재로 삼았다. 이 투쟁은 성적 착취가 강력한 투쟁의 동력이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최정희의 「니나의 세 토막 기록」은 여성노동자 니나가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면서 남성들이 강요하는 성노동의 부조리를 느끼고 공원으로 직종을 바꾼 후노동운동 조직에 가입한다. 공장에 취직한 이후 그녀는 남성들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는 자기 자신을 만들어나가고자 하고, 이것은 남성들이 선호하는 ‘신여성적’ 외향을 버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글의 마지막 분석대상인 김말봉의 「망명녀」는 기생이었던 순애가 창섭으로부터 소개받은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기생이 아닌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내용이다. 성별화된 사회구조를 설명하지 못하는 사회주의는 그녀의 노동경험을 충분히 분석하지 못하기에, 순애는 창섭을 떠나 독자적인 행보를 기획한다. 세 여성작가의 소설 속 여성들은 여성들을 성적(sexual) 대상으로 취급하고, 모든 여성들에게 성노동을 기대하는 사회분위기를 공통적인 투쟁 대상으로 삼는다. ‘여성’을 ‘여성’으로 시각화하는 ‘여성적인’ 표지는 여성들의 다양한 역할들을 은폐하고 성적 대상화한다. 노동현장에서, 일상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드러나는 여성 노동자들의 다양한 모습들은 중층결정(overdeterminate)된 그녀들의 성격을 반영한다. 이는 여성노동자계급을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의 ‘계급’으로 설명하기 어렵고, 여성노동자분석에 성(sexuality)과 성차를 필수적인 요소로 기입해야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This paper analyzed three women author, Jang Dokcho, Ch`oe Chonghui, and Kim Malbong who worked in the 1930s using the theory of Barlibar. Barlibar focused on the orthodox Marxism concept of ‘class’ cannot explain an individual who had been overlapped roles at once especially not typical proletarians. For example, ‘the class’ is not appropriate to analyze female laborers who are influenced on sexuality and gender in the working pl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ethodology to overcome ‘the class’ to see overdeterminated situation among laborers. The struggles of female laborers that achieved ‘right’ and ‘freedom’ for their sexuality are helpful to show another ‘class’ and ‘class struggle’. 「Jo-Hoe」, written by Jang Dokcho, is a story that a strike that was organized by female laborers against forced prostitution for following the supervisors` direction; wearing dandy clothes to perform her work successfully. The strike suggests that a strong struggle power would be not a class contradiction but a sexual exploitation. 「Ninaui Se T`omak Kirok」, written by Ch`oe Chonghui, Nina, a protagonist in the novel, quitted her office job and joined a labor movement organization as well as got a job at a mill factory. When she decided to change her job, she also deprived her appearance of ‘New Women’. It revealed that she wished to define her by herself not male-centric perspective. Sunae, a protagonist of 「Mangmyong-nyo」, written by Kim Malbong, also found herself escaping from a stereotyped woman symbol using socialism that was introduced by Ch`ang-sob. However, socialism was not helpful for her to achieve the purpose because it did not consider sexualized social construction. This is the reason why she left from Ch`ang-sob, and she sought to her future by herself. Women in these novels protested sexist social environment expecially sexualized women symbols and expected sexuality works to women regardless their favor. The feminine appearance is a key factor to sexualize women and cover their various roles in society. Various roles at working places, daily life, and society reflect their overdeterminated characters. This is the reason why female laborers are explained not orthodox Marxism concept of ‘class’ but the sexualities and sexual differences.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소설에 재현된 삐라를 둘러싼 정동과 출판문화

        배상미 ( Bae Sang-mi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5 No.-

        이 논문은 김말봉의 「망명녀」와 강경애의 _인간문제_를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소설에 재현된 삐라를 둘러싼 정동을 분석하고, 식민지 조선의 출판문화사에서 삐라의 위상을 분석해보았다. 이 논문의 방법론인 정동이론은 삐라의 생산자, 수용자 등 삐라를 둘러싼 다양한 몸들이 생성해내는 다채로운 작동들을 분석하도록 도와주었다. 김말봉의 「망명녀」는 기생이었던 순애가 사회운동가로 변화하는 과정을 그녀를 둘러싼 정동을 중심으로 보여준다. 이 과정은 순애가 자신의 은인을 보살피면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해나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강경애의 _인간문제_는 공장에서 유통되는 쟁의 선동 삐라를 받은 여공들이 쟁의와 삐라 배포자에 대한 복합적인 심경이 형성하는 정동을 드러낸다. 나아가 이러한 재현은 여공들의 쟁의가 자본착취만이 아니라 성차별적 섹슈얼리티 관리 규범에 맞서는 투쟁이 되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삐라의 비합법적이고 불온한 성격은 생산자들이 표현한 그 결과만이 아니라 수용자들이 이를 수용하고 만나면서 만들어지는 정동의 흐름에 있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식민지 프롤레타리아 소설들은 사회의 소외계층들이 삐라를 만나면서 형성하는 정동을 재현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출판문화사를 소외된 자들의 시각에서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aper examines affect surrounding pamphlets represented in the colonial Korean proletarian novels focusing on “The Woman Refugee” by Kim Malbong and “Human Predicament” by Kang Kyongae, and analyzes the status of pamphlet in colonial Korean publication culture. “The Woman Refugee” suggests that how Sunae has changed from Kisang to social activist following the affect surrounding her. This is the process for Sunae to seek the method to pursue her desire concerning her savior. “Human Predicament” reveals the affect caused by multi-layered feelings toward struggle and pamphlet distributors. Their affect alludes the struggle of women factory workers must resist not only capitalist exploitation but also the sexist sexuality managing rule. The recipient of pamphlet form the flow of affect and make pamphlets to be rebellious. This paper proposes the necessity to recognize colonial Korean publishing culture on the marginalities analyzing the affect they make by meeting pamphlet.

      • KCI등재

        임부의 태교무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

        배상미 ( Sang Mi Bae ) 대한무용학회 2007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51 No.-

        Recently, as more parents a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increasingly, a lot of research on the pregnant women`s prenatal care are in active, regarding its types and methods as a first step for the childre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needs of the prenatal danc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degree between the pregnant women`s prenatal care and prenatal dance, and by understanding the prenatal care that may make positive effect on the pregnant mother and fetus physically and emotionally.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urpose of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prenatal dance and further of providing the basic data to present the substantial prenatal dance program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the survey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gnant women`s recognition degree both of the prenatal care and prenatal dance. As the research too,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referring to the literatures, to conduct the one-tim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were the pregnant women who went to an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and a cultural center located in Seoul, and su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I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onclusion may be summarized largely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prenatal care showed the high value among the most of the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articipants` level of education, birth experiences, income and prenatal care experiences etc. Second, as for the prenatal dance, the pregnant women participants showed the low value among most of the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gave positive assessment on its effects and need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needs to explore further ways of future development for the prenatal dance by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degree on the prenatal dance that may make positive effects both on the pregnant women and fetus, suggesting, as the subsequent study issue, that the prenatal dan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data of this study.

      • KCI등재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연대(불)가능성; 나카노 시게하루의 「비내리는 시나가와역」과 임화의 「우산 받은 요꼬하마의 부두」

        배상미 ( Sang Mi B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조·일 노동계급연대를 주제로 삼은 나카노 시게하루의 「비내리는 시나가와역」과 임화의 「우산 받은 요꼬하마의 부두」를 비교하여 조·일 노동계급의 동지적연대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민족문제를 감득해야만 했던 사회주의자들의 의식이 문학작품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했다. 「비내리는 시나가와역」은 일본으로부터 추방당한 조선인들이 조선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일으키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천황 살해의 임무까지 수행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조선 사회주의자들을 일방적으로 일본 사회주의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는 천황제 타도의 전위로 내세우는 그의 시에서 식민자의 시선을 읽어낼 수 있다. 「우산받은 요꼬하마의 부두」는 당시 임화가 문학계 내부의 사정과 검열이라는 외부적 상황 때문에 고안해낸 여성인물을 활용한 서사시형식을 활용하여 창작되었다. 이 시는 조·일 노동계급 연대라는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는 있으나 일본 여성을 조선 남성투사의 조력자로 등장시켜 동지적 연대의 의미는 퇴색된다. 임화의 불평등한 연대구도는 시게하루를 포함한 여타 일본 사회주의자들의 제국주의적 시선을 의식한 결과이다. 「비내리는 시나가와 역」과 「우산받은 요꼬하마의 부두」는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조차 존재하는 식민자와 피식민자간의 위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임화가 호출한 여성이라는 표상은 오히려 동지적 연대의 불가능성을 더욱 더 심화시킬 뿐이다. 두 시인들은 그들의 시에서 의도치 않게 제국주의 모순과 성별모순이 착종되어 있는 사회주의 내부의 모순을 노출하고 말았다 This thesis would found how to express the consciousness of socialists who felt the nationalismproblem trough studying what was the core disorder to block proletarian solidaritybetween Korean and Japanese for comparing “Raining Sinagawa Station” written byNakano Sigeharu and “Hold an Umbrella in Yokohama Harbor” written by Im Hwa. “Raining Sinagawa Station” was consisted of Koreans who was expelled from Japan byJapanese imperialism went to Korea for improving socialistic movement, and then theycame back to Japan for killing the Japanese emperor. The poem depicted Koreans had aresponsible to kill the Japanese emperor that reflected a special Japanese situation. Wecould read imperialist perspective through that thought. “Hold an Umbrella in YokohamaHarbor” created by a kind of epic form that he developed using women character due toKorean literature world`s situation and censorship. This poem included political messageabout proletarian solid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wever, the meaning of solidaritywas very weak because of the Japanese woman who just helped Korean man. Thestructure of unequal solidarity was the result of being aware of Japanese imperialists` eyesthat Japanese socialist had. “Raining Sinagawa Station” and “Hold an Umbrella inYokohama Harbor” showed us the hierarchy between colonists and colonized peopleamong even socialists. Although Im Hwa called women symbol for escaping this situation,it intensified the impossibility of comrades` solidarity more and more. These twopoets exposed the ambivalence in socialism that was interlaced with imperial ambivalenceand gender ambivalence by accident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