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견국가와 기여외교:그 유형과 적용

        김치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2

        이 논문은 중견국가의 기여외교 유형을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 간의 균형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현실주의형·이상주의형·혼합형으로 분류한다. 나아가 이를 각각 신흥 중견국가, 북유럽 중견국가, 그리고 전통적 중견국가의 대표 사례에 적용, 그 실제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기여외교는 기본적으로 소프트파워 외교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하드파워의 열세를 공통적인 한계로 지니고 있는 중견국가들에게 매우 유용한 외교정책 수단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중견국가의 기여외교는 그 동기, 방식, 추진체계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점을 드러내는데, 이 논문은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의 상대적 부존도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 실제로 브라질과 인도 등 하드파워형 중견국가는 현실주의적 기여외교를 지향한 반면, 북유럽의 소프트파워형 중견국가는 이상주의적 성향을 나타냈다. 호주와 캐나다 등 균형적 중견국가들은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적인 모습이 공존하는 기여외교를 추구했다. 한국은 신흥 또는 북유럽 중견국가에 준하는 조건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창조적인 아이디어의 공급 등 전통적 중견국가에 가까운 혼합형 기여외교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types and cases of international contribution diplomacy of middle powers(MPs). Based on the relative endowment between hard and soft power, it classifies the ideal types of contribution diplomacy as realist, idealist and hybrid. Further it applies such typology to the cases of emerging, Nordic, and traditional MPs, respectively, and analyzes their practic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peacekeeping cooperation. The motives and methods of MPs’ contribution diplomacy are theoretically a function of the balance of hard and soft power resources, because international contribution is to increase the latter and to compensate for deficit in the former. Emerging MPs, such as Brazil and India, endowed with relatively abundant hard power, tend to follow a realist model of contribution diplomacy, whereas soft power-rich Nordic MPs follow an idealist model. And the traditional MPs like Canada and Australia are in between the two ideal types, which reflects their balanced hardsoft capabilit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Korea, a balanced MP, pursue a hybrid model of contribution diplomacy in which realist and idealist elements coexist.

      • KCI등재

        Global Financial Crisis and World Peace: The Conditional Effects of Government Capabilities

        김치욱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1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16 No.1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has had a ripple effect on the whole world. Integrating the two concepts of peace as the absence of violence and as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onsequences of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m, arguing that domestic governance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internally transmitting and cushioning the shocks of the crisis. Based on data from 149 countries between 2008 and 2009, the multivariate interactive regression models found that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governance on both negative and positive peace. When governments were effective in providing basic goods and services, the harmful impact of the crisis on peace could be decreased.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global community needs to make efforts to strengthen government capabilities in crisis-ridden countries in order to enhance the prospects of peace.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와 세계경제 거버넌스 변화: 복합네트워크론의 유용성과 한계

        김치욱 세종연구소 2011 국가전략 Vol.17 No.2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has arguably dealt a blow to the West's political economic leadership in the world, but boosted China and emerging economies up to the new powerhouses. Reshuffling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capabilities among major powers entails a more visible change in global economic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 networks, this article analyz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a new mode of economic governance. Such 'complex network governance' is a type of governance in which, along with traditional bilateral inter-state relationships, multistakeholders such a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etworks, and transnational networks shar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In particular, the G20, officially recognized as a focal point of world economic cooperation, has promoted a networked governance of world economy by functionally connecting the exist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formal and informal, state actors. The G20 has some weaknesses as a facilitator of complex network governance in that it has allowed a very limited involvement of non-state actors and that its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is still shaky. Korea's economic diplomacy needs to focus on maximizing connectedness within the networks and utilizing the overlapped and embedded governance networks.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구의 정치경제적 지도력에 대한 회의론이 비등하고 경제력의 중심이 중국과 아시아 및 신흥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세계경제 거버넌스에 중요한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이 논문은 복합네트워크론의 시각으로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의 주요 특징을 분석했다. 복합네트워크 거버넌스는 국민국가 간 양자관계뿐 아니라, 다자적인 차원에서 정부간 국제기구, 정부네트워크, 그리고 초정부 네트워크 등이 일정한 책임과 권한을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세계경제협력의 초점으로 공인된 G20정상회의는 기존의 양자 및 다자, 공식 또는 비공식 국가 행위자들을 기능적 연결망으로 꿰면서 거버넌스의 복합네트워크화를 촉진했다. 다만, G20 프로세스는 시민사회 등 비국가행위자의 참여가 제한적이고 제도로서 지속가능성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복합네트워크의 촉진자로서 일정한 한계점을 지닌다.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을 타고 가속화될 복합네트워크 시기의 한국 외교는 네트워크 내 연결성을 극대화하면서, 네트워크 간의 중첩성과 중복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 KCI등재

        케인스주의의 부활? 금융위기 이후 미국 정치엘리트의 경제담론 분석

        김치욱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2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This paper analyzes the U.S political elite’s discourse on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an attempt to assess the future of American capitalism. This discourse will set a parameter for future changes in the post-crisis global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the diagnostic discourse on the nature and cause of the crisis, Republicans emphasize that economic crises and market bubbles are spontaneous and occur even natural in the capitalist economies. Democrats, on the other hand, pay more attention to regulatory failures and the Wall Street financiers’ greed, arguing that the crisis was a man-made. With respect to the prescriptive discourse on the policy remedies to the crisis, Democrats advocate that the exceptional government interventions were inevitable to sustain the soundness of capitalism, whereas Republicans criticize the intervention as a measure that can only happen in a planned economy. Despite these discursive differences, this paper argues that American capitalism has yet to turn towards a Keynesian or state capitalist model. Instead, the Americans have opted for accepting minimal and temporary government interferences for the purpose of curing the pathologies of neoliberalistic capitalism. 이 논문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식 자본주의의 진로를 조명하기 위해 금융위기의 성격,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한 미국의 주요 정책결정자들의 담론을 분석했다. 미국 자본주의의 미래에 관한 담론은 향후 글로벌 정치경제 변화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것이다. 금융위기의 성격과 원인에 관한 진단적 담론의 경우, 위기의 자연발생적 성격을 중시하는 공화당은 자본주의 경제의 거품론을 제기한 반면, 위기의 인위적 성격을 강조하는 민주당은 월스트리트 금융자본의 탐욕과 규제 실패에 주목한다. 위기의 해법에 관한 처방적 담론의 경우, 민주당의 예외적 시장개입 당위론에 대해 공화당은 계획경제적 개입이라며 비판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과 대립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치엘리트의 경제담론이 전면적인 정부의 복귀내지 시장의 후퇴를 상정하는 모델로 향하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대신 미국 자본주의는 자유주의 틀 속에서 그 병폐를 해소하기 위해 최소한의 개입을 일시적으로 용인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세계금융위기와 미국의 국제경제책략: 지경학 시각

        김치욱 세종연구소 2020 국가전략 Vol.26 No.1

        This paper sheds light on how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ited States has carried out various geoeconomic statecraft to maintain international leadership as a rule-maker. The financial crisis raised serious questio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post-war liberal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under U.S hegemony. In response, the U.S. tried to stop a further decline of its hegemonic status by adopting geoeconomic means such as trade, financial and monetary, and investment policies. Through a more bilateral/unilateral trade policy, the U.S drastically revised free trade agreements, aggressively enforced domestic trade rules, and hard pushed for WTO reform. Financial and monetary policies pressured the economic rivals by arguing possible changes in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and tightening sanctions on currency manipulation. Third, a more protectionist investment policy strengthened the screening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restricted Chinese companies’ access to the American stock markets. These international economic statecraft causes a significant rift in the post-war economic order and its liberal belief, suggesting that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medies are necessary to brighten the dark sid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이 논문은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규칙제정자로서 국제적 리더십과 그 물질적 토대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경학 책략(geoeconomic statecraft)을 구사하고 있음을 조명한다. 세계금융위기는 전후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국제경제질서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미국은 패권 유지라는 외교적 목표 달성을 위해 무역, 금융・통화, 투자 등 경제적 수단을 동원하는 지경학 전략을 펼치고 있다. 첫째, 무역정책은 다자주의에서 소다자주의, 그리고 양자주의 및 일방주의로 이동하면서 무역제재와 WTO개혁을 추구한다. 둘째, 금융·통화정책은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지만 환율조작에 대한 감시와 제재를 강화함으로써 경쟁국을 압박하고 있다. 셋째, 투자정책의 경우, 기존 자유주의 기조에 보호주의 색채가 조금씩 가미되고 있는데,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심사를 엄격하게 하고 또 중국기업의 미국 주식시장 접근을 제한하려는 목소리가 의회를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국제경제책략은 전후 국제경제질서의 자유주의 이념에 일정한 균열을 초래하고 있으며, 소득불평등 같은 지구화의 병폐를 치유하는 데 필요한 국내적·국제적 대응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 KCI등재

        글로벌 보호무역 네트워크의 구조와 정책적 시사점

        김치욱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지역연구 Vol.31 No.2

        Witnessing the diffusion of global protectionism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article aims at highlighting its structure and policy implications using network analysis. It explores key features of global protectionism network, based on the data on 160 WTO member countries from 2008 to 2020. It finds that an increasing network density signals a more globalized protectionism, and that higher reciprocity shows the retaliatory nature of protectionist measures, and finally that the U.S.-China-India tripartite system holds a gate-keeping power within the network. Meanwhile, South Korea is at the center of protectionism-receiving networks and under greater pressure of protectionist diffusion, but lacks any structural advantage for a circuit breaker. Its corresponding trade policy needs to construct an anti-protectionism network that links G20+α countries with a new political economic model characterized by more fairness and inclusiveness. 이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에서 보호무역 조치가 확산된 데에 주목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그 구조를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시도했다.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무역기구 160개 회원국에 대한 세계무역경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보호무역 네트워크의 구도와 속성을 탐구했다. 그 결과, 차별적 무역조치를 실시하는 대열에 더 많은 국가들이 참여하여 보호무역 네트워크의 밀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 조치의 상호 맞교환이 더 빈번해짐으로써 보호무역의 보복적 성격도 강해졌다. 또한 인접국가 간의 보호무역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차 별적 정책의 확산 효과가 증가했으며, 미국-중국-인도 삼두체제는 보호무역의 문지기로서의 위치 권력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은 보호무역 수신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고, 보호무 역의 확산 압력에 더 노출되어 있다. 그렇지만 보호무역의 회로를 차단할 만한 구조적 이점은 갖지 못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G20+알파를 구성 노드로 하면서 자유무역의 공정성과 포용성 을 높이는 새로운 정치경제모델을 링크로 삼는 네트워크 통상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회의 다자외교 전략과 네트워크이론의 시사점

        金治旭 한국의정연구회 2015 의정논총 Vol.10 No.1

        이 논문은 글로벌 세력확산의 새로운 조류로서 국제의회네트워크의 부상에 주목하고 네트워크이론에 입각하여 국회의 다자외교 활성화 전략을 모색한다. 국제의회네트워크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민주성 결핍을 완화하는 정치적 보충제로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 현상은 그동안 부정적인 평가를 면치 못한 의원외교를 개선하는 기회의 창을 열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네트워크 개념을 원용하여 기존의 양자 방문외교에서 다자 의회외교로의 전환을 주문한다. 다자의회외교는 외교의 행위자, 이슈 및 대상, 그리고 공간적 범주가 다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양자 간 방문활동보다는 국제회의 참여를 강조하고, 아시아 지역에서 글로벌 무대로의 아웃리치를 요구하며, 다양한 외교이슈에 조응하는 위원회별 특화 필요성에 무게를 둔다. 아울러 다자외교 활성화에 필요한 제도적·인적·물적 인프라 개선방안을 함께 검토했다. This article explores a strategy of multilateral parliamentary diplomacy for the National Assemb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rise of international parliamentary networks (IPNs) as a new phenomenon of power diffusion in world politics. IPNs have increased their political influence because they were expected to alleviate democratic deficit in global governance. It opens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improve its diplomatic under-performance. Our research suggests the need for a shift from the existing bilateral visit-based diplomacy to a multilateral network diplomacy. This multilateral network diplomacy is based on the variety and heterogeneity of actors, issues, partners, and geographical spaces. Thus, it emphasize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arliamentary conferences rather than bilateral visits, requires outreach from Asian toward global counterparts, and issue-specific division of labor among congressional committees. Also it needs a better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personnel, and budget.

      • KCI등재

        야망격차(Ambition Gap)? 브릭스(BRICS)의 선호구조와 글로벌 거버넌스 변화

        김치욱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analyzes the preference structure and the potential of the BRICS in global governance which has symbolized a global power shift in the wake of the 2008 world financial crisis. It is required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the rising BRICS may increase the pressure on the global governance architecture. The BRICS' potential seems based on material capabilities,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like the BRICS summits, and statist development paradigm. However, its ultimate impact on the trajectory of global governance depends on the preferences as a governmental forum, too. We examined what the BRICS preferred collectively, in terms of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world security and economic govern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RICS wanted the status quo of the existing governance architecture, mostly because of domestic distributional constraints and weak coherence as an international body. 이 논문은 세계금융위기를 계기로 글로벌 권력이동의 상징으로 부상한 브릭스의 선호구조와 잠재력 및 한계를 분석했다. 이것은 브릭스의 성장이 촉발할 수 있는 글로벌 거버넌스 아키텍처의 변화 가능성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다. 브릭스의 잠재력은 물질적 능력 지표, 정상회의체 등 제도적 인프라, 그리고 개입주의 개발담론의 영향력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동시에 브릭스의 국제정치적 비중은 그 잠재력과 더불어 하나의 협의체로서 갖는 선호구조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이 글은 국제질서를 바라보는 시각, 세계 안보 및 경제 거버넌스 이슈에서 브릭스의 집단적 선호가 무엇인지 검토했다. 그 결과, 브릭스는 기존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의 현상유지를 바라는 개혁세력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정치적인 제약과 정부협의체로서의 취약한 응집력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글로벌 세력전이와 한국의 중견국 외교: 대 브릭스(BRICS) 전략을 중심으로

        김치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4 국가안보와 전략 Vol.14 No.4

        This article explores Korea's foreign policy strategies in global governance to cope with the accelerated global power transition that results from the rise of the BRICS(Brazil, Russia, India, China, South Africa). While the BRICS, as a challenger, could prompt the decline of the Post-World War II global governance architecture, it might focus on strengthening their political say within the existing liber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The future behavior of the BRICS can be both a challenge to and an opportunity for Korea in international politics. Korea needs to implement middle power diplomacy by playing the appropriate roles as a catalyst, a facilitators, and a manager, and by building a middle-power coalition and a networked diplomatic infrastructure. Specifically, Korea, as a catalyst, would increase the legitimacy of the UN system in global security, and introduce a new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 BRICS Development Bank and the existing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in global development. As a manager, Korea would stabilize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dominated by the US dollar, and make efforts to multilateralize the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FTAs). Furthermore, Korea needs to be equipped with the administrative and intellectual infrastructure for multilateral diplomacy, to reinforce the effectiveness and legitimacy of the G20, and to build a middle-power coalition like MIKTA. 이 논문은 브릭스(BRICS)의 부상과 글로벌 세력전이 속에서 중견국 한국이 주요 글로벌 거버넌스 이슈에서 추진할 수 있는 전략을 논의한다. 브릭스는 신흥 도전세력으로서 전후 글로벌 거버넌스 아키텍처의 쇠퇴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기존 자유주의 원칙과 제도 안에서 자신의 발언권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출 수도 있다. 브릭스의 행태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든 한국에는 기회이면서 도전이 된다. 이에 대해 한국은 촉매자·촉진자·관리자 등 중견국 역할에 적합한 이슈영역을 발굴하고, 대 중견국 연합 등 네트워크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테면 한국은 촉매자로서 국제안보 영역에서 UN체제의 정당성을 높이고 국제금융 영역에서 브릭스개발은행과 기존 다자개발은행간의 노동 분업을 꾀해야 한다. 관리자로서 국제통화체제에서 기존 달러체제의 안정화를 주도하고 국제무역질서에서는 중층적인 자유무역협정(FTA)의 다자화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이와 함께 일반적인 네트워크 외교 전략도 요구되는데, 브릭스의 요구를 기존 다자체제 안으로 포섭하기 위해서 다자외교의 인적·물적·지적 기반을 확충하고, 국제협력의 컨트롤 타워로서 G20의 효과성을 제고하며, 브릭스가 블록화에 대비하여 일종의 중견국 연합체를 안전판으로 구비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