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유형

        김장석(Kim, Jangsu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본고는 송국리유형의 발생지로 생각되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이른바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유형의 시공간적 관계를 논의한다. 선송국리 물질문화의 시간적 위치를 살피기 위해 본고에서는 송국리유형 외래기원설의 근거와 논리를 반박하고, 관창리 B지구를 중심으로 (1) 토기의 구연형태와 주거지 평면형태 간의 상관관계와 (2) 휴암리식 방형주거지와 송국리식 원형주거지의 공간분포 차이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서해안 지역에서 휴암리식 방형주거지는 역삼동유형을 계승한 심발형토기와 호의 기종이 주를 이루며, 송국리식 원형주거지에서는 송국리식 외반구연옹이 주로 출토된다. 또한, 휴암리식 방형주거지는 선형의 배치를 이루는 데에 반해, 송국리식 원형주거지는 군집을 이루며 분포한다. 한편 천안지역에서는 발형토기의 하한이 송국리식 원형주거지의 등장 이후까지 내려와, 지역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적 양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안은 선송국리 물질문화의 공간적 범위를 송국리유형의 발생지인 서해안과 금강중하류로 한정하되, 시간적으로 송국리유형의 발생에 선행한다고 보는 것이다. 선송국리 물질문화의 발생과 송국리유형의 형성과정에는 충청지역 내에서 인구의 재배치과정이 있었으며, 이후 송국리유형은 일종의 배타적 네트웍으로 발전하여 다른 지역과 사회경제적으로 차별적 분화해 나가며, 주변지역으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문화접변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patio-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and Songgukri assemblage in Chungcheong area, probable birthplace of the Songgukri assemblage. To examine the temporal position of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I analyze (1) relationship between rim profile of vessels and plan of houses, and (2) difference in spatial distribution between the Hyuamri rectangular houses and Songgukri round houses. Analysis shows that in West Coast area, deep bowls and necked bowls consist ceramic assemblage from the Hyuamri rectangular houses, while the Songgukri type pottery are found primarily from round houses. It also shows that rectangular houses has linear distribution, while round houses are clustered. In Cheonan area, bowls laste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Songgukri round houses, showing geographical variability. This archaeological data suggests that although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is geographically restricted to the West coast and the middle/Low Geum River Valley, it preceded the Songgukri Assemblage. The appearance of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and formation of Songgukri assemblage involved the process of population relocation in Chungcheong area. Shortly, the Songgukri culture developed an expansion resulted in acculturation of other ares.

      • KCI등재

        남한지역 장란형토기의 등장과 확산

        김장석(Kim, Jangsuk) 중부고고학회 2012 고고학 Vol.11 No.3

        이 글은 마한지역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자비용기인 장란형토기 형성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탄소연대를 통해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장란형토기는 낙랑 화분형토기의 영향 하에서 경질무문토기의 자비기능을 계승하면서 3세기 전반기에 등장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가설을 경질무문토기가 발견되지 않는 지역에 적용할 경우 여러 가지의 풀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원삼국시대 마한지역과 중부지역의 탄소연대를 취합하여, 일련의 조정과정을 거친 후,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란형토기를 반출하는 유구 중 이른 시기의 탄소연대를 가진 것들은 모두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한강유역 및 중부지역의 장란형토기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기존의 가설을 통해서는 이러한 현상이 설명되지 않는 바, 본고에서는 장란형토기의 형성과정에 낙랑의 화분형토기보다는 요동반도의 연식부로부터의 영향을 주목한다. 요동반도의 전한대 연식부는 그 형태와 유물조합에서 마한 남부지역의 장란형토기의 조형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가설보다 좀 더 설득력있는 대안적 가설이 제시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hypotheses on "Jangran-hyung Jar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by analyzing radiocarbon dates. Previous hypotheses have argued that jangran-hyung jars appeared in the early third century AD under the influence from Nakrang, replacing hard plain pottery. However, when this hypothesis is applied to areas where no hard plain pottery is distributed, many questions remain unanswered. An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of jangran-hyung jars indicates that early dates are distributed in southern area of Mahan and jangran-hyung jars then spread to the Han River Valley. Since previous hypotheses do not explain this process, this paper proposes Yan style calderons of the Liaodong Peninsula, especially those of the East Han Period, as an alternative origin of jangran-hyung jars.

      • KCI등재

        중서부 신석기시대 편년과 패총 이용전략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장석(Jangsuk Kim),양성혁(Seonghyeok Yang)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5 No.-

        본고는 중서부 신석기시대 기존 편년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의 편년안은 토기문양이 시간차를 반영한다는 검증되지 않은 전제하에 토기문양의 나열과 교차편년에 의거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이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기존의 편년이 토기문양의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북한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무비판적으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또한 패총의 점유방식을 고려하지 않은 유물복합체 간의 교차편년과 순서배열의 문제도 제기한다. 대안으로서, 본고는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을 주거유적과 한정적 행위장소로 구분하고, 패총은 여러 집단이 병참적 이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반복점유한 것임을 주장한다. 따라서 주거유적과 한정적 행위장소의 유물 구성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패총 출토 토기군의 구성이 특정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성을 반영한다는 점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와 탄소연대를 볼 때,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에는 다양한 문양전통이 지역에 따라 공존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In this paper we criticize current chronologies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and propose an alternative explanation. Based on an untested assumption that the Central-western Korean ceramic design is time-sensitive, the existing chronologies employ cross-dating and seriation of ceramic designs as the main dating methods. Questioning this assumption, we criticize the existing chronologies that they do not take geographical variation into account, and that they unconditionally follow the chronological scheme of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We also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s of current chronology, i.e., cross-dating and seriation, which do not consider the hunter-gatherer strategy for shellmidden exploitation. As an alternative, we divide th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sites into residential sites and limited activity stations, and propose that the shellmiddens in the Korean West Sea were exploited repeatedly but temporarily by various groups on the basis of logistical mobility. We demonstrate that the composition of ceramic assemblages from shellmiddens differs from that from residential sites and that it does not indicate the timing of its formation but is a proxy measure of exploitation range. Both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radiocarbon dates suggest that in the late Neolithic of the Central-western Korea various stylistic traditions coexis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

        김장석(Kim, Jangsuk),황재훈(Hwang, Jaehoon),김준규(Kim, Junkyu),오용제(Oh, Yongje),안승모(Ahn, Sungmo),성춘택(Seong, Chuntaek),최종택(Choi, Jongtaik),이창희(Lee, Changhee)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7

        본 연구에서는 기보고된 탄소연대 측정결과 중 오류 가능성이 의심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동일 시료에 대한 재측정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연대측정결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잘못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였다. 서울대와 다른 기관 사이의 연대 차이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서울대가 일관되게 다른 기관보다 이른 연대치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측정결과 중, 특정 보고일자에 이상측정치들이 집중되는 패턴이 간취되었다. 이에 문제의 데이터가 측정상의 오류에서 기인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세 단계에 걸쳐 재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재측정 결과,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특정 일자 보고치에서 반복적 오류가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문제의 일자를 제외한 서울대 측정치에는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금번 재측정실험에서 오류로 판정된 지자원과 서울대의 일부 데이터는 폐기되어야 하며, 이 결과가 편년 연구에도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방사성탄소연대자료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는 연대측정결과에 대한 무조건적 불신이 아니라 데이터와 편년안에 대한 신중한 재점검을 통한 체계적인 활용이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potential errors of already-reported radiocarbon dates of Korea, by re-dating the same samples. We compared multiple dates from the same features to asses the dataset and find problematic dates. Evaluation of the radiocarbon dataset revealed that among radiocarbon dates measured by SNU and KIGAM, anomalous dates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dates. A series of re-dating experiments confirmed our suspicions, although the general accuracy of the SNU radiocarbon dates did not have problems. We suggest that the erroneous dates that we found from re-dating be abandoned.

      • KCI등재
      • KCI등재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불확실성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이영선,이재용,김장석,Lee, Youngseon,Lee, Jaeyong,Kim, Jangsuk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방법에 내재되어 있는 변동성을 유발하는 요인과 그 크기를 파악하고, 측정치들을 기반으로 한 고고학적 연대의 합의값을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일한 샘플을 서로 다른 기관에 보내어 얻는 실험을 시행하였고,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는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측정기관, 메가샘플의 종류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방법의 변동성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각 요인으로 인한 변동성의 크기는 약 10년 내외임을 확인했다. 기관 내에 존재하는 탄소연대측정의 변동성은 각 기관에서 보고하는 측정오차로 간주해도 무방하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자료의 실제 연대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여러 개의 탄소연대측정치로부터 도출된 합의값은 실제 샘플의 연대와 일치했으며, 합의값의 변동성은 개별적인 탄소연대측정치의 변동성보다 훨씬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Use of radiocarbon dating is increasing for chronology; however, its variability and discrepancy with existing chronologies can cause doubts in regards to credibility. In this paper, we explore factors that influence radiocarbon dating variabilities. We obtained estimated radiocarbon ages by sending identical samples to several labs multiple times. A Bayesia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obtained data. From the analysis, we conclude that some factors (such as type of labs and megasamples) can induce variability when estimating radiocarbon age. We identify the size of variability caused by each factor and analyze the estimated variability in each lab corresponds with the reported variability.

      • KCI등재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황재훈(Jaehoon Hwang),김장석(Jangsuk Kim),이영선(Youngseon Lee),이재용(Jaeyong Lee),송아름(Areum Song),김준규(Junkyu Kim),박지영(Jiyoung Park),양지원(Jiwon Yang),양혜민(Hyemin Yang),강승호(Seungho Kang),오용제(Yongje Oh),안승모(Sungmo A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Old wood effect refers to an error derived from difference between archaeological target date and radiocarbon dates of wood samples. Schiffer (1986) suggested that this effect would lead to radiocarbon dates older than target dates, and tha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aeological context of dated samples and measured date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o resolve this problem. To examine old wood effect, we compare radiocarbon dates of wood and bean samples found together in a house in Gahakdong settlement sites, Gwangmyeong. Our experiment shows that old wood effect is not involved in this case. We also collect dates of wood and short-lived plant samples co-found in the same context and compared them. It is suggested that the degree and frequency of old wood effect can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ntexts. 고목 효과란 목재의 14C를 사용해 연대 측정하는 경우 벌목 시점과 사용 및 탄화가 일어났던 시점 사이에서 연대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고목 문제를 처음 제기한 쉬퍼(1986)는 목재 시료의 연대 상향 의 가능성을 경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목재 특성과 용도를 비롯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된 탄소연대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고목 효과를 어떤 수준에서 이해하고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연구팀에서는 광명 가학동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대상으로 고목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목재 11점과 종자 시료 39점의 탄소연대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학동 1호주거지에서의 고목 효과는 통계적으로 볼 때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고는 이에 더하여 우리나라 전체 탄소연대 자료에서의 고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 유구 내 종자와 목탄의 공반 사례를 집성하여 양자 간 편차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고고학에서 고목효과가 근본적으로 개입되어 있지는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 다만, 원삼국~통일신라시대의 경우 목탄 이 종자에 비해 이르게 측정된 사례가 많은데 반해, 신석기~청동기시대 자료에서는 양자 간 편 차를 확인할 수 없었다. 목탄 연대치가 종자의 연대치보다 이른 모든 사례가 고목 효과인지 아니 면 다른 요인이 개입되었는지를 단적으로 판정할 수는 없지만, 원삼국-통일신라시대 자료에서 확인되는 종자와 목탄 간 편차는 고목 문제가 문화적, 환경적 조건에 따라 달리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