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진통억제재로서의 Nifedipine과 Ritodrine Hdrochloride가 심혈관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수평,이종건,신종철,사진,이종승,백은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8

        The selection of a tocolytic agent must weight both the safety and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regimen. Ritodrine hydrochloride, a B-sympathomimetic drug, was approved for use as a tocolytic agent. However,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side effects induced by this agent. Recent investigations have indicated that nifedipine, a calcium channel entry blocker,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preterm labor. This prospective study compared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effects measured in associated with nifedipine and ritodrine. Nifedipine caused generally minimal cardiovascular changes. On the other hand, ritodrine caused more pronounced cardiovascular changes than nifedipine. Nifedipine makes no significant alteration in serum electrolytes except calcium. However, ritodrine makes significant changes in serum potassium, calcium and chloride(p$lt;0.05). Nifedipine was not associated with a dramatic hyperglycemia, but ritodrine makes significant changes. Both agents had a hemodilutional effect. It was suggest that nifedipine for preterm labor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hemodilutional change, but hardly the adverse cardiovascular or metabolic effects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ritodrine.

      • KCI등재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치명적인 태아 기형의 임상적 고찰

        김수평,사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1993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 성가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6757명 중 중증 선천성 기형을 보인 108명 중 산전 초음파에 의하여 치명적인 태아 기형으로 진단 후 임신 조기 종결한 3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명적인 태아 기형의 빈도는 총 출산아 중 0.47%, 중증 기형아 중 29.62%를 보였다. 2. 산모 연령별 기형 발생 분포는 21∼35세의 산모에서 나타났으며 20세 이하나 35세 이상의 연령에 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분만 횟수별 치명적인 기형 발생 빈도는 초산 부와 경산부에서 차이가 없었다. 4. 성별 치명적인 기형 발생 빈도는 여아 0.56%로 남아 0.39%보다 높았다. 5. 임신 조기 종결된 기형아의 임신 주수는 28주 이하가 93.72%였으며 조기 종결된 기형아의 몸무게 는 1000 gm 이하가 84.37%를 보였다. 6. 치명적인 태아 기형의 기관별 발생 빈도는 중 추신경계가 46.87%로 가장 높았으며 비뇨 생식기계 이상이 21.87%, 근골격계 및 피부 9.37%, 그리고 심혈관계 6.25%순을 보였다. 단일 치명적인 기형아는 무뇌아로 11명(34.37%)이었다. 7. 치명적인 태아 기형에 대한 내부 장기의 선택 적 부검은 17예로 53.12%였다. We have observed 32 cases of lethal anomalies by antenatal ultrasonogram, based on the 108 cases of major congenital anomalies among 6757 newborns delivered from Jan. 1, 1993 to Dec. 31, 1995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oly Family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The analys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he lethal anomalies were 32 cases among 108 congenital anomalies (29.62%), 6757 newborns (0.47%). 2. The incidence of the lethal anomalies over 35 and under 20 years old was absent. 3. The incidence of the lethal anomalies according to par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multipara groups and nullipara groups. 4. The frequency of the lethal anomalies in female baby (0.56%)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baby (0.39%). 5. Each incidence of the termination of the lethal anomalies less than 28 weeks gestation and 1000 gm was 93.72%, 84.7% respectively. 6. The incidence of the lethal anomalies were 46.87% in central nervous system, 21.87% in genitourinary system, 9.37% in musculoskeletal & skin, and 6.25% in cardiopulmonary system. The most single anomaly among the lethal anomalies was anencephaly (34.37%). 7. The incidence of selective autopsy among the lethal anomalies was 17cases (53.12%).

      • KCI등재

        초기임신에서 16 주 사이의 자궁동맥 혈류속도파형의 양상

        김수평,이진영,신종철,백은정,최명희,곽은정,신재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내원한 초기임신에서부터 16주사 이의 정상임산부 90명에서 시행된 90회를 대상으로 경질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좌, 우 자궁동맥의 혈류속도 파형을 임신주수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산부의 평균연령은 27.8+-3.4세였고, 평균분만력은 1.4+-0.5회였다. 2.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자궁동맥의 이완기말 혈류속도가 증가하는 파형과 특징적인 diastolic notch가 발견되었다. 3. 좌, 우 자궁동맥의 도플러 지수는 임신주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좌, 우 자궁동맥의 평균 도플러지수는 임신주수가 진행되면서 전반적으로 계속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궁동맥의 혈류는 초기임신부터 시작하여 임신 16주이전에 이미 상당 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태아의 건강상태 및 예후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경질 도 플러 초음파의 조기 이용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Doppler studies of ueterine artery in normal pregnancy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in diastolic blood flow starting early in the second trimest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whether uterine artery flow velocity waveforms decrease as advancing in gestational age and to compar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D ratio between both uterine arteries from early pregnancy to 16 weeks in gestation. We conducted a study using a transvaginal pulsed wave and color Doppler in 90 normal singleton pregnant women, with a total of 90 instances. There was a progressive increase in end-diastolic velocity wave form with gestation. Diastolic notches were noted in all of cases. There was prograssive fall in S/D ratio with advancing in gestation. between right and left uterine arterises, S/D ratio in all gestational ag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estational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istance to uterine blood flow is already getting a reduction in early pregnancy.

      • KCI등재

        임신 18 주미만에서 경질초음파에 의한 제대동맥 혈류속도파형의 양상

        김수평,이종건,나덕진,신종철,이종승,이원희,박미숙,장석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0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내원한 임신 18주미만의 정상 임신부 79명에서 시행된 79예를 대상으로 경질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을 임신주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 S/D ratio, pusatility index(PI) resistance indec(RI)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은 임신 7주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2. 제대동맥의 이완기말 혈류속도파형은 임신 11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임신 12주에서 23.5%, 임신 13주에 45.5%, 임신 14주에 77.8% 그리고 임신 15주이후에는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다. 3. PI는 임신 8주(1.44+-0.10)부터 임신 14주(2.11+-0.25)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임신 15주(1.77+-0.21)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RI는 임신 11주에 0.98+-0.06이었고 임신 17주에는 0.76+-0.05이었으며, 임신주수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S/D치는 임신 12주에 10.99+-6.12이고 임신 17주에는 6.34+-0.91이었으며, 임신주수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은 지금까지 알려진 임신주수보다도 일찍부터 변화하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경질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건강상태 및 예후 등을 조기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value of Doppler studies during the pregnancy is well known and documented. Most Doppler investigations of the umbilical artery, however, have been comfined to 16 weeks or greater in gestation and the experience with Doppler measurement in early pregnancy is very limited.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transvaginal color and pulsed wave Doppler system has allow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tal blood flow velocity in early pregna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the umbilical-placental circulation before 18 weeks in gestation. We studied 79 normal singleton prenanacies with a transvaginal color and pulsed wave Doppler system on 79 occasions between 7 and 17 weeks in gestation. Systolic/diastolic(S/D) ratio, pulsatility index(PI) and resistance index(RI) were used for flow velocity waveform analysis. We observed the umbilical waveforms as early as 7 weeks. End-diastolic velocity(EDV) was observed in 11 weeks, then progeressive development of EDV appeared from 11 to 15 weeks. And EDV was developed after 15 weeks gestation in all cases. RI and S/D ratio progressively decreased from 11 and 12 weeks with advancing gestational age, respectively. A decrease in PI from 15 weeks preceded by and increase from 8 to 14 weeks. This study suggests tat Doppler velocimetry of the umbilical artery in early pregnancy may provide a functional display of the evolution of the placental vascul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