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Gregorian chant 의 Centonization 기법에 관한 연구
김문자 한국음악학회 1986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5 No.1
Gregorian chant had been transimitted orally before the music notational devices were developed in the Middle Ages. Therefore, Gregorian chant perfomances in those days depended upon memories and improvisations of a performer. As L. Treitler says, remembering is the reorganizational process of patterns accumulated through experiences. A person accumulates a stock of melodies according to the liturgical time and occasion since he becomes a choir boy. These are melodic patterns or, as W. Apel calls them, "standard phrases" which are used during Gregorian performances. That is, some Gregorian chants are composed by connecting these standard phrases one after the other, or by combining standard phrases and improvised sections in between. As a result, same phrases appear in a group of different Gregorian melodies, earning the name "wandering melismas." This "patch working" of standard melodies is called a centonization technique which is an unique characteristic of Gregorian chant. The centonization technique is especially eminent in Graduals, Responsories, and Tracts. This paper examines the technique by presenting standard phrases of each group above and analyzing in the chants selected from Liber Usalis.
무궁화(Hibiscus syriacus L.)의 화기조직 배양에 의한 callus 및 배의 유기
김문자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5 No.-
무궁화의 화뢰절편 배양시 온도 전처리와 배지의 종류 및 물리적 상태가 소포자 또는 체세포 유래의 캘러스 및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소포자 유래의 캘러스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배양후 2-3 주일이 되었을 때 화사 유래의 체세포성 캘러스와 배가 발생하였다. 캘러스의 발생은 고온처리나 무처리에 비해 저온처리시에 높았다. 생장조절제는 benzyladenine(BA)이나 2,4-dichloro-phenoxyacetic acid(2,4-D)의 단독 첨가보다는 1 mg/L BA와 0.1 mg/L 2,4-D를 혼합하여 첨가했을때 캘러스의 발생이 높았으며 BA 1 mg/L를 단독으로 첨가했을때 배가 발생하였다. 배지의 물리적 상태는 액체나 반고체 보다는 고체상태에서 캘러스의 발생이 높았다.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physical condition of medium on callus induction in Hibiscus syriacus L. by culture of flower bud segment. Calluses and embryos were formed only from the surfaces of filament within 3-4 weeks after culture. The maximum frequency of callus formation was obtained at low temperature pretreatment. High temperature pretreatment did not enhanced callus induction. Optimal condition for induction of callus was found to be a medium containing a combination of BA(1mg/L) and 2,4-D(0.1mg/L) and for induction of embryo was to be a medium containing BA(1mg/L). Better results for callus induction were obtained when solid medium used rather than liquid or semi-solid medium.
고추(Capsicum annuum L.)의 약배양 시 온도 전처리가 소포자 활력 및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문자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1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10 No.1
고추에서 약배양에 대한 반응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진 품종인 밀양재래의 약을 2,4-D와 kinetin이 각각 0.1㎎/L씩 첨가된 배지에 치상한 후 4℃와 32℃의 온도 전처리가 소포자의 활력 및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포자배의 발생은 4℃ 처리에 비해 32℃ 처리에서 높았으며 가장 효과적인 고온처리 기간은 4일 이였다. 이에 비해 4℃ 처리에서는 2일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소포자배의 발생이 감소되었다. 활력 있는 소포자의 비율은 모 식물로부터 채취하여 치상할 당시에는 60-65% 정도였다. 그러나 치상 후 온도처리 기간 중에는 급속하게 저하되었으며 4℃ 처리에 비해 32℃ 처리시에 더욱 감소하였다. 배양 후 2일이 경과했을 때 이미 4℃ 처리에서는 약 41%로 감소되었고 32℃ 처리에서는 더욱 심하게 감소되어 32%가 되었다. 배양 14일이 되면 온도처리와 관계없이 활력있는 소포자가 거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배양 중의 소포자배 발생은 초기의 소포자 활력과는 상관없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고추(Capsicum annuum L.)의 웅성배우체 발달
김문자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8 No.-
고추의 소포자 분화 발달 기작을 밝히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자연상태에서 웅성배우체 발달에 따른 세포학적 변화를 DAPI 염색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소포자 모세포의 감수분열 결과 생겨난 4분자기의 소포자 배열 유형은 tetrahedral type 이였다. 사분자의 callose 벽을 터트리고 나온 직후의 소포자는 크기가 작고 액포가 없었으며 핵은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소포자 분열 결과 영양세포와 생식세포가 생긴 화분이 발달되었다. 드물게는 두핵이 모두 분열 중인 2핵성 소포자와 같은 비정상적인 화분도 나타났다. 소포자분열 직후의 두 핵간에 차이가 없었고, 2핵 소포자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소포자배 발생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사실로 생각된다. Developoment of male gametophyte of Capsicum annuum L. was investigated cytologically using the fluorochrome DAPI to stain DNA. The formation of mirospore occurred following meiosis in the microspore mother cells. A freshly formed spore is rich cytoplasm with prominent and centrally located nucleus. Soon after its release from the tetrad the microspore undergoes a rapid expansion, and its volume increases many folds in a short period. The initial expansion of the microspore is without an apparent vacuolation but later vacuoles appear and cytoplasm comes to form a thin film around the wall. During gametogenesis, the microspore nucleus divided to form a generative cell and vegetative cell. Rarely abnormal binucleate microspore with both nuclei dividing was occurred. An important features of early differentiation of pollen grain are the two identical nuclei which can be detected immediately after the microspore mitosis and the appearance of binucleate microspore resulting from symmetrical division.
온도 전처리와 모식물의 품종이 고추(Capsicum annuum L.)의 약배양에 미치는 영향
김문자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 硏究論文集 Vol.6 No.-
고추의 약배양시 고온 및 저온의 온도 전처리와 모식물의 품종에 따른 차이가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후 4-5 주일이 되었을 때부터 약강 내에서 소포자 유래의 배와 캘러스가 발생하였다. 배의 발생은 계룡산 재래와 밀양재래 두 품종 중 밀양재래에서 높았다. 배와 캘러스의 발생은 고온처리에 비해 저온처리에서 높았으나 저온처리에서 발생한 배는 대부분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였고 고온처리에서는 배의 발생은 다소 낮았으나 대부분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였다. Anthers of Capsicum annuum L. were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1 mg/L 2,4-D and 0.1 mg/L kinetin.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pre-treatment and cultivars of donor plant on induction of microspore embryo was investigated. Calluses and embryos were formed 3-4 weeks after culture. Milyang-jare was superior to the Geryongsan-jare for microspore embryo induction. Low temperature treatment produced relatively high responsive anthers and embryogenic callus but embryo growth was abnormal. Anther response was slightly low in high temperature treatment but embryogenesis was normal.
金文子 水原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
This thesis to study the Costume in the Palhae Dynasty. Through the tombs and frescos, men in the Palhae Dynasty weared Malack and Boktu on the head. They also weared Danryangpo and boots or Samsin. Girdles were made by attaching Square or D-shaped gold, silver, gilt-bronze plates to leather belts. Women weared YooKoon and Daesoopo, Pyo. women's hairpins and combs are made of gold, silver, copper, wood and bone. In the Ornaments Earrings consisted of a ring to hang the earrings to the ear, a middle ornament hung from it to a pendants which hung below. Necklaces were consisted of row of beads. Bracelets were shaped of circle and oval. Rings were made by gold, silver, bronze and most simple style.
豊臣政權期에 있어서 자연재해와 대외관계 -地震과 水害를 중심으로-
김문자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0 일본연구 Vol.14 No.0
本論文は1990年代以後、日本の歷史學で``環境史``の硏究が活發に進行している中で、``戰爭と自然災害`` ``戰爭と環境``というテ―マで豊臣政權期に發生した自然災害(地震と水害)が對外關係、特に朝鮮侵略(壬辰丁酉倭亂)とどのような關わりを持っているのか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結果、豊臣政權の初期に現れた水害と地震が對內外的な政治狀況に影響を及ぼしたことはあまりみられない。特に當時の人人の間で洪水、風害という災害は振り返して發生するものとして認識したので、ある程度こうした災害に對應し、また防止することに努めたのである。地震の場合も ``天正地震``と呼ばれる大地震があったが、發生した地域は、三河と東海、北陸、美濃、尾張、伊勢、近江など政治權力の中心地であった京都、大坂地域とは距離があったので政治的に大きな影響を與えなかった。一方、豊臣政權の後期に發生した水害と地震の被害は初期とは異なり、京都という政治のシンボルで中央政治の中心地域で發生したので、この災害の影響は大きかった。特に伏見で起きた地震は秀吉に政治的な危機意識を一層感じさせたのである。なぜならな當時の人人は大地震が發生すれば兵亂が起きる可能性が高くなり、また爲政者の權力構造に變化がおこりやすいことと地震發生を理解したからである。本論文では豊臣政權期の水害と地震發生という自然災害が ``秀次事件``と ``秀吉の病死風文``、``日明講和交涉の破綻``という對內外的な狀況と絡み合って人心の動搖や反亂の兆し、社會混亂などを吹き起こしたことに注目した。こうした狀況で秀吉が今まで總動員して敢行してきた侵略戰爭が水泡に歸し、國內の情勢さえも不安な狀態になると、自分の率いる政權を維持するため、またほかの突破口をさがすため朝鮮を再び攻擊した点を明らかにしたのである。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정서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신장
김문자 국립특수교육원 1997 현장특수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정서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습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조합형 행동수정기법의 모형을 설정하고, 그 기법을 적용하여 정서장애아동들의 사회적 기술의 변화 정도를 밝힌 것이다. 1. 모델링-반응대기-정적연습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조합형 행동수정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사회적 기술의 습득 결함을 교정하고 바람직한 기술의 수행 빈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2. 조합형 행동수정기법의 모형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협력기술ㆍ주장기술ㆍ감정이입기술ㆍ자기통제기술 습득의 영역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정서장애아동의 부족한 사회적 기술의 사용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적응능력을 신장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서장애 아동들의 부족한 사회적응능력의 신장을 위하여는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더 중도의 정서장애아동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金文子 水原大學校 1996 論文集 Vol.14 No.-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tyle of the Bronze Shoe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States. Through the tombs bequests, be based on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shoes, the styles of the Bronze Shoes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spike, and dependent plaque Bronze Shoes and others. All these type of Bronze Shoes were used the techniques of the openwork and repousse and not a marked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