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에서의 수업방법의 변화

        길양숙,Kil, Yangsook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이 연구는 중학교에 자유학기를 실시함으로써 교사들에게 교육과정, 수업방법, 평가방법의 선택에 자유를 주고 자유학기의 성적을 고교입시에도 반영하지 않도록 하여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과 목표에 부합하는 방법을 선택할 자유를 주었을 때, 수업방법에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하여 자유학기를 실시한 8개 학교의 교육계획서를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을 각각 33명씩 면담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 된다. 첫째, 모든 사례 학교들은 자유학기 교육계획서에서 맹목적인 지식 암기가 아닌 의미 있는 학습방법들을 나열 하였다. 그러나 자유학기제의 수업방법은 자유학기 정책지침에서 예시한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둘째, 자유학기제로 인한 교육방법의 변화는 학생참여를 증진하는 활동 첨가로 특징지어졌다. 셋째, 수업방법의 변화는 진로체험, 과학실험의 증가, 2주에 한 번 정도의 협동학습, 한 학기에 한두 번 시도하는 융합학습, 드물게 발견되는 거꾸로 수업 정도로 제한적이다. 수업방법의 변화로 인한 효과는 학생의 흥미 및 자신감 증가, 자주적 학습태도, 창의성, 문제해결력, 협동심의 신장으로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hanges in teaching methods when freedom to choos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s is allowed and when 'free semesters' are free from entrance examination for high school. For this question, we analyzed free semester education plans of eight sample schools and interviewed 33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ll schools planned to use teaching methods for meaningful learning, although they are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in guidelines for free semester. Secondarily, teaching methods adopted for free semester were characterized as activities enhancing student participation. Thirdly, teaching methods such as career exploration, scientific experimentation, cooperative learning, flipped learning, interdisciplinary learning were used only a couple of times in a semester. Changes in teaching methods were referred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self-regulation,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교사들이 경험하는 학교문제의 경력, 근무지, 직급별 차이

        길양숙(Kil, Yang-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이 연구는 교사들이 당면하는 전형적인 문제 50개를 대상으로 이들을 경험하는 정도가 교사의 경력, 근무지, 직급에 따라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과 학교급을 고려하여 179개 학교에서 선정한 교사 748명이었다. 설문조사는 우편으로 이루어졌다. 리커트 척도에 따른 응답은 변수별로 F 검증과 Scheffe의 사후 검증, 또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변수가 모두 교사가 경험하는 학교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영향력은 달라서 경력에 따라 학교문제의 경험 정도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인 경우는 50개의 문제 중 22개(44%)였다. 근무지에 따라 차이가 난 문제의 수는 16개(32%)였다. 직급에 따른 경험 정도의 차이는 13개(26%)였다. 구체적인 문제에서는 예상과 다른 결과도 발견되어 후속 연구의 필요가 논의되었다. 이 연구는 변수에 따라 교사들이 경험하는 학교문제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교사교육, 연수, 지원정책 계획 시 주목할 학교문제의 목록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 prevalence of the school problem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varied upon the years of experience, location of school, and the teachers’position. Subjects were 748 teachers selected from 179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in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F-test and Scheffe test or T test.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the problems were varied upon context variables. Forty-four percent out of the 50 problems in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the years of experiences in the prevalence. Thirty-two percent of the problems showed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upon the location of school. Twenty-six percent of the probl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position. This study clarified where the differences of prevalence were and the problems to focu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면담에서 관찰된 자유학기 교육과정 재구성 원리

        길양숙(Yangsook Kil)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이 연구는 자유학기를 처음 도입한 8개 중학교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참조한 교육과정 재구성 원리를 8개 학교의 교사 포커스 구룹 인터뷰(8회에 걸쳐 총33명 참여)를 통하여 탐색하였다. 면담은 학교별로 자유학기 업무 담당 교사 2~5명씩 1~1시간 반에 걸쳐 이루어졌고, 면담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각 교과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교사들이 사용한 원리들은 다음의 아홉 가지로 요약된다: ① 내용체계가 유연한 과목이고, 시험부담이 적고, 재량권을 보유할 때 재구성을 시도한다. ② 핵심 성취기준은 포함하고, 유사한 기준들은 통합한다. ③ 내용에 위계가 강한 교과는 내용체계를 유지하되, 단원별 깊이만 조절한다. ④ 다음 학년과 연계성이 있는 것은 포함한다. ⑤ 생활에 활용할 지식과 체험을 중시한다. ⑥ 학생의 수준에 맞는 것을 포함한다. ⑦ 다른 기회에 배울 수 없는 것을 넣는다. ⑧ 시간이 덜 드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⑨ 시수가 줄어든 만큼 내용 분량을 줄인다. 이 결과는 시수 변동, 교사의 자율성, 시험으로부터의 자유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촉진하는 요인이며, 자유학기가 기대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a free semest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ight focus group interviews. Thirty-three teachers from eight schools were the interviewees. Data analysis method was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nine principles were found as follows: ① Curriculum reconstruction occurs when the content is less hierarchical, the burden regarding assessment is small, and autonomy is given to teachers; ② Core competencies are included and are combined upon similarity; ③ Hierarchical subjects keep their content structures and vary only on depth; ④ Contents related to higher grades are retained; ⑤ Contents related to daily life are emphasized; ⑥ Competencies matching students’ abilities are included; ⑦ Contents that cannot be learned in other grades are included; ⑧ Less time-consuming contents are preferred; ⑨ As avaliable time for teaching is reduced, the content is also deleted as such. The results imply that the change of instructional time per week, freedom for reconstruction, and freedom from the test are the facilitating element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at the free semester curriculum is being carried as intended.

      • KCI등재

        수업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맥락

        길양숙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252명의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업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사회-문화적 맥락의 내용을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교실 수업의 의미 있는 맥락을 구성하는 요인은 다음의 7가지로 확인되었다: ① 행정 여건, ② 입시 및 상대평가, ③ 교사, ④ 수업 보조자료, ⑤ 교직풍토, ⑥ 업무의 양, 그리고 ⑦ 학급환경.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수업개선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업무의 양을 꼽았다. 중등교사는 입시 및 상대평가를 그 다음으로 지적하였다. 전체적으로 교사, 학급환경, 입시 및 상대평가의 영향력은 중간순위로 지각되었다.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요인은 교직풍토, 수업 보조자료, 행정 여건이었다. 그러나 이 요인들이 모두 3. 3이상의 점수를 받음으로서 모두가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요인들은 교실 내외의 직접적인 교육적 맥락의 성격을 띠었고, 교사들은 신념과 교육적 맥락의 영향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Human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ir contexts. Teaching behaviors and the methods used by the teachers are no exception. This has been proved by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urveyed 252 teachers to explore the content of those context. Several questions that explore the reasons to select particular teaching behaviors were designed. Though teachers sometimes showed contrastiong responses according to the question, it has been interpreted as an evidence that show the conflict between belief and the reality. That conflict is assumed to result in stress to the teacher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 major factors that hinder the innovation of teaching methods have been identified. They are as follows: 1) magnitude of duty. 2) existence of college enterance examination and norm-reference test, 3) classroom environment, 4) teachers' concerns for the students and their adaptability, 5) climate of teaching profession, 6) teaching tools, and 7) administrative condition. The more influential factors seem to be more direct education context. Other factors were not as strong as that.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들이 사용하는 수업방법 및 교수행동의 분석

        길양숙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들이 사용하는 교수행동 및 수업방법의 특징, 그리고 그것을 설명하는 주제를 탐색하였다. 교수이론과목을 수강하는 53명의 국어, 사회, 과학 교사의 수업비디오를 관찰한 결과, 도입, 전개, 정리단계에서 총 22개의 교수행동 범주가 발견되었다. 수업방법은 설명이 주를 이루지만, 축약된 직접교수법과 탐구학습, 변형된 탐구학습, 온전한 형태의 직접교수법, 기억법도 발견되었다. 교수행동과 수업방법의 수행은 효율적인 수업의 원리와는 거리가 있었으나, 갈등하고 노력하는 모습도 드러났다. 이런 수업모습을 설명하는 주제로 "진도의 확보", "내용 중심적인 수업", "교사중심의 수업"이 추론되었다. 각각의 교수행동은 이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해석되었다. Human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ir contexts. Teaching behaviors and the methods used by the teachers are no exceptions. So, it is expected that Korean teachers will show unique teaching behaviors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behaviors and teaching methods adopted by the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Classroom teaching of 53 teachers(15 social studies teachers, 14 mathematics teachers, 14 science teachers, and 10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videotaped for an hour each. Teaching behavior categories were developed. Reliability for classifying teaching behaviors was .82. Teaching method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rom codified teaching behavio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ethod is direct instruction(90.6%). A few cases of "simplified" discovery learning and one case of mnemonics were found. Even the direct instruction was simplified. That is, one or more steps of direct instruction were dropped in the process. 2. Typical classroom teaching consists of review of previous lessons, goal introduction, teachers' explanation, review, and attempts to induce student participation such as having students read textbooks and questioning. Examples and practices were added in case of mathematics. The last teaching behavior is the review of the lesson. Many defects were found in performing each behavior. 3. Three themes that could explain unique teaching behaviors and methods were identified: "coverage oriented teaching", "teacher-centered teaching", and "content-oriented teaching".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ifying the procedures and deleting questions was interpreted as concrete tools for carrying out those themes. Bigger size sample and more rigid research design were suggested to test those hypotheses identifi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들이 당면하는 문제와 그 원인

        길양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dilemmas faced by the secondary teachers, their caus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ers were asked to record 10 problems they could think of at the time of survey. Collected dilemmas were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such as guidance, instruction, conflicts with colleagues, chores, curriculum management, expectations for teachers and low compensation, conflicts with parents, conflicts with principals, educational policy and personal affairs, and evaluation. The problems varied upon career development. Also, the problems could be classified by its nature into lack of knowledge, intrapersonal conflicts, interpersonal conflicts, concept confusion, and lack of prerequisite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eacher education reflecting teachers' concerns and problems in their in-service education, clarifying the reasons that the concerns vary, listing of problems and their reasons depending upon career development, retesting of the results by interviews and statistical methods, by sex and regions etc. Application of the results to problem based teacher education was also recommended. 이 연구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와 그 문제들이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지의 여부, 그리고 문제의 발생원인을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방법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47명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교사들에게 그들이 당면한 문제를 10개씩만 에피소드와 함께 자세히 기록해 달라는 방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1, 257개의 문제가 업무 영역에 따라 생활지도 및 학생과의 관계, 수업, 동료교사와의 갈등, 업무, 교육과정 운영, 교사에 대한 기대와 대우, 학부모와의 갈등, 교육정책 및 인사, 관리자와의 관계, 평가의 10개 유목으로 분류되었다. 교사들이 당면하는 문제는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문제들의 발생원인은 지식의 부족, 대내 갈등, 대인 갈등, 개념혼란, 여건미비로 구분되었다. 교사들이 당면하는 문제와 경력에 따른 차이는 기존연구와 큰 흐름에 있어서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이 문제들의 발생원인은 다른 연구에서 자세히 탐색되지 않은 것으로서 교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결과는 교사교육이나 연수의 내용과 방법을 교사의 경력과 문제유형 또는 그 발생 원인에 따라 달리할 것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 당면문제가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를 면담을 통해 확인할 것, 경력단계별로 당면문제를 체계화할 것, 문제가 성별,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것, 통계분석으로 결과를 재확인 할 것, 자료를 문제중심의 교사교육에 활용할 것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동료 교사의 수업평가에서 발견되는 수업평가의 실제적 기준

        길양숙 한국교육과정학회 1997 교육과정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교사들이 수업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실제적인 기준과 수업평가 결과가 시사하는 점을 탐색하였다. 교육대학원 교수이론 과목을 수강하는 53명의 교사들이 동료 교사들의 수업비디오를 평가하면서 서술한 장·단점에서는 전시복습, 수업목표의 제시,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을 위한 활동, 학습내용과 활동의 선정과 배열, 구조화, 아동 중심 수업, 질문, 피드백, 말과 목소리, 교사의 태도, 수업 분위기, 교실환경, 요약정리, 평가를 포함하는 18개의 기준이 발견되었다. 이 기준에는 교사효율성 연구와 교수법에 등장하는 교수행동과 교수기능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그 표현은 더 구체적이다. 또한, 각 교수행동과 교수기능에 대한 장단점 지적의 비율은 교사의 교수기능 수행의 효율성을 짐작케 하는 한 가지 지표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swer tow questions: 1)What are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used in peer evaluation of classroom teaching; 2) What can the results say about the teaching performance of teachers? 53 teachers who were taking 'teaching method'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videotape on hour of their own classroom teaching as naturally as possible. And then, teachers who teach same subject watched 2-5 video tapes of their peers and wrote one evaluation paper for each classroom teaching. Good and bad they mentioned were then classified initially according to the effective teaching behavirors found in teacher effectiveness studies and method books. When cases seems to be awkward to be classified by the initial classification system, new categories were added. So did the classification process until the classification reliablility reached to over 80. As a result, followings were found: Firstly, the evaluation criteria(categories) reached 18 including followings; checking homeworks; checking understanding of previous lesson; using materials and activities for interests and attention; choosing and sequencing content,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participation; frequent summary and giving opportunities of repetitive practice; structured writing on balckboard; individualized teaching; questioning; feedback; speaking and voice; teacher's attitude; classroom climate; classroom environment; summary, evaluation, and explaning coming lesson. In additon, performace level of each teaching function could be inferred. Teaching behaviors, such as giving objectives, using techniques for interests and attention, structured writing on blackboard, feedback, inducing participation were more commented in good part while speaking and voice, questioning, getting attention, checking understanding previous lesson, selecting content and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ly mentioned in bad point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more concrete in form and more various in content than what we find in book. Various contents experssed in evaluation paper also can be a data to be used for exploring concept maps related to teaching.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교사교육과정의 구성원리

        길양숙 한국교육과정학회 1996 교육과정연구 Vol.14 No.1

        본고는 교과교육학의 성격을 개관하고, 그것이 교사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교과교육학이 교과를 가르치는 현상에 대한 연구이므로, 이 학문의 영역이 교사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현행 교사교육과정이 지행해야할 부분을 1 원리로 정리하였다. 통합의 원리, 학교교육에 준거한 내용선정의 원리, 교과 내용간의 관계와 의미의 강조, 과정으로서의 지식교육, 그리고 충분한 연습의 기회 제공, 원리의 타당성 논의와 함께, 개혁을 위한 지원체제를 사대교수의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the subject education and inferred five principle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rom it. Since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s internded to prepare the pre-service teacher for their future teaching of each subject, the curriculum has to be constructed based on the following curriculum principles: 1)integration of all part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2) selection of contents based on secondary school subject, 3)emphasis on the relations among the contents within the subject and the area, 4) emphasis on the knowledge as the process thatn the result, and 5)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