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복음에 나타난 ‘파라클래토스’(παρaκλητoζ)의 기능과 역할

        고병찬 ( Go Byung Cha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8 성경과신학 Vol.88 No.-

        신약신학의 연구 범위에는 다양한 주제들이 있다. 이들 가운데 오랫동안 이슈가 되어온 것들 중 하나는 성령론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복음서의 신학뿐 아니라, 바울 신학 안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그렇기에 학자들 마다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내용들도 있다. 특히, 누가의 성령론과 바울의 성령론 안에서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되어 왔는데, 그 중 ‘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의 논쟁, ‘예언의 영’과 ‘구원의 영’에 관한 논쟁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무엇보다 사도행전 2장을 중심으로 오순절 성령 강림의 의미가 구원받은 성도들을 향하여 은사를 베풀기 위한 ‘예언의 영’인지, 아니면 기도하고 있는 성도들의 구원을 확증하기 위해 임한 ‘구원의 영’인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평행선을 긋고 있다. 또한, 이 날 임한 성령은 ‘성령 세례’를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성령 충만’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역시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논쟁들 가운데, 요한의 성령론은 다른 화두를 던진다. 요한은 성령과 관련하여 ‘파라클래토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기존의 논쟁과 다른 관점으로 성령을 이해할 것을 제안하는데, 한글 성경에 ‘보혜사’로 번역된 이 단어는 번역의 문제에서부터 논쟁의 쟁점이 되어 왔다. 많은 목회자들이 이 단어를 마치 성령의 이름으로 오해하고 있으나, 요한복음과 요한 일서에서 이 단어는 성령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성령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요한은 ‘파라클래토스’라는 단어 사용을 통해 누가와 바울의 성령론에서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성령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성령의 모습은 요한 신학 틀 안에서 요한의 성령론이 연구되어져야함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파라클래토스’에 대한 건전한 해석과 이해는 요한 신학의 독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요한복음 안에서 성령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된 ‘파라클래토스’의 의미를 재해석함과 동시에 그 기능과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요한의 성령론의 독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There are various things in the study of New Testament theology: Christology, Eschatology, Ecclesiology, Anthropology, and so on. Among these things, Pneumatology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This is a important subject in the field of the theology of Paul as well as of Synoptic Gospels. S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Pneumatology are various depending on the scholars and there are some issues which have not been solved. Particularly, there are various issues regarding to the Pneumatology of Nuke and Paul, viz., debates of ‘bapsism by the Holy Spirit’ and ‘fullness of the Holy Spirit,’ ‘spirit of prophecy’ and ‘spirit of salvation,’ and so on. Most of all,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Holy Spirit in Acts 2 have been still debated For example, the meaning of the Holy Spirit which decended in Pentecost is whether the Spirit of prophecy which gave the gift of Holy Spirit to the Christians, whether the Spirit of Salvation which confirmed the salvation of the disciples. Furthermore, there is the debate between baptism by the Holy Spirit and fullness of the Holy Spirit regarding to the Spirit in Pentecost. Among these various issues, Pneumatology of John brings up the a different topic. John suggests the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in a different way from the other authors of the Bible. John uses ‘Paraclete’ for the Holy Spirit, and the translation of the ‘Paraclete’ causes problem both in the Korean Bib le and the English Bib le. Many pastors and preachers misunderstand it as the name of the Holy spirit, however, it reveals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Holy Spirit rather than its name in John and 1 John. John presents the particular function of the Holy Spirit which has not been found in the Pneumatology of Nuke and Paul, by using the terminology of ‘Paraclete.’ The sound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erminology of ‘Paraclete’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the Theology of John, as well as, it implies that the Pneumatology of John must be studied in the field of the Theology of Joh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uniqueness of Pneumatology of John both by reinterpreting the ‘Paraclete’ which indicates the Holy Spirit in the Gospel of John, and by presenting its function and role.

      • KCI등재

        니케아 신경: 헬라어 원문 재구성과 번역

        고병찬 ( Byung Chan Go ),김주한 ( Joo Ha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60 No.-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니케아 신경의 (복원된) 헬라어 원문과 문자적 번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차 목적으로 한다. 니케아 공의회(325 A.D.)는 기독교의 첫 번째 보편(혹은 에큐메니컬) 공의회였다. 이 공의회가 개최될 당시, 기독교는 예수(즉, 로고스)가 피조물이었다고 주장한 아리우스에 의해 분열되었다. 이 상황에서, 대립하고 있던 양 진영(즉, 반-아리우스주의자들과 아리우스주의자들)의 화해를 통해 로마 제국의 평화를 염원했던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니케아로 교회 지도자들을 소집했다. 이 공의회의 결과로 아리우스와 그의 지지자들(즉,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한 신경이 공표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니케아 신경이다. 니케아 신경의 원문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고대 기독교 저자들이 이 신경을 보존해 왔고, 현재 여섯 명의 저자들 중에서 적어도 아홉 개의 본문을 찾아볼 수 있다: 아타나시우의 세 작품들(De Decretis Nicaenae Synodi, 35.8[A1a] and 37.2[A1b], Epistula ad Jovianum, lines 18-36[A2], and Didascalia cccxviii Patrum Nicaenorum, 28[A3]), 대 바질의 한 통의 편지(Epistula, 125.2 [B]),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의 두 통의 편지들(Epistula, 17.69[C1] and 55.177 [C2]), 소크라테스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1.8.29-30[Sa] and 1.8.44-45 [Sb]), 테오도렛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1.12[T]), 그리고 가이사랴인 겔라시우스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2.35.9[G]). 이 작품들 외에, 니케아 신경은 두 개의 이집트 파피루스들에서도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5세기의 옥시린쿠스 파피루스 2067(P.Oxy. 2067)과 6세기의 라인란즈 파피루스(P.Ryl. 1. 6.)이다. 이 증거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필자는 니케아 신경의 헬라어 본문의 복원을 시도했고, 또한 이 복원된 본문에 근거해 번역을 제공하고자 시도했다. 번역에 있어서 필자는 역동적 번역보다는 문자적 번역을 선택했다. 그 이유는 본 논문의 목적은 여전히 원어로 된 신경을 읽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이들을 위 니케아 신경의 헬라어 본문과 그 번역을 제공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들을 위해 역동적 번역보다는 문자적 번역이 보다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했다. This article primarily aims to offer a reconstructed Greek text of the Creed of Nicaea and its (literal) translation. The Council of Nicaea(325 A.D.) was the first universal(or ecumenical) council of Christianity. At that time when this council opened, Christianity was facing a schism that was caused by Arius who insisted that Jesus(viz., Logos) was a creature. In this situation, the emperor Constantius who wanted the peace of the Empire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two conflicting sides(viz., the anti-Arians and the Arians) convoked the church leaders to Nicaea. As a result of this council, a creed that surely opposed against Arius and his supporters(viz., Arianism) was issued, i.e., the Creed of Nicaea. The original text of the Creed of Nicaea has not been transmitted. However, some ancient Christian authors have preserved it in their works. Now, we can find it in at least nine separated works from six authors. It has been preserved in Athanasius` three works(De Decretis Nicaenae Synodi, 35.8[A1a] and 37.2[A1b], Epistula ad Jovianum, lines 18-36[A2], and Didascalia cccxviii Patrum Nicaenorum, 28[A3]), one letter of Basil the Great(Epistula, 125.2[B]), two letters of Cyril of Alexandria (Epistula, 17.69[C1] and 55.177[C2]), Socrates` Historia ecclesiastica, 1.8.29-30(Sa) and 1.8.44-45(Sb), Theodoret`s Historia ecclesiastica, 1.12(T), and Caesarean Gelasius` Historia ecclesiastica, 2.35.9(G). Besides these works, we have two Egyptian papyrus fragments that contain this creed from the 5th and 6th century A.D., i.e., P.Oxy. 2067 and P.Ryl. 1. 6.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itnesses, I tried to offer a reconstructed Greek text of the Creed of Nicaea and its translation from the Greek text. In translating, I did not pursue a dynamic translation, but a literal one because my intention was to provide a reconstructed Greek text of the creed and its translation for those who still feel some of difficulties i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creed in its orignal language. For them, I am sure that a literal translation is more helpful than a dynamic one.

      • KCI등재후보

        요한신학의 관점에서 본 여호와의 증인의 기독론과 종말론

        고병찬 ( Byung Chan Go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한국교회가 지면한 위기 가운데 하나는 다양한 이단들의 공격이다. 특히 지난 30년동안 여호와의 증인의 활동은 한국교회에 상당한 위협을 가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번역 성경인「신계계역」을 통해 교리를 정립하고 그 교리들을 중심으로 한국교회를 공격해 왔다. 그들의 교리 가운데 심각한 문제는 기독론과 종말론의 문제이다. 그들은 기독론에 있어서, 요한복음의 본문에 대한 해석학적 오류를 통해 하나님으로서의 예수의 정체성을 부정할 뿐 아니라, 최초의 영적 피조물임을 주장한다. 반면에 종말론에 있어서는 마지막 때에 일어날 사건들에 대한 문자적-자의적 해석을 통해 마지막 때를 1914년으로 이해하고 예수가 하늘 왕국의 왕으로 등극하면서 종말이 시작된다고 이해하며, 여러 현상들을 자의적으로 해석한다. 결국 여호와의 증인의 기독론과 종말론의 문제는 건전하고 객관적인 성경 해석의 방법의 부재를 통해서 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본고는 여호와의 증인의 기독론과 종말론의 교리를 살펴보고 개혁주의 요한신학에 근거하여 그 교리들을 비판할 뿐 아니라,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기독론과 종말론에 대한 건전한 해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crises Korean Church is facing, is the invasion of the heresies. Especially movement of Jehovah`s Witnesses threatened Korean Church seriously. They found their doctrines using their own bible translation, New World Translation, and based on those doctrines they have been corrupting Korean Church. Most problematic doctrines of theirs is the Christology and the Eschatology. In their Christology, due to hermeneutic fallacies, they deny the identity of Jesus and argue Jesus is the first spiritual creature. On the other hand, in Eschatology, using literary-arbitrary interpretations on the signs for the last days, they defined the last day as the year of 1914, and understood the last day started as Jesus became the king of the heavenly kingdom.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y interpret many present phenomena arbitrarily. After all, the problems on their Christology and Eschatology is originated from the absence of sound and o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ing the Christology and the Eschatology of Jehovah`s Witnesses, points out the fallacies of their doctrines in a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John in the Reformed Theology and provides a sound interpretation of the Christology and the Eschatology of the Gospel of John and the Revelation.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 1장 16-17절에 근거한 ‘율법’ 과 ‘은혜와 진리’ 의 관계

        고병찬(Go, Byung Chan)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신약 성경 안에서 ‘율법’과 ‘은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학자들에 의해 논의 되어 온 주제들 중 하나이다. 특히 바울서신과 관련하여, ‘율법’ 과 ‘은혜’의 관계는 로마서와 갈라디아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 한다. 그러나 요한복음 안에서도 유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건들이 많이 등장한다. 본 논문은 ‘율법’과 예수가 가져오시는 ‘은혜’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서 프롤로그의 1장 16-17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구절은 옛 질서의 상징인 ‘율법’과 새 질서의 상징인 ‘은혜와 진리’와의 관계를 종합 병행 법의 문학적 기법을 통하여 잘 설명하고 있으며, 이것은 다시 ‘은혜 위에 은혜’의 의미를 해석하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고 있다. 1장 16-17절은 모세를 통하여 주어진 ‘율법’과 예수에 의해 온 ‘은혜와 진리’를 상호 적대적 관계나 동일성 안에서 다루지 않고, 오히려 후자를 통하여 전자가 완성되고 대체되는 의미로서 사용하고 있다. 즉 모세보다 우월하신 예수가 가져오는 ‘은혜와 진리’는 ‘율법’을 완성시키실 뿐 아니라, 옛 질서를 새 질서로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은혜 위에 은혜’는 첫 번째 은혜로 명명된 ‘율법’을 대체하는 ‘은혜와 진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옛 질서인 ‘율법’을 파괴하면서 가져오는 새 질서의 ‘은혜’가 아니라, 옛 질서의 완성으로서의 새질서로 대체되는 ‘은혜와 진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and ‘grace’ is one of the themes which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period among the New Testament scholars. Especially regarding Paul’s let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and ‘grace’ provides important clue understanding Romans and Galatians. But in fourth gospel also, many stories appear to be in Jewish background. So this article studies John 1,16-17 of the prologue as a ke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and ‘the grace’ Jesus brings. This passage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 of the old order, ‘the law’, and the new order, ‘grace’ through complex-parallelism, and this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grace upon grace”. 1,16-17 is not dealing ‘the law’ given through Moses and ‘grace and truth’ come through Jesus, in mutual hostility nor mutual similarity, but it shows the former is accomplished and substituted by the latter. In other words, ‘grace and truth’ brought by Jesus, the Greater one than Moses, accomplishes the Law and substitutes the old oder with a new order. Considering this point, “grace upon grace” should be understood that ‘grace and truth’ substituting the first grace, so-called “the law”. And this grac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grace’ which does not destroys the old order, ‘the law’, but the one that substitutes the old one as an accomplishment.

      • KCI등재

        요한복음 프롤로그의 복합 역행 병행법(Complex Inverted Parallelism) 속에 나타난 "로고스"의 정체성

        고병찬 ( Byung Chan G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8 No.-

        요한복음의 프롤로그에 나타난 근본적인 두 주제는 ‘믿음’과 ‘로고스’이다. 이 두 주제는 요한복음의 저작 목적인 20장 31절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그리스도이신 것을 믿도록 하는 것이다. 이 둘의 관계는 프롤로그 안에서 복합 병행법(complex parallelism)-복합 역교차 구조(complex chiastic structure)와 복합 역행 병행법(complex inverted parallelism)-으로 나타난다. 필자는 이전 연구를 통해, 프롤로그의 중심축으로서 ‘믿음’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즉, 프롤로그의 복합 역교차 구조 안에서 ‘믿음’의 주제는 중심축의 기능을 하며, ‘로고스’의 주제가 틀(frame)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써, 프롤로그의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인 ‘로고스’에 대한 연구이다. 이전 학자들은 ‘로고스’의 주제에 대해 신학적 접근을 해 왔다. 특히, 그들은‘로고스 기독론’, ‘로고스의 기원’ 또는 ‘로고스’ 사상에 대한 헬레니즘의 영향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전 학자들과 같이 신학적 또는 철학적 접근을 통해 ‘로고스’의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프롤로그의 본문 연구를 통해 드러난 ‘로고스’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복합 역행 병행법 분석이 연구 방법으로 적용되며, 그 분석 위에 프롤로그에 나타난 ‘로고스’의 정체성과 그 신학적 의미를 밝힌다. The themes of ‘Belief’ and ‘Logos’ are the fundamental theme in the Prologue of the Gosepl of John. These two them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John 20:31 which is regraded as the purpose of the writing of the Gospel of John. It is to believe that Jesus is the Christ and the Son of God. The relationship of those two themes is described whitin complex parallelism: complex chiastic structue and complex inverted parallelism. In the former studies, I already pointed out the function of the theme of ‘Belief’ as the pivotal centre of the Prologue. In other words, the thems of ‘Belief’ functions as the pivotal centre of the complex chiastic structure and the theme of the ‘Logos’ functions as the frame section. The study, continues to the former study, is the study of the theme of the ‘Logos’ which is another important theme in the Prologue. Most scholars have studied the theme of the ‘Logos’ in the view of theology. In particular, they have been interested in ‘Logos Christology,’ ‘the origin of the Logos,’ ‘the influence of Hellenism in the concept of the Logos,’ and so on.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does not reveal the meaning of the ‘Logos’ in the theological or philosophical approach, but is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the ‘Logos’ on the based of the reading the text of the Prologue.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f complex inverted parallelism is used the read the text of the Prologue, and then the identity of the ‘Logos’ and its theological meaning is clarified on the analysis of complex inverted pararllelism.

      • KCI등재

        요한복음 '프롤로그'(1:1-18)의 중심축으로서의 '믿음'

        고병찬(Go, Byung Chan)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0 신약연구 Vol.9 No.1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Prologue is so fascinating that it has been approached with a wide variety of methods such as historical-critical analysis, literary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and even sequential reading. In historical-critical analysis, the efforts to find the original form of the Prologue both eradicated some passages from the Prologue, and also elucidated the theme of 'Logos'. On the other hand, using a literary approach, scholars have studied the present form of the Prologue itself and analyzed it by using various literary methods such as parallelism, chiasm, and complementary structures. Their painstaking research has identified various structures and themes with in the Prologue.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indicate that the structure of the Prologue is not as simple as it was previously thought to be. Thus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Prologue will be indicated in this paper and complex chiastic structure will be proposed as its complex structure. In complex chiastic structure, the macro structure of the Prologue is formulated as the A-B-C-D-C´-B´-A´ and the micro structure is described with various types of parallelism and various patterns of chiastic structure. This complex chiastic structure will demonstrate the theme of 'Belief' as the pivotal concept in the Prologu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elief' and 'Logos', inter alia, 'Belief' in the 'Logos'.

      • KCI등재

        ‘가나 싸이클’(요 2-4장)의 문학적 읽기: 이중 배열법에 근거한 역교차 구조 분석

        고병찬 ( Byung Chan G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2 No.-

        요한복음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역사 비평적 분석, 문학적 분석, 구조적 분석,그리고 순차적 읽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요 2-4장은 6개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나에서 시작하여(2:1-11), 가나에서 끝난다(4:46-54). 그래서 이 단락은 ‘가나 싸이클’이라 불리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단락은 이중배열법과 역교차 구조에 근거한 복합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각각의 장 안에서,두 개의 사건은 이중 배열법으로 배열되어 있을 뿐 아니라, 6개의 사건이 하나의 역교차 구조 안에서 배열되어 있다. 이중 배열법은 요한복음 안에서 독특한요한의 기술 방식이며, 이것은 요한복음 전체의 구조와 신학적 주제들의 이해에 대한 해석학적 열쇠를 제공한다. 요한식 이중 배열법은 사건, 표적, 담화 등을 2개씩 짝을 이루어 배열하는 독특한 방법으로써, 요 8:17에 근거한다. 신명기 17:6에서는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의 증언”을 언급하고 있지만, 요 8:17에서는“두 사람의 증언”만 강조된다. “두 사람의 증언”에 대한 요한의 선택은 독특한기술 방법인 이중 배열법의 근거가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요 2-4장 안에서이중 배열법과 역교차 구조로 형성된 복합 구조를 제시한다. The structure of Gospel of John is so fascinating that it has been approached with a wide variety of methods such as historical-critical analysis, literary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and even sequence reading. John 2-4 consists of six episodes. It begins in Cana (2:1-11) and ends in Cana (4:46-54), so it can be called the ‘Cana Cycle.’ This part can be described as a complex structure, comprising of a dual mode and a chiastic structure. In each chapter, two episodes are arranged by ‘dual mode’ as well as six episodes which are formulated by chiastic structure. ‘Dual mode’ can be a peculiar writing style of the Gospel of John, and it is an important way to link the whole structure of the Gospel of John and its theological theme. The Johannine dual mode is a particular method which arranges the events, signs, sayings and so on in pairs of two, and it is based on John 8:17. In Deuteronomy 17:6 it is written “evidence of two or three witnesses”, however, in John 8:17 the “testimony of two witnesses” is emphasized. John`s choice of the “testimony of two witnesses” draws out a peculiar writing style, dual mode. Therefor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omplex structure in John 2-4: dual mode and chiastic structure.

      • KCI등재후보

        헬라어 동사의 상(相, aspect)의 주석적 사용의 주의점 제안

        고병찬(Go, Byung Chan),김주한(Kim, Joohan)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1 신약연구 Vol.10 No.4

        This article aims to make a few suggestions in employing the concept of Greek verbal aspect for interpretation of NT. Modern scholarship of Biblical Greek has a position that a choice of a specific tense form of Greek verbs is realized by an author's perspective on an event, and so a reader can find the author's intention by analysing Greek verbal aspects in the text. If we agree that Greek verbal aspects have their own meanings, a choice of aspects depends on author's subjective decision and a choice of a specific aspect may indicate abandonment of other aspects by the author, we cannot totally deny an opinion that Greek verbal aspects can be used as a tool for interpretation. Nevertheless, we should concern with a few limitations of this opinion. Firstly, scholars often claim different conclusions in kinds, numbers and functions of Greek verbal aspects though they agree in some points. Secondly, while we cannot assert that a choice of verbal aspect often reflects the author's intention because Greek verbal aspects are considered to be chosen by author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we should remind that there are a number of literary devices that directly transfer author's intention. At the point that these literary devices are always consciously chosen by author, they must have a priority to Greek verbal aspects in interpretation of a text (if they appear or are recognized). In addition, but as a fundamental problem, we may point out that the study of Greek verbal aspect has not been completed yet. Many studies are based on limited data, especially too much on writings of NT. This also means that theories of Greek verbal aspects are not solid to be used as a tool for interpretation. Thus, the use of Greek verbal aspects as a tool for interpretation should be based neither on a theory of a scholar, nor on a total of all scholars. Instead, before a more comprehensive study appears, we should put a different weight on what all scholars perfectly agree (more) and on what they show different opinions (less). A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to Greek verbal aspects in interpreting a text. In terms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provides some points that all scholars agree in studies of Greek verbal aspects and suggests how Greek verbal aspect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literary devices in a text.

      • KCI등재

        요한복음 프롤로그의 한글 번역의 제안: 1장 3-4절과 9절을 중심으로

        고병찬 ( Byung Chan G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2 No.-

        요한복음 프롤로그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하나는 신학적 주제에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문학 기법(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이들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프롤로그 본문의 확정과 그에 대한 번역이다. 본문의 올바른 번역은 다양한 연구들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특히 프롤로그의 본문 가운데, 본문 비평의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이문을 제시하는 것은 3-4절, 14절, 그리고 18절이다. 그 중 3-4절의 이중 구두점의 문제는 본문의 다양한 문학 기법들과 문체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신학적 측면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1장 9절은 본문 비평에 있어서 이문이 등장하지는 않지만, 헬라어 구문과 관련하여 해석의 중요한 열쇠가 나타난다. 즉 분사의 다용한 용법 중 본문에 나타난 분사의 용법에 대한 이해는 본문의 올바른 번역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프롤로그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위해 본문의 번역과 해석은 기초적 작업이며, 이를 위한 본문 비평과 구문론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고는 1장 3-4절의 본문 비평과 9절의 구문론에 대한 다양한 읽기 방법을 통해 한글 성경(개역개정 4판)의 번역의 문제를 지적하고, 건전한 번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ologue of the Gospel of John has been studied into two ways: study on the theological theme and study on the literary figure including structure, on both studies, one of the important step is to translate the text of the Prologue, The sound translation is the key to study the various themes. In particular, there are three verses which have more debatable variants than others. For example, the variant of punctuation of verse 3, the variants of the number of the relative pronoun and of the verb in verse 13, and the variants with regard to 口 in verse 18 are discussed. Most of all, understanding the variant of punctuation of verse 3 functions on important step to interpret the Prologue both in literary figures and in the theological aspects, Furthermore, in verse 9, understanding the Greek syntax is a important key to translate it, although there is no the textual critical issues. To clarify the usage of the participle in verse 9 is the fundamental work on the sound translation of the text, viz., to translate and interpret the text is the basic step on the various studies on the Prologue. Therefore, the pare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translation on the Prologue in Korean version and suggest on the sound translation on it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readings on the textual critical issues and on the Greek syntax.

      • KCI등재

        골로새서와 빌레몬서에 나타난 종말론에 관한 연구

        고병찬 ( Byung Chan G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0 No.-

        비록 골로새서와 빌레몬서가 시대적 배경과 문학적 양식에 있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 두 서신들 사이의 종말론의 개념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골로새서 안에서는 ``실현된 종말론``이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종말론은 미래적 종말론을 배제하지는 않으며, 시간적 개념 뿐 아니라 장소적 개념을 강하게 드러낸다. 반면에 빌레몬서는 공적이고 개인적 서신이다. 물론 종말론의 개념이 우선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지만, 빌레몬서의 중요한 주제인 오네시모의 노예로써의 신분과 관련하여 ``미래적 종말론``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The eschatology in Colossians and Philemon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lthough these two documents were in the past often grouped together on the basis of literary considerations. Colossians is characterised by a strong realised eschatology, incorporating and overwhelming references to the future while at the same time building strongly on spatial concepts. Philemon is a public, "personal" letter with an unexpressed yet in attendant eschatological perspective primarily focussed on the future, as can be inferred from the particular way in which the letter`s central issue ? the situation of the slave Onesimus is presented and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