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樂浪 木槨墓의 棺槨制度 연구

        包永超(Bao, Yong-chao)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3

        서기전 2세기 말기부터 낙랑지역에서 새로운 묘제인 목곽묘가 등장하여 서기전 1세기에 낙랑군 각지에서 대량 보급이 시작되었다. 낙랑군 군현제도의 공고화, 관리 체계의 완성, 변 군과 중원 내지 관계의 강화에 따라 한식 관곽제도가 낙랑군에 도입되었다. 낙랑 목곽묘의 관곽제도는 4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낙랑 목곽묘 관곽제도의 변천 과정은 제1기 수용기 → 제2기 발전기 → 제3기 僭越기 → 제4기 혼란기로 구분할 수 있다. 낙랑 전실묘가 제4기 혼란기에 등장하였던 점은 이러한 변천이 동북아시아의 정치 상황의 변동과 그에 따르는 한문화의 수입 및 그 요건 등과 큰 관련이 있었던 때문이라 판단된다. 다만 낙랑 목곽묘와 관련 지역인 요서ㆍ요동군과 廣陵國의 관곽제도와 비교해 보면 낙랑지역의 관곽제도는 요서ㆍ요동군과 광릉국의 관곽제도처럼 전국 말기의 관곽제도 전통을 계승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자료의 한정성 때문일 수 있다. 그리고 낙랑 목곽묘 3기부터 관곽제도를 참월했을 뿐 아니라 관곽 중첩수도 중원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중원지역의 관곽 양식에서 곽의 중첩수가 보통 2중을 넘지 않지만, 낙랑 목곽묘의 곽은 4중 곽까지 나타났으며, 이는 중원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관의 사용에서도 낙랑지역은 중원지역과 달리 1중 관이 대부분이고 예외적으로 2중 관이 사용되는 것에 비해 중원지역의 높은 등급인 목곽묘는 2중 관을 채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형식은 낙랑지역의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Wooden-chambered tombs existed in nangnang in the 2nd century BC and later Han system of inner and outer coffins passed into this region.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ystem in Nangnang perio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angnang wooden-chambered tombs are divided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typical artifacts in them. Examine layer patterns of the coffins in each period, and verify whether burial objects that can manifest the difference in identity reflect the difference in ranks.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 present a 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and chiefs of indigenous peoples may be their owners.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I include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or two inner coffins and one outer coffin,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speculate that dependent officials of nangnang and other senior Aboriginal Chinese groups might use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county magistrate or an officer in charge of affairs of indigenous peoples as well as dependant officers might use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e use of layer patterns of coffins is in accordance with hierarchy of Han Empire.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II have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speculate that level-1 senior officers of a county used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Tomb owners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one out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are unknown. However, through investigating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argue that their owners had less distinguished identities than those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nd the owners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were nobler than those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e above show that the system of inner and outer coffins was established. However, the system of nangnang had broken away from the criterion of Han Empire and created a system of its own. Wooden-chambered tombs of phase IV present a fiv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four outer coffins, a four-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hree outer coffins, a three-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two outer coffins, and a two-layer pattern of one inner coffin and one outer coffin. Through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nd the funeral objects capable of manifesting differences in identity, we know that the use of coffins had been out of rule to the extent that not only feudatory kings used five-layer patterns of coffins, but just feudatory kings of the Western Han Dynasty used Ticou(题凑). The grade of coffins and the rank of burial objects do not agree.

      • KCI등재

        墳丘墓 木槨의 變遷과 墳丘의 展開

        包永超(Bao, Yongchao)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본고에서는 분구묘의 확장방식과 목곽의 형식분류를 통하여, 분구묘 내 목곽의 수용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목곽은 관의 유무에 따라 I, II형으로 구분되었고 부속시설을 통해서 4가지로 세분되었다. 분구묘의 확장방식은 분구 연접확장, 수평 확장, 수직 확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방식은 목곽의 형식과 종합하여 가, 나, 다, 라 네 가지의 목곽 배치양상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목곽 배치의 유형을 시기적으로 배열한다면, 가형→나a형·다a형→나b형·다b형·라형의 순서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변천의 순서에는 상위자의 무덤이 분구 중앙부에 자리잡도록 하는 분구 확장 기획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분구묘가 개인 묘역에서 가족이나 친족집단이 한 분구에 묻히는 집단 분구묘로 발전하는 가운데 그러한 분구 확장 기획이 실행에 옮겨진 것이다. 분구묘의 주구의 형태, 목곽의 유형과 배치양상을 기준으로 한강하류역과 금강 서북부권, 금강유역권, 전북 서남부권, 영상강유역권 이상 4개의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네 개의 권역은 지역적인 특징이 강하지만 서로간의 교류도 확인된다. 주구형태 그리고 목곽의 형식과 배치양상에서 권역간 공통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매장의례에 사용된 토기의 기종 및 기형의 유사성 교류의 근거로 들 수 있다. The expansion of Bungumyo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connection and expansion of the tomb mounds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pans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the wooden chamber in the process of expansion, the building rituals of the wooden chamber of Bungumy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independent tomb mound type, connected tomb mound type, and horizontal expansion type, and vertical expansion type. The independent tomb type featured only a single wooden chamber in an individual mound. In the connected type, in the early period, two adjacent mounds each featured a wooden chamber in the central part of the mound, and no difference in position was found. In the later period, the two mounds were combined into one, with a wooden chamber of the highest rank in the central part of the mound. Horizontal expansion can be divided into single-direction expansion and peripheral expansion of two ways. In the case of single-direction expansion, the order of extension in a single direction did not evidence a difference in order. In the peripheral expansion of the highest level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omb mound, additional burials around its perimeter existed. The arrangement of the wooden chamber in the vertical expansion type was not planned, and the phenomenon of destroying the tombs in the former stage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