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장식 교수의 한국교회와 사회 인식

        박명수(Myung Soo Park)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장식 교수는 한국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는 아니지만 「기독교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와 사회에 대해서 많은 글을 썼고, 이것은 단행본의 형태로 출판되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그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첫째는 에큐메니칼 운동이다. 이장식 교수는 기장의 목사답게 에큐메니칼 진영의 신학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진보적인 연합운동이 대중들과 한국교회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안타깝게 생각한다. 둘째는 서구 근대화와 기독교의 토착화문제이다. 이장식은 미국에서 공부하였지만 미국식 민주주의의 이식에 대해서 회의적이며, 한국의 군사독재와 공산주의의 독재를 근본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민중신학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셋째는 한국교회와 사회에 대한 그의 인식문제이다. 그는 한국교회와 사회를 양극화하고 있다고 보며, 이런 극단을 배제하고 이것을 창조적으로 조화시키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Professor Chang Sik Lee is not only a scholar who specialized in Korean church history, but he has also written a lot about Korean churches and society in Christian Thought. It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a book. In this paper, I summarized his thoughts on three themes. The first is ecumenical movement. Prof. Chang Sik Lee faithfully reflects the theology of the ecumenical camp as a pastor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e regrets that the progressive ecumenical movement is not supported by the public and the Korean church. The second is the problem of western modernization and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Although Prof. Lee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he is skeptical about the transplantation of American democracy and considers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Korea and the dictatorship of communism to be essentially the same. However, he is skeptical about so-called “people theology.” The third is his percep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He believes that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are polarizing and he wants to exclude this extreme and creatively harmonize it. Nonetheless, he does not specifically mention what this is.

      • KCI등재후보

        혜암 이장식의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 사이의 통전적 신학: J. 몰트만의 생태학적 창조이해에 관련하여

        정인재(Jung InJae)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본 논문은 혜암 이장식, 『기독교 사관의 역사』를 중심으로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이라는 두 가지 하나님 이해의 통전적 성찰을 도모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혜암의 통전적 신학의 한 예로서 몰트만의 창조론적 신앙을 잇대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교회 제1세대 교회사학자인 혜암 이장식은 그의 저서 『기독교 사관의 역사』에서 인간적 역사법칙으로부터 자유로운 역사의 주님, 즉 인간의 역사성이라는 유한성을 벗어난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한다. 이와 더불어 몰트만은 은총적인 자기 비허로서 역사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이 동시에 역사를 초월해 창조질서의 운행을 경륜하신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럼으로써 두 신학자의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은 이제 통전적 신학의 방식 안에서 만나 초월과 내재의 두 가지를 함께 연결시키게 되며, 이러한 통전적 신학은 이제 코로나19 시대의 인류를 위로하고, 동시에 미래를 준비하는 진정한 하나님을 지향하게 된다. Based on Hye-Ahm Jang-Sik Lee, History of Christian History, this paper seeks to promote a conventional reflection of two God’s understanding: ‘eschatological faith’ and ‘creation faith’ And this paper attempts to connect conventional of Jang-Sik Lee. with the creation faith of Moltmann. First of all, Hye-Am Jang-Sik Lee, a first-generation church scholar at the Korean Church, emphasizes the transcendence of God beyond the finite nature of human history, the Lord of history free from human historical laws. Moltman argues that God, who is inherent in history as the wonderful self-emptying, is at the same time meditating on the operation of the creative order beyond history. Thus, the creational and eschatological beliefs in two theologians now meet in the mode of conventional theology, linking the transcendence and the inherence together, and this conventional theology is now directed toward a true God who comforts the humankind in the Corona19 era and prepares for the future at the same time.

      • 혜암 이장식의 역사 이해에서 나타나는 신관 조명 : 혜암과 본회퍼의 ‘신 이해’ 비교를 통하여

        이민애(Min Ai Lee)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paper highlights Hye-Am, Chang Sik Lee s thought of God in understanding of history. For effectivity, the attempt were made to compare with the German theologian Bonhoeffer s thought of God [Chapter 1]. Hye-am and Bonhoeffer each went through the darkest period of 20th century history in their countries. Hye-am went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the Second World War. Bonhoeffer went through two world wars and Nazism [Chapter 2]. In the 20th century, when atheism and Death of God theology were extended by experience of the absence of God, these two theologians confessed God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further expressed God s freedom. Hye-am and Bonhoeffer rejected human-centered views in their respective field.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Hye-am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ositivist and ideological views, and called for the need of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Bonhoeffer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idealism and a priori the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requested ontology [Chapter 3]. Also, Hye-am and Bonhoeffer expressed the freedom of God. Hye-am said that God is the sovereign of history, and that God changes the same repetitive events meaningfully in human history. Bonhoeffer said that God s revelation was adventitious and totally free. God is facing all given and conditional things unconditionally, always subject, and man cannot possess God [Chapter 4]. This paper marks and emphasizes that the confessional theology of the two theologians was originated in the extreme experience of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Historical theologian Hye-am nevertheless emphasizes the “hope” of history. Hope from God is a supernatural hope, an absolute hope coming from outside humanity and history [Chapter 5]. 본 논문은 혜암 이장식의 역사 이해에서 나타나는 신관을 조명하였다. 효과적인 조명을 위하여 독일 신학자 본회퍼의 신관과의 비교를 시도했다(1장). 혜암과 본회퍼는 각자 고국의 20세기 역사 중 가장 암울한 시대를 겪었다.(2장) 신 부재 체험으로 무신론과 사신신학이 확장되어간 시기에 이들은 역사의 주재이신 하나님을 고백하고 하나님의 자유로우심을 피력하였다. 혜암과 본회퍼는 인간중심적인 시각을 배척하였다. 혜암은 역사 이해에서 기존의 실증주의적 역사관과 관념주의적 역사관의 한계를 지적하고 신학적 역사 이해의 필요성을 요청하였다. 본회퍼는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관념론과 선험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존재론을 요청하였다.(3장) 또한 두 신학자는 신의 자유로우심을 피력하였다. 혜암에 따르면 역사의 주재자는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은 인간 역사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사건들도 의미 있게 바꾸신다. 본회퍼에 따르면 하나님의 계시는 우발적이며 전적으로 자유롭고, 하나님은 모든 주어진 것과 조건적인 것들에 무조건적으로 마주서 계시며, 언제나 주체이시다.(4장) 역사신학자 혜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희망”을 강조한다.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희망은 인간과 역사 밖으로부터 오는 초자연적인 희망, 절대적인 희망이다.(5장)

      • 혜암 이장식의 화해와 일치의 신학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 글에서 필자는 혜암 이장식(惠岩 李章植)이 추구한 화해와 일치의 신학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혜암이 제시한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를 규명하고, 그다음에 화해와 일치에 관한 혜암의 주장을 분석하고, 끝으로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 속에서 혜암이 화해와 일치의 관점을 일관성 있게 지키며 제시한 의견을 살핀다. 첫째,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에 관련하여 필자는 혜암의 논증방식이 철저하게 기독론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는 성육신 사건의 해석을 통하여 하나님이 개입하는 역사의 현실성을 강조하고,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역사의 궁극적 의미가 화해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하나님이 펼치는 역사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을 부각시켰다. 이와 동시에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연합하는 방식으로부터 하나님 나라와 세상의 차이와 변증법적 긴장관계를 설득력 있게 논증했다. 둘째, 화해와 일치에 관하여 혜암은 먼저 화해의 종말론적 차원과 우주적 차원을 강조했다. 하나님 나라에서 완성될 화해의 비전을 품고서 교회는 오늘 이곳의 현실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온 피조물 사이의 화해를 위해 일해야 한다. 그다음, 혜암은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화해의 사역을 수행하는 교회는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굳게 견지했다. 그는 종교개혁 이후에 확립된 교파주의의 현실 속에서도 신학의 차이가 교회의 통일성과 일치를 깨뜨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다양성 속에서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다. 신앙의 차이 때문에 사랑의 친교에서 실패를 하는 교회가 세상에서 화해의 사역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혜암의 지론이었다. 끝으로, 혜암이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하면서 정의를 위해 투쟁하는 교회의 일치를 강조하였고,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교회의 분열을 경계하였다. 필자는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가장 첨예한 논제들, 곧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교회와 국가, 선교의 자유 등에 관한 첨예한 논쟁에서 혜암이 취한 입장을 분석했다. 1)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에 관해 혜암은 둘이 불가분리적이어서 동시에 추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2)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해서 혜암은 어거스틴과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을 받아들여 하나님의 통치를 위해 세워진 두 기관의 사무적 분립과 협력을 강조하였고, 3) 선교의 자유에 대해서는 미국 헌법의 모델에 따라 국가가 교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신앙의 자유와 선교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unity of Chang Sik Lee and evaluate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I examine his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then analyze his articulation of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lastly point out that he kept a consistent view of reconciliation and unity in his opinions to conflicts and debates about the missio Dei (Mission of God). First, concerning the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I pay attention to that his arguments were thoroughly Christological-oriented. From the Incarnation he drew the reality of history in which God intervenes. He identified that reconciliation is the ultimate meaning of the history that God rules by providence. He emphasized that mankind as God’s image cooperate with God in history. At the same time, he convincingly inferred the difference and dialectical tension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world from the mysterious mode in which the divinity and the humanity of Christ are distinguished, but not separated, and united, but not confused. Second, regarding reconciliation and unity, he first emphasized the eschatological and cosmic dimensions of reconciliation. The church, which has her vision of reconciliation to be completed in the kingdom of God, must work now and here for reconciliation among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creation. Then, he firmly believed that the church should stay in unity in her work for reconciliation in the world according to God s will. He accepted the reality of denominationalism established after the Reformation, but he argued that the difference in theology dares not to break the unity and catholicity of the one church. In this sense the church should seek unity in diversity. His main thesis is that, if the church fails in love communion because of differences in faith, she cannot properly perform the work of reconciliation in the world. Third and lastly, he emphasized the unity of the church in the struggles for justice in the mission of God. He was wary of that the debates on the following issues related to the mission of God could lead to division and schism of the church: personal salvation and/vs. social salvation, church and state, and freedom of mission. These issues broke ou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hurches in Korea in 1970s. In such a situation he intended to maintain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o articulate prudently his opinions to the three hot issues. 1) He argued that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both must be pursued simultaneously. 2)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he accepted the position of Augustine and the Reformers Luther and Calvin.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two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God s reign in the world. The two institutions have their own mission, one dares not to intervene in the other’s mission, but must cooperate for the reign of God. 3) Concerning the freedom of mission, he followed the model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nd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entence should be written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 state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religion. In that way, so he claimed, the state should guarantee freedom of faith and freedom of mission, including the freedom of the church to join the mission of God.

      • 혜암 이장식의 신학사상 : 중도적 복음주의적 개혁신학

        김영한(Yung Ha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혜암의 신학은 진보와 보수를 포용하는 신학으로서 한국교회와 신학에 대화의 처소를 만드는 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신학은 보수와 진보 사이에 대화의 공간을 마련한 교량의 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혜암은 개혁신학자요 중도적 복음주의 사상을 가진 교육자요, 그의 신학사상은 교회친화적이고 종교개혁 정신에 입각하여 교회를 향상 개혁하고자 한 개혁지향적이며, 종말론적이라고 특징지어진다. 혜암은 그의 노년에 특히 혜암 신학연구소를 통하여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이 대화하고 상호 소통하는 대화의 공간을 마련했다. 이런 배경에는 그의 신학사상 보수와 진보를 다리놓은 중도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있다. Hye-am Theology is said to be a theology providing a place of dialogue for Korean church and theology, namely a theology embracing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is theology is called to be a theology making a bridge for setting a place of dialogu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ye-am is a Reformed theologian, an educator with a moderate evangelical thought. His theological thought is characterized to be church-oriented, Reformation-inspired, church reformation -always intended, reform-oriented, eschatological. Hye-am provided in his late years especially through Hye-am Theological Institute a forum for dialogue wher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come to encounter in open attitude. In this background is his theological thought that is a moderate evangelical theology making a forum of dialogu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 KCI등재
      •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

        정일웅(Il-Ung Ju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article is written on the theme of “Dr. Chang Sik Hye-am Lee, the theological educator of the Korean Church,” congratulating the birthday of Dr. Chang Sik Lee, the current director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t the age of 100. In this article, I wrote based on Dr. Chang Sik Lee s faith, personality, and academic enthusiasm that I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5 years, and based on his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hich he has already written a long time ago. As a theological educator, Dr. Lee has been examined into seven topics. The sub-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education and call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second, beginn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at a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third, preparing qualities as a theological educator and studying abroad; New theological studies and doctoral degrees, sixth, theological educator s activities at Keimyu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and seventh, Kenya missionary and theological educator. Dr. Chang Sik Lee served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for 36 years. In addition to the four years of teaching at Keimyung University, he was entirely engaged in theological education at Hanshin University for the remaining 32 years. As soon as graduating from Hanshin University as the first graduating class, he began to teach the theology as a lecturer while working in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at the seminary. The important mind that Dr. Lee showed as a theological educator was revealed when he taught at Hanshin University. Although it was stated as a theological education goal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academic and godliness, the early Hanshin University taught only many academic knowledge of difficult theological thoughts to students, but not a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godliness and pastoral practice. H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effort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school as a denomination belongs to Presbyterian Church through le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confession of faith shows his identity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ddition, when he was in charge of the 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Office, he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y, but also played a role in the training of godliness for students. For example, he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hapel and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in the dormitory, and trained their honesty by conducting the exam without proctor supervision. Especially, studying his Ph.D. dissertation at Aquinas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a well-known Catholic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hows how broad the horizon of his scholarship in history theology is. Not only did he study Luther s theology as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ut also Calvin s theology as Presbyterian theology.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e gained insights to contribute to today s so-called Ecumenic theology. Dr. Lee is a great theological educator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entire Korean Church as well as at Hanshin University. In particular, Dr. Chang Sik Lee always felt sorry fo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w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despite his age of middle 90s five years ago and founded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where he invit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eologians from the Korean church to have a theological dialogue and write a thesis through research. It is the fact that Dr. Chang Sik Lee, who has led these things, is not showing the role of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but a theological educator of the entire Korean church. 이 글은 현재 혜암신학연구소의 소장이신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생일을 축하하며, 기리는 마음으로,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라는 주제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지난 5년 동안 혜암신학연구소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이장식 박사님의 신앙과 인품과 학문적인 열정을 근거로 그리고 그가 이미 오래전에 집필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 이 박사님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하였다. 기본적인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교육과 신학 교육자로서의 부르심, 둘째, 한국신학대학에서의 신학교육자로서의 시작, 셋째, 신학 교육자로서의 자질준비와 유학생활, 넷째, 한국신학대학의 교육이념실현과 신학 교수로서의 활동, 다섯째, 새로운 신학연구와 박사학위, 여섯째, 계명대학과 한신대학에서의 신학 교육자의 활동, 일곱째, 케냐의 선교사와 신학 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이다. 이장식 박사는 총 36년간 신학교에서 신학 교육자의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리고 계명대학에서의 교수 생활 4년을 빼고, 나머지 32년간은 전적으로 한신대학에서 신학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신대학을 제1회로 졸업하자마자, 신학대학에서 교무행정을 보며, 강사로 신학을 가르친 것에서 시작한다. 이장식 박사님이 신학교육자로서 보여준 중요한 정신은, 특히 한신대학에서 가르칠 때, 학문과 경건이란 이념으로 교육한다는 것을 신학교육 목표로 명시해 놓았지만, 초기의 한신대학은 어려운 신학 사상의 학문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실제 경건에 관한 신학 정보와 목회 실천에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에 관한 것들을 많이 가르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하였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점이다. 특히 한신대학교가 기독교장로회에 속한 교단으로서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앙고백에 관련된 강의를 통해서 장로교회의 신학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고 한 노력은 신학교육자의 모습이 분명하였던 것으로 이겨진다. 그리고 교무처장의 직분을 맡았을 때도, 교무행정만 책임진 것이 아니라, 역시 학생들의 경건 훈련에도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신학생들의 채플 참여와 기숙사에서 신학생들의 새벽기도회 참여를 직접 독려한 일, 그리고 무시험 감독으로 신학생들의 정직한 경건을 훈련시킨 일 등에서라고 할 것이다. 역시 이 박사님은 학위 과정에서도 교회 역사에 관한 부분을 주 전공으로 삼았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미국에 가톨릭에 속한 대학으로 이름나 있는 아퀴나스 신학교에서 공부한 것은 그의 역사신학의 학문이 얼마나 넓은 지평을 가진 것인지를 느껴보게 된다. 물론 프로테스탄트의 역사로서 루터의 신학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특히 장로교회의 신학으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였고, 가톨릭교회의 신학까지 연구한 것은 오늘의 소위 에큐메닉의 신학에 기여하는 통찰을 갖게 되었으며, 역시 이장식 박사님은 한신대학에서의 신학교육뿐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위대한 신학 교육자였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이장식 박사님은 5년 전 구순 중반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하여 대립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고, 뜻을 같이하는 진보와 보수 신학자들을 혜암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곳에 모으시고, 대화하며, 신학의 학문을 계속 연구하게 하며, 신학학술지(「신학과 교회」)의 출판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신학을 대변해 온 것은 그가 한 신학교의 신학 교육자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날을 기념하며, 일생을 통하여 보여준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오래 기억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 교회사학사에서 본 이장식 박사의 학문의 여정

        이상규(Sang Gyoo Lee)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of church history studies in Korea from the 1900s to 1970s,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academic pilgrimage of Dr. Chang Sik Lee, an eminent church historian in Korea. Koreans awareness of Western church history comes from two channels, that is, by early missionaries who engag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by Japanese imperialism as a tool of colonial education. Church history was taught for the first time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Pyongyang from its establishment in 1901, and missionary professors such as Gelson Engel, William Foot, and Alexander Robb were the main figures who led research and teaching of church history until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occupation. Although there was some interest to study church history among Korean Christians from the 1920s, church history was not studied scientifically. It was considered an auxiliary course or subject to other disciplines of theology. Under the Japanese rule, Japanese books such as Kasiwai Enn(柏井園) s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基督敎會史) were the main textbook for Korean seminarians. Consequentially in the understanding of church history, Japanese influence, especially in the 1920s to 1930s, were dominant and shaped Korean terminology such as Reformation, (종교개혁) indulgence (면죄부). Until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Korean church failed to produce a degree awarded church historians. As a result, foreign missionaries still led the teaching and writings of church history courses until the 1950s. In the 1960s discipline of church history in Korea gained its rightful place in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also produced several church historians who gained terminal degrees from Western countries. One of and the best scholar was Dr. Chang Sik Lee, who earned a doctorate in the field of Western church history. He was invited to teach at the Chosun Theological Seminary and produced many outstanding works and by translation work laid the foundation of church history studies and teaching in Korea. His teaching activities continued for the rest of his life. Therefore,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urch history studies in Korea since the 1960s can not be underestimated. 이 논문은 1880년 이후 한국에서의 역사 혹은 교회사 인식을 소개한 후, 1900년 이후 1970년대까지 한국에서 교회사학 교육과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가를 장로교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이장식 박사의 학문활동과 기여가 어떠했던가를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교회사학은 1901년 평양신학교의 설립 이후 해방 이전까지는 선교사 중심으로 시행되어왔고, 이들에 의해 교회의 역사 인물 제도가 소개되기 시작하지만, 주로 초기 기독교, 종교개혁과 장로교 전통, 로마가톨릭 비평, 전기적 인물기 등이 중심을 이루었다. 선교사들의 교회사 교육은 교과서적 정립에 불과했고,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지는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한국교회는 해방 이전까지 백낙준 박사를 제외하고는 한국인 교회사학자가 배출되지 못했으나 1920년대부터 한국인 사이에 교회사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영문 교회사서가 역간되기도 하지만 통감부 시대(1905-1909) 이후 일제하에서 일본에서의 역사교육의 영향이 컸음을 지적하였다. 해방 후에도 일정 기간이 선교사들이 교회사 연구와 교육을 주도했으나 1960년대 이후 교회사학자들이 배출되는데, 특히 이장식 교수에 의해 교회사학의 연구는 체계화되고, 그의 연구와 저술은 후대의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게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이글 후반부에는 이장식 박사의 저술 중 『기독교사상사 1, 2권』, 『아시아고대기독교사 1~16세기』, 『기독교 신조사 I, II』 그리고 『한국교회의 어제와 오늘』 의 신학과 학술적 기여가 어떠했는가를 제시하였다. 이장식 박사는 지난 한 세기를 살면서 체득한 그의 축적된 경험과 학문이 한국교회의 재건과 부흥에 든든한 초석이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 혜암 이장식 교수의 종말론적 희망의 역사관

        김균진(Kyuun Ji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장식 교수의 역사관은 “종말론적 희망의 역사관”이라 요약할 수 있다. 이 역사관은 단지 다양한 역사 이해를 비교해보는 것이 아니라, 희망이 보이지 않는 현재의 위기 상황 속에서 새로운 종말론적 희망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 역사관은 실증주의적 역사 이해와 관념론적 역사 이해로 대별되는 “일반사학의 역사 이해”와 구별된다. 실증주의적 역사 이해는 현상적 사건에 대한 “과학적 역사 이해”를 그 특징으로 가진다면, 관념론적 역사 이해는 “현상적 사건보다는 사건 안에 있는 이념의 파악을 중요시하여, 과거 역사의 사실을 순전히 오늘의 역사가의 해석에 의존한다. 두 가지 사관의 공통된 문제점은, “어떤 영원한 사실을 찾아서 그것을 불변의 것으로 확립”하고자 하며, 과거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역사의 법칙을 역사 전체의 법칙으로 간주하며, 역사의 여건이나 조건(condition), 역사의 연속성을 중요시함으로써, 역사의 새로움(Novum)을 제시하지 못하는 데 한다. 이에 반해 이장식 교수의 종말론적 희망의 역사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조건보다 때(Kairos vs. Condition), 연속보다는 종말(Eschaton vs. Continuity). 종말론적 역사 이해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들의 조건과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역사의 무시간적 법칙이나 연속성을 찾는 일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를 종말과 새 시대의 시작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2. 역사의 법칙보다는 역사의 주(Lord of History vs. Law of History). 역사의 영원한 법칙이나 연속성을 찾기보다, 역사 전체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와 주권을 드러내고자 한다. 3. 절망이 아니고 희망(Hope vs. Despair), 영원한 과거가 아니고 영원한 현재(Eternal Now vs. Eternal Past). 영원히 변하지 않는 역사의 어떤 법칙을 발견하고 이 법칙에 따라 역사를 설명하지 않는다. 오히려 현재 그리스도인들의 삶과 공동체 안에서 현재화되는 동시에 역사의 미래로 머물러 있는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고,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한다.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Prof. Chang Sik Lee can be summarized as an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which has the hope for the future of the Kingdom of God as its substance. This understanding does not consist merely in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history, but in the trying to find the new eschatological hope in the present crisis situation of history. I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history of secular science of history which consists in the positivistic understanding of history which has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n the phenomenal events of history as its main character, and the ide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which will find a spiritual idea in according to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an himself. The common problem of both secular understandings of history lies in the trying to find in history certain eternal fact and to establish it as the unchangeable; it believes the rule of history, which is gained through the studying of history, as the rule of history in whole, shows no Novum of history because of the given condition and continuity of history as his presupposition. Against those secular understandings of history Prof. Chang Sik Lee show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is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n history in the following three themes. 1. Kairos vs. Condition, Eschaton vs. Continuity: The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has not interested in finding the conditions or causes of history or to catch the eternal rule and continuity of history as a whole. Its main interest consists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as Kairos or Eschaton and the beginning of new eschatological time. 2. Lord of History vs. Law of History: The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does not find the eternal law or continuity of history, but the government and providence of God for whole history. 3. Hope vs. Despair, Eternal Now vs. Eternal Past: The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does not proclaim the despair for history but the hope on the Kingdom of God which is already present in the faith and Church Community of Christians, at the same time remains as the future of history; its main interest does not li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events in whole past of the world, but in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f God which includes the whole ecological world of n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