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법연구회 선수행 체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소태산의 구도부터 『조선불교혁신론』 편찬까지 -

        권동우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본고에서는 불법연구회에서 인식하고 실천해 갔던 선수행에 대해 소태산의 구도·대각(1916)으로 부터 『수양연구요론』과 『육대요령』의 시기를 거쳐 『조선불교혁신론』(1935)이 편찬되는 시 기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소태산의 구도과정에서 보이는 수행체계는 간화선적 요소와 묵조선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는 주 장과 간화선으로 일관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양자 모두 소태산의 구도를 선수행의 과정으로 이해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태산은 대각 후 『금강경』을 통해 ‘불법’에 연원한다고 하면서도 초기의 교단운영에 있 어서는 「정정요론」과 같은 정통 내단학(內丹學)을 계승한 수행법을 좌선에 도입하였다. 다만 도 교적 수행법을 수용하면서도 궁극적인 지향점은 ‘성불(成佛)’이라고 하거나, 「정정요론」을 ‘불설 (佛說)’로 이해하는 점에서 소태산의 지향점이 불교적 세계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31년 『불법연구회통치조단규약』을 발표하면서 소태산은 염불과 좌선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수행을 제시하여 불교에 조금 더 접근한 모습을 보이며, 1932년 불법연구회 첫 공식 교서인 『육대 요령』에서는 ‘단전주(丹田住)’ 선법을 제시하면서도 ‘한 생각이라는 주착도 없이 오직 원적무별한 진경에 그치라’는 내용으로 체계화하면서 불교의 선수행체계에 유사한 형태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5년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을 기점으로 불법연구회는 불교 경전에 대한 해설과 교리 전반 에 걸쳐 불교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다만, 불법연구회가 불교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게 되는 것은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선수행체계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기부터 점차로 불교적 성향을 강화해 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 이후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은 간화선과 묵조선의 수행이 혼재되어 있 는 양상을 보인다. 『조선불교혁신론』 이후 소태산은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이 묵조선적 성향을 가 지는데 대해 ‘묵조사선’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화두’를 수양(定)이 아닌 연구(慧)를 단련하는 과 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원불교의 선수행은 묵조선적 성향이 드러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수증관(修證觀)을 놓고 보면 ‘돈오점수’의 양태를 보이면서 간화선적 성향을 강하게 내보이고 있다. 이 양 수행체계가 혼재되어 있는 속에서 소태산은 오히려 화두와 묵조의 양 극단을 떠나야 할 것을 주장하게 된다. 논자는 그 원인으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당시의 선수행이 출 가 승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일반 대중이 쉽게 수행의 길에 들어설 수 없다 는 점을 들어 불교를 ‘대중화’하고 실생활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 난 일련의 현상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on Seon practice which had been comprehendedand practiced b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during fromthe practice and enlightenment (1916) of Sotaesan, until the period of the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朝鮮佛敎革新論』),passing through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修養硏究要論』) and the Six Great Essential Principles(『六大要領』). The practice structure of Sotaesan while searching for truth has two ways ofinterpretations of which one is the opinion of mixture of both elements ofGanhwa-Seon and Mukjo-Seon, and the other is the opinion of constantGanhwa-Seon. It has to be focused on the common factor that both opinionscomprehended the practice of searching truth of Sotaesan as a sort of processof Seon practice. After his enlightenment, Sotaesan claimed the origin as Buddha dharma with the Diamond Sutra. On the early order administration, he introduced apractice methodology i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定靜要論』) which was descended from orthodox nei-dan(內丹) theory, into sittingmeditation. However, we could find out that his goal had established with theworld view of Buddhism, through his teaching that though taking Taoistpractice method, but ultimate aim is becoming Buddha, and his understandingo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 as Buddha’s teachi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s Covenant ofGovernance and Group Formation(『佛法硏究會統治造團規』) on 1931, Sotaesanshowed a thought little closer to Buddhism by suggesting a practice connectingchanting Buddha’s name and sitting meditation in turn. The first officialscriptur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Six GreatEssential Principles, published on 1932, had approached similar figure toBuddhist Seon practice system, by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 whichasserts “letting go even of the attachment to abiding in a single thought, to restonly in that genuine realm of consummate quiescence and nondiscrimination”,although suggesting the resting in the elixir field meditation( 丹田住禪). On 1935,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acardinal poin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manifestedstrong Buddhist character in general doctrine and on interpretation of Buddhistscriptures. Its strong involvement of Buddhist character was not sudden, butgradual enhancement from early time, which can be noticed from change ofSeon practice system. After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Seonpractic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showed an aspectthat was mixture of practices of Ganhwa- Seon and Mukjo-Seon. After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the Seon practice of the Societypossessing character of Mukjo-Seon, Sotaesan advocated that the Society’ spractice is not ‘dead Mukjo meditation’, and classified ‘Hwadu’ into thecategory of training inquiry, not cultivation. In this part, it can be said that theSoen meditation of Won-Buddhism shows character of Mukjo-Seon. However,on actual view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it shows an aspect of ‘sudden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which is typical character of Ganhwa-Seon. In the mingled both practice systems, Sotaesan had claimed to abortfrom both extremes of Ganhwa and Mukjo. Its reason can be interpreted as aseries of phas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finding easy way of practice inactual life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ince which had beenapparently mention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theSeon practice at the time was difficult to enter for ordinary lay people, becauseits renounce monk centered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