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혼모에 대한 법제도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송효진(Hyo-jean Song) 한국젠더법학회 2019 젠더법학 Vol.10 No.2

        이 논문에서는 비혼모에 대한 주요 법제도 운영 현황과 젠더 관점에서 비혼모 관련 법제 운영의 문제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비혼모에 대한 법제도 및 그 운영은 가부장제 및 정상가족 중심의 관점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 어렵다. 부계혈통중심의 가족제도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가족을 구성하여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이유로 비혼모가 법제도에서 예외적으로 취급되거나 배제되지 말아야 한다. 가족형태에 따른 차별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차별이 없도록 하는 접근이 가족법 분야에서부터 그리고 각 분야 법제 및 정책에 있어서 기본이 되어야한다. 자녀의 성(姓)을 아버지의 성(姓)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부성우선주의 원칙은 폐지되어야 하며 성평등하게 개선되어야 한다. 태어난 아동을 가족형태에 따라 혼인 중의 출생자와 혼인 외의 출생자로 구분하고 명명(naming)하는 법의 태도는 전환되어야 한다. 비혼모가 혼자서 집에서 출산한 사례와 같이 가정법원의 확인을 거쳐 출생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 절차적 어려움으로 출생신고가 지연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가족관계 증명에 있어 비혼모의 사생활 보호 문제가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였지만 증명서에 있어 사생활 보호는 보편적인 법익으로 단지 비혼모에게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다. 가족관계 등 증명서 발급에 있어서 사생활보호가 강화된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효적으로 운영되도록 보완이 필요하다. 비혼모가 고립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시민으로서 공동체로 나와서 어울려 살 수 있도록 법제도의 운영과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비혼모가 처한 현재의 경제적·사회적 불평등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더욱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급여자격과 분리하여 한부모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자립과 자녀 양육을 위해 돌봄과 주거 등 관련 지원 서비스가 필요한 한부모에게 기회를 주어야 한다. 지원서비스의 내용과 종류에 따라 지원 대상을 달리하는 것도 고려하여야 한다. 양육비이행 절차에 있어 어려움이 많은 비혼모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한시적 양육비지급을 확대하고, 나아가 대지급제도의 도입을 검토하여야 한다. 비혼모의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삶의 회복을 위하여 일자리, 돌봄, 주거 등 기본적인 생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이 강화되어야 함은 물론 일-돌봄-생활의 균형이 가능할 수 있도록 비혼모 자신의 삶의 질, 사회적·문화적 권리의 실질적 보장도 중요한 지원 내용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look into how legal systems for single mothers have operated, to review issues in the operation thereof from gender perspectives, and to seek ways to enhance such systems. Legal systems for single mothers and the operation thereof are hardly deemed to completely break away from patriarchy and normal families-based perspectives. In legal contexts, we should avoid excluding or exceptionally treating such mothers simply because they organize families and live life differently from the mode in which others do under patriarchal family systems. The approach in which all kind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ose that are family type-related are eliminated should be a basic element of all legal systems and policies including the Family Act. The current systems where children should in principle take their fathers’ family names need to be revised in a gender-equal way. We should also change legal arrangements where children born in and out of wedlock are distinguished by family type and named in different ways. When births should be reported after being officially acknowledged by the Family court, as in the case of single mothers giving birth to a child alone at home, procedural difficulties often delay registering them. These systems should be reformed to prevent such delays. In terms of the certification of family relations, protecting the privacy of single mothers has been one of the key issues. However, in this context, privacy protection belongs to universal legal good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safeguarding such mothers. It is very desirable to strengthen privacy protection in issuing family relations certificates and so forth. However, such a system should improve to ensure effective operation. Offering policy support, legal systems should be set up to prevent single mothers from being isolated in socio-economic contexts and to enable them to effectively function as community members. More active support is required to better handle socioeconomically unequal circumstances facing single mothers. By expanding the scope of those who can benefit from the single parent family outreach program regardless of eligibility to receive benefit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ingle parents with necessary services such as care and housing and thereby help them live an independent life an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Differentiating beneficiaries by service content and type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Considering that single mothers have had difficulties in paying childcare costs, the government should temporarily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review the introduction of subrogation payment systems. Stronger support in employment, care, and housing should be provided to help single mothers sustain their basic livelihood, while enabling them to enjoy higher quality of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order to promote workcare-life balance.

      • KCI등재

        미혼모의 정신건강과 모-자녀 상호작용 특성 분석

        이경숙,노정숙,김수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2 No.4

        This study compares parent-child interactions of single mothers with those of typical mothers raising children at the stage of infants and toddlers. Subjects were ten families of single mothers living in two homes for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to support single parent families. The control group included ten typical families of mothers at the same age level of the single mothers who had children at the stage of infants and toddlers. Mental health of the mothers were measured by CESD-10 for depression and STAI for anxiety. Parenting variables were checked by the K-PSI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a mother –child interaction assessment tool. Mothers’ atypical behaviors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by AMBIENCE. It was found that children of single mother showed higher levels of avoidance and resistance in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 and lower levels of positive emotion and pursuit of interest than children of the typical mothers. The single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invasion, resignation, and anciety and lower levels of participation, sensitivity, and positive emotion in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than the typical mothers. The single mother showed higher levels of difficulty in mother-child intervention and stress control of children. In terms of intonation and emotional tones in language expression by mothers to their children, the single mother spoke to their children as if they were talking to adults, talked to their children infrequently, and used monotonous intonation. The single mothers also showed threatining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and failed to use cozy intonation and make response to their children’s signals properly. They were more negative and invasive physically and verbally and showed higher levels of behaviors of taking things from their children and keeping distance from their children than the typical mothers.

      • KCI등재후보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김민경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the differences of influencing factors of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of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F-test,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ores of singl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showed higher than median,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median, and instrumental support showed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bout median.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ducation, health, self-respec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monthly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health, self-respect, problem-solving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strum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Depress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self-respect, emotional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conclusion, to develop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mothers must be used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support single mothers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18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의 정도와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이혼한 여성가장으로서 284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개인적 변인 중 건강,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등은 1점에서 5점범위 내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변인은 전반적으로 모두 3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01, 우울은 평균 3.06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홀로된 원인, 건강수준,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으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에는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존감, 정서적 대처가,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 중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도구적 지지,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정서적 지지, 제도적 지원, 건강수준, 홀로된 원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가족스트레스, 모자녀갈등관계, 가족자원, 정서적 대처, 교육프로그램참여, 자존감과 제도적 지원, 정서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하겠으며 나아가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에서도 적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비교

        허수연 ( Huh Soo Ye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부담과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4년 5차 년도 여성가족패널을 활용하여 20~50세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을 선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한부모가구 여성 118명, 유배우자 여성 1,14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 모두에게서 직무부담은 일-가족 갈등을 높이고, 일-가족 갈등은 다시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경로계수 비교를 통해 유배우자 여성에 비해 한부모가구 여성에 있어 직무부담의 일-가족갈등에 대한 영향이 더 큰 결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배우자 여성의 경우 직무부담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결과에 비해 한부모가구 여성에 있어서는 직무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 among job demands, work to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and compare the path differences between single working mothers and non-single working mothers. Using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2014, I chose 118 of single mothers and 1,148 of non-single mothers (ages 20 to 50 and cohabiting dependent children)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examine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 found that work demands increased depression by affecting work to family conflict both in single mothers and non-single mot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 of work demands to work to family conflict. For single mothers, job demands were found to have more negative effect on wort to family conflict than non-single mothers. With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to alleviate work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s of single mot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Effectiveness of yoga training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resilience of single mothers

        김소정,이용현 한국운동재활학회 2022 JER Vol.18 No.2

        Single mothers are vulnerable to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but emotional support is insufficient. Yoga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emotions and promoting resil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yoga training program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ingle mot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20 single mothers who belonged to the Single Mothers Association,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raining (n= 10) and nontraining (n= 10) groups. The yoga training program for single mothers consisted of Asana yoga, meditation, and mind expression through expert meetings;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 Testing for depression and resilience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depression in singl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yoga trai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yoga training program in lowering the depression of single mothers and improving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future conduct of many studies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help the mental health of single mothers.

      • Work Performance Challenges faced by Working Single Mothers in Malaysia

        Noor Watee Rahman,Haslinda Abdullah,Norazlina Mohd Darus 한국유통과학회 2017 KODISA ICB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Vol.2017 No.-

        The number of Malaysian women participating in the workforce increase each year due to the initiatives given by the government of Malaysia. Moreover, due to the changing trends in the family structure, several women are becoming single mothers who have to raise children without a husband, which include the widows, divorcees, or separated. Past studies have shown that a number of women are becoming single mothers, not only because of the death of the husband, but also due to divorce and separation. As such, it has become a major concern of the government because most of the poor in the country are comprised of single mothers. One of the ways to eradicate poverty is to empower the single mothers. In order to survive and to become accepted in the society, single mothers have to compete and exhibit resilience. Moreover, working single mothers are confronting challenges in the workplace due to their status, in that, they have to juggle between job tasks and responsibilities as a parent. By exploring the single mothers’ work performance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the society’s mindset towards them may be changed. Therefore, this paper will digest the Asian aspects of pertinent issues in the current context.

      • KCI등재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연주(Yean-Ju Lee),김승권(Seung-Kwon Kim)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1990년대 중반부터 이혼율이 급증하여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의 문제는 통상적으로 모자가정의 문제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최저소득층의 경우 모자가구의 형성자체가 어려워 편부가 자녀양육을 맡게 되고 따라서 편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편모에 비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005년 센서스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12세 이하 아동표본을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 부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친가구 모와 부, 별거가구 모와 부, 무배우 모와 부 중에서 무배우 부의 교육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특히 중학교 이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무배우 모에 비해서 무배우 부의 취업률은 높지만 취업자만 볼 때 직업적 지위는 더 낮았다. 무배우 부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도 무배우 모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보다 교육수준이 낮았다. 다음, 분석에서 암시된 저소득여성의 자녀별거성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세 이하 자녀를 가진 이혼모 표본을 이용하여 자녀와 비동거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적을수록 자녀 비동거의 확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여성의 교육수준이 자녀 비동거와 뚜렷한 부의 관계를 보였고, 부모와의 동거가 자녀 비동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구의 분포를 보면 무배우 모의 수가 무배우 부보다 더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양부모가구보다 현저히 낮다는 사실과 더불어 무배우 부 가정의 취약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With a substantial rise in divorce rates since the mid 1990s, single-parent households are increasing rapidly in Korea. Often it is believed that children in single-mother households suffer the most economically and socially with the marital disruption of the parent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in Korea the socioeconomic status of single-father households may be lower than that of single-mother households mainly because low-income divorced women are not able to form their own households with children. The analysis is based on two sub-samples from the 2% sample of the 2005 Census, one, with children 12 years old or younger and, the other, with divorced mothers of children of the same ages. Th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reviously-married single fathers show the lowest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6 groups of parents: fathers and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fathers and mothers from married but spouse-absent families, and previously-married single fathers and mothers. Divorced mothers’likelihood of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has a strong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with the highest likelihood among women of middle school or lower education and the lowest likelihood among women with college education. Although single mothers comprise a larger percentage of single-parent households, single-father households demonstrate a particular vulnerability with their weak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현대일본‘싱글맘’의현실과 사회적관계로의포섭

        이은경(Lee, Eun-gyo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6 일본연구 Vol.26 No.-

        이 연구에서는 현대 일본 사회의 모순이 응축된 존재로서의‘싱글맘의 현실에 주목하였다. 즉 이른바‘근대가족의 규범과‘모성신화를 배경으로 취로 가족 사회보장제도등 일본 사회의 다양한영역에서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싱글맘 가정의‘빈곤’과‘고립을 구체적 실상을 다룬 것이다. 첫째, 두 싱글맘이 각각 가해자와 피해자로 연루되었던 두 가지 범죄를 둘러싼 언론과 대중의 반응을 통해, 현대 일본 사회에서 싱글맘에게 어떠한 시선과 요구가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폈다. 둘째는 현대 일본 싱글맘이 처한 상황을 주로 경제적인 측면과 공적지원의 내용을 중심으로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이들 싱글맘이 열악한 상황에서도‘모성을 강요당하는 반면, ‘근대가족’ 중심의 고용이나 복지제도에서 소외되는 현실을 강조했다. 셋째로는 경제적 빈곤으로 말미암아 관계적빈곤 혹은 사회적 고립으로 내몰리기 쉬운 싱글맘 가정을, 사회적 관계망안으로 포섭하기 위한 각종 시도들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이들 시도는 여전히 미미하고 남녀 성별분업의 규범 고착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싱글맘을 향한 일본 사회의 인식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는 싱글맘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싱글맘’ 자체에만 주목하기보다는‘근대가족을 이상으로 하는 종래의 규범에 대한 전폭적인 재고, 혹은‘가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지 모른다는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alities of single mothers as the epitome of discrepancy that pervades with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Specifically, it illustrates the ‘poverty’ and ‘isolation’ of single-mother families, who are subject to various forms of social discrimination from employment to family/ social securities, all of which have been founded upon the ‘canon of the modern family’ and the ‘myth of motherhood’. First, by critically reviewing the responses of mass media and the public surrounding two criminal cases in which two single mothers became involved as an offender and a victim, it evaluates Japanese society’s perceptions toward and impositions upon single mother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urns to assessing the economic realities of single mothers, highlighting the contents of public services available to them. This analysis reveals that single mothers are forced to exercise their maternal duty’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while being alienated from the 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systems that are intended for‘modern families’. The third part introduces a variety of efforts by organizations to support single-mother families, whose economic poverty can easily lead to relational poverties as well as social isolations. While these attempts remain small in scale and carry the potential risk for further solidifying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they still indicate shifts in perception toward single mothers within contemporary Japa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surrounding single mother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ideals’ of the traditional 'modern family' and transform the social conception toward what constitutes a 'family.

      • KCI등재

        한부모 여성의 사회자본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양부모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인숙 ( In Sook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한부모 여성의 자아탄력성이 사회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양부모 여성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 경기의 한부모 여성 420명과 양부모 여성 292명이었고, 질문지에 의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 여성과 양부모 여성의 사회 자본 전체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하위 요소별로는 신뢰와 네트워크의 사회자본 평균은 유사한 반면, 상호호혜성 평균은 한부모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삶에 질 평균은 한부모 여성이 양부모 여성보다 낮았으나, 사회활동과 자녀관계 만족감 평균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아탄력성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한부모 여성과 양부모 여성 모두 사회자본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한부모 여성은 신뢰와 네트워크가 삶의 질을 높이는 반면, 양부모 여성은 네트워크와 상호호혜성이 삶의 질을 높였다. 다섯째, 사회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한부모 여성과 양부모 여성 모두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는데, 한부모 여성은 네트워크 및 상호호혜성과 삶의 질의 관계를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하나, 양부모 여성은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상호호혜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420 single mothers and 292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in Pusan and Gyeongnam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ingle mothers and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at social capital and self-resilience,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single mothers were lower than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For single mothers and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their social capital wa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For single mothers` trust and network social capital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but two-parent mothers` network and reciprocity social capital were directly related to that. Changes in self-resilience represented the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in both single mothers and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 KCI등재

        미혼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까지 KCI 게재논문 중심으로-

        윤소라(So-Ra Yoon),장진경(Jin-Kyung Cha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모 관련 연구 동향 분석에 있으며, 국내 등재 학술지(KCI)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 분석을 최초로 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KCI에 게재된 미혼모 관련 논문 116편을 선정하여 연도,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매해 7편 이상 게재되었으며, 증감을 반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 유형은 기타, 기초연구, 실천연구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질적연구 방법이 47편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그중 사례연구와 기본질적연구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넷째, 연구대상 중 인적 대상이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특히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1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61편의 논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인 미혼모, 양육 미혼모, 시설 거주 미혼모가 주된 연구 대상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산 및 입양․양육 관련 주제와 사회 인식 및 담론 관련 주제가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미혼모에 관한 연구 경향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연구물 확대와 보다 세분화 된 분석 준거 그리고 미혼부를 포함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입양특례법, 출생 통보제 등 거시적 변화 속에서 미혼모․부에 관한 연구 동향이 지속해서 파악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ingle mother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16 papers on single mothers published in the KCI (Korean Citation Index) from 2011 to 2020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year, study type, study target,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 Results: First, more than seven were published each year, and an increase was repeated. Second, the types of studies were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the order of other, basic, and practical studies. Thir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wed a high frequency of 47 pieces, mainly consisting of case studies and bas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urth, human subjects were the most frequent among study subjects, and, in particular, 61 studies on single moth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When looking at single mothers in detail, adult single mothers, single mothers raising children, and single mothers living in facilities were the main subjects of study. Lastly, topics related to childbirth, adoption, and raising children, as well as topics related to social awareness and discourse, showed high frequency.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s limitations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single mothers and presen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