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重庆方言的语气助词

        沈?(Shen Hong) 대한중국학회 2005 중국학 Vol.24 No.-

          There is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to communicate according to nuances.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has particular rules by means of each dialect. For example, it has had various features different to Beijing in the Chongquing dialect. Especially, it has showed the wide differences between Beijing and the a particle in classical China which is became a monosyllabic. Also it has been other feelings according to ages, gender, and the length and brevity of a sound who speaks. This is indicated as the heavy keynotes of the Chongquing dialect. The thesis that studied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s effects composing feelings of language in the Chongquing dialect. Above all, it was reviewed concerned roles in the sentences; that is functions, properties, and rules of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 KCI등재

        重庆方言的语气助词

        沈荭 대한중국학회 2005 중국학 Vol.24 No.-

        There is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to communicate according to nuances.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has particular rules by means of each dialect. For example, it has had various features different to Beijing in the Chongquing dialect. Especially, it has showed the wide differences between Beijing and the a particle in classical China which is became a monosyllabic. Also it has been other feelings according to ages, gender, and the length and brevity of a sound who speaks. This is indicated as the heavy keynotes of the Chongquing dialect. The thesis that studied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s effects composing feelings of language in the Chongquing dialect. Above all, it was reviewed concerned roles in the sentences; that is functions, properties, and rules of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 Exposing the nuances of traditional Malay Kuih in Mersing district, Johor, Malaysia

        Kamaruzaman Mohd Yusof,Ab. Karim Muhammad Shahrim,Che Ishak Farah Adibah,Arshad Mohd Mursyid 한국식품연구원 2022 Journal of Ethnic Foods Vol.9 No.-

        Traditional food has long been recognised as an integral aspect of community across the globe. It varies from one community to another and is treasured as an image representation. Traditional Malay kuih in Malaysia, however, lacks its definition. The word kuih itself is loosely used to group a collection of either sweet desserts or savoury snacks. Acknowledging that the district of Mersing in Johor is an underexposed heritage site in Malaysia, this study disinters the traditional Malay kuih nuances as a regional ethnic food.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involving 14 kuih experts in Mersing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traditional Malay kuih in Mersing?” in which semi-structured, in-depth,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o ensure accurate results.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des, categories, and themes as the nuances of traditional Malay kuih in Mersing. The themes enlist (i) the use of native crops, (ii) the practice of conventional Malay cooking methods, (iii) the enculturation of Malaysia’s east coast traditions, and (iv) the enrichment of sub-ethnic traditions among the Malays. It was found that the analysed nuances of traditional Malay kuih reinstated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the Malay ethnic’s gastronomy in Malaysia. In short, this paper provides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Malay’s unique culture and heritage in Malaysia, thus benefitting the scholars, local tourism board, entrepreneurs, consumers, among others.

      • KCI등재

        ‘단 하나의 공간’에서 몸으로 매개되는 연극적 특유성

        권경희 ( Kwon Kyoung H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9

        공간을 범주적으로 분류해보니 자의적 잣대에 따라서 무수히 열거될 수 있는 것이 공간의 개념들이다. 현상학적 사유에 기대어 몸에 대한 인식에 접근하면서 몸이야말로 근원적 공간성의 중심체임을 확인하게 된다. 작은 부분이고 커다란 전체이며, 사물이고 관념인 유한 속 무한을 사는 몸이야말로 궁극에는 특유한 연극성의 건강한 태반이자, 현전의 절대적 강렬도(intensity)를 견인하는 가능성의 모태인 것이다. 감각하고 경험하고 생산하는 몸을 통해 공간은 생생한 의미로 일깨워진다. 특히나 인간이 외부세계에 ‘감기는’ 경험은 무엇보다도 감각을 통해 이루어진다. 몸은 가시적 외적 공간과 비가시적 내재적 공간을 역동적으로 포획한다. 몸적 공간과 연극적 공간의 물리적 융합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은 의미심장하다. 그것은 결국 연극을 위한 공간엔 어떤 특이한 성질이 전제 혹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묻게 만든다. 몸은 운동으로서 반복과 차이를 발생시킨다. 섬세하고 긴밀히 연결된 몸의 기관과 조직들이 복잡하게 작동됨으로써 몸이 특별한 표현적 의미를 발산하는 것이 몸짓이다. 몸짓은 본능적이고 반사적이고 가시적인 행위이면서 동시에 상징적 표징으로서의 움직임으로, 주어진 공간 속에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즉, 그 몸으로부터 (비)물질적 파동인 에너지가 생성되고, 거기엔 에너지 고유의 주기적 율동이라 할 수 있는 리듬이 동반되는 것이다. 세 요소들 즉, 몸, 에너지, 리듬은 특유의 몸짓을 개성적으로 살려내는 살아있는 질료들이다. 모든 공간이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고 반복될 수 없는 특유의 연극적 공간으로 변형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론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특이성으로서 특유한 연극은 무엇보다도 바로 그 살아있는 질료들의 작용으로부터 ‘특이성이 창출되는 공간’이란 관점에서,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 같다. 연극의 특유성, 혹은 연극적 차이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상력과 뉘앙스와 숭고를 주목해보면, 먼저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그 어떤 역능보다도 인간정신(심리)과 영혼의 생생한 특성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이 아니라 지각작용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변형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모든 생명체는 특유의 존재 밀도와 고유의 생성에너지를 지니는데, 그것들의 미묘한 화학적 결합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어떤 지속적인 특유성이 뉘앙스다. 비가시적 힘의 율동인 뉘앙스는 그래서 현전의 특유한 현상이자 에너지의 특이한 파동이다. 상상력이 시각에 의존하고 그 시각적인 것이 존재자의 영역에 머무는 것이라면, 뉘앙스는 감각적인 접촉으로 존재자와 존재자를 서로 촉지하게 한다. 한편, 형태나 윤곽은 경계를 한정하는데 그것이 미의 영역이라면, 숭고는 경계를 만들면서 스스로 제거하는 움직임(운동)이며 ‘제시가 발생하는 움직임 그 자체’라 할수 있다. 때문에 숭고는 정신의 작용으로선 그 지점의 실체를 파악하기 불가능한, 이성의 무능함을 드러내는 특이한 기호들의 율동이다. 느낌의 주체가 느낌에서 빠져나가면서 주관적이었던 느낌이 자기의 내면성으로 향하기보다는 오히려 바깥의 무한한 총체성으로 이끌리면서 더 이상 자기의 것이 아니게 되는 상태가 바로 숭고함의 순간이다. 스스로를 앞질러 돌연히 일어서는 상상력, 에너지와 리듬이 몸을 통해 솟구치는 뉘앙스, 미의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제시로서의 숭고함이 융합되는 유일성의 연극은, 바로 그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매우 희박한 가능성으로써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Considering space categorically, the spatial concepts can be infinitively enumerated according to arbitrary measures taken. As a sourceful core of spatia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amongst many, to an awareness of body, which relies, a great extent, on phenomenological thoughts. The body, not only as minor parts of an organism, but also as enormous wholeness of a living thing, becomes a matrix of possibility with an absolute subtlety and intensity, particularly for reaching a peculiar theatricality. The body per se, dynamically and magically, seizures both tangible external space and invisible internal space. The chemical fusion with both bodily space and theatrical space turns out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physical collision or colligation. This eventually leads to a question whether theatrical space premises a unique quality. On the one hand, the body makes differences and repetitions through its exercises. On the other hand, the body brings about bodily gestures(momgit), from which emits especial expressive meaning, as being complicatedly operated with its organs intimately connected. From the very body, energy as non-material waves can be generated, rhythm as cyclical energy accompanied, likewise, eurythmics as metaphysical motor derived from. Undoubtedly, those three elements, body, energy and rhythm may be authentic substances that possibly make particular gestures more vividly and characteristically alive. Theoretically, it would not be impossible, but tremendously rare, that all the spaces can probably be transformed into a peculiar theatrical space, which can never be replaced by, or repeated by anything. However, the peculiar theatre with its own peculiarity must be indissociable from ‘the only one space’, in the respect that the space creates the peculiarity caused by the effect of those authentic substances. As sine qua non for theatrical peculiarity or theatrical differenciations, it demand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imaginations that abruptly rises to its feet, getting ahead of itself; nuances that spurting from both energy and rhythm through the body; sublimity as new presentation crossing boundaries of aesthetics. Theatre of peculiarity which compactly amalgamate those ingredients, that i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could possibly contract a marriage of ‘the only one space’.

      • KCI등재
      • KCI등재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nuances in anesthesia for patients undergoing deep brain stimulation implantation surgery

        Danielle Teresa Scharpf,Mayur Sharma,Milind Deogaonkar,Ali Rezai,Sergio D. Bergese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8 No.4

        The field of functional neurosurgery has expanded in last decade to include newer indications, new devices, and new methods. This advancement has challenged anesthesia providers to adapt to these new requirements. This review aims to discuss the nuances and practical issues that are faced while administering anesthesia for deep brain stimulation surgery.

      • KCI등재

        음악적 표현성과 말할 수 없음 ineffability 논제에 관하여

        이종희 ( Jong Hee Lee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7 No.-

        이 글은 음악에 대해 흔히 주장되는 말할 수 없음 논제의 다양한 형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로부터 음악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말할 수 없음 논제는 내성에 주목하는 입장임을 보인다. 음악은 특정한 경우의 구체적 감정, 대상이 아니라 모호하고 일반적인 무언가만을 전달한다는 입장으로 쇼펜하우어, 랭거, 월튼의 논의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이들이 감정이 우리에게 느껴지는 내적 측면의 특성에 근거하여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주장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반대로 음악은 언어보다 더 정교한 전달 능력을 가진다고 주장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입장으로 이 글은 작품이 작품마다 고유한 방식으로 독특한 감정을 표현한다는 생각, 음악적 뉘앙스에 대한 이론, 음악적 문맥 안에서 뉘앙스가 나타내는 효과에 주목한 논의들을 차례로 다룬다. 덧붙여 지시적 표현들을 동원함으로써 음악적 표현성이나 효과의 구체적 특성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제안은 음악의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오히려 강조하는 것임을 보인다. 음악적 특성들의 지각이나 감정적 상태의 내성은 지시적 표현들로도 소통불가능한 사적인 성격의 ``감각질``을 가진다. 이 때 외적 지각의 감각질보다는 음악이 유발하는 감정의 ``느낌``에 주목하는 표현성의 이론이 음악에 특별한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critically considers various forms of the ineffability thesis which is commonly held of music and shows that the best revealing way of claiming this thesis is the on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introspection. First, this essay searches the discussions of Schopenhauer, Langer, and Walton. They claim that music can convey only something imprecise or general, not the specific objects. By searching their claims closely, we come to know that they argue for the ineffability thesis on the basis of the inner aspect of emotions that is felt by us. On the contrary, the others think that music is able to communicate more definite things than the words are. This essay examines these ways of thinking in order. They include the position that the work of music expresses the specific emotion in the unique way of the work, the theory of musical nuances, and the assertion that focuses on the effects of nuance in the musical context. The suggestion that one can give a linguistic expression to the specific qualities of the musical expressiveness or the effects by the help of demonstratives turns out that it might support the ineffability of music. The perception of the musical traits and the introspection of the emotional states both have the private "qualia" that cannot be conveyed even by the demonstratives. This essay argues that the theory of musical expressiveness which lays stress on the feeling of the emotion music can arouse instead of qualia of outer perception is better for explaining the speciality of the musical ineffability.

      • KCI등재

        GPT를 활용한 중-한 문학번역에 대한 고찰 - 장편 소설 “인생(活著)”의 관용구 번역을 중심으로 -

        류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고는 GPT와 같은 발전된 기계번역 기술을 활용한 문학번역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문학번역은 작가의의도와 문화적 배경을 전달하는 데 중요하며, AI 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인 문학번역 방식에 새로운 도전을 제시한다. 특히, 장편 중국 소설 “인생(活著)”의 관용구 번역을 통해 GPT와 기존 기계번역(MT)의출력문을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GPT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문맥과 관용구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번역을 제공하며, 복잡한 의미를 지닌 관용구 번역에 있어 GPT의 프롬프트 설정 방법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문학번역의 세밀함과 충실성에서 기계번역이 인간 번역가의 수준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이에 따라, 프롬프트 설정 및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AI의 특성을고려한 프롬프트 설정 원칙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GPT와 같은 기계번역 기술이 문학번역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제공하며, 기술과 문학적 표현의 교차점에서의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기계와 인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통해 더 정확하고 풍부한 번역을 추구하는 과정이계속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advanced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ies like GPT in literary translation.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veying an author's intent and cultural nuances, a task traditionally reliant on human translators. The paper focuses on translating idioms from the Chinese novel "To Live(活著)" using GPT and traditional machine translation (MT), comparing their outputs. Findings indicate that GPT, through user interaction, offers a nuanced understanding of context and idioms, showcasing its effectiveness in handling complex expressions. The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rompt setting in AI translation, suggesting future research at the nexus of technology and literary expression. It concludes that the quest for more precise and nuanced translations will advance through a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AI and human translators.

      • KCI등재

        Grice in Translation: The Case of Hrabal

        Miriam Margala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2009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Vol.10 No.2

        This paper analyzes Gricean conversational principles and their relevance to translation. The central claim is that the Gricean framework illuminates some of the most frustrating challenges in literary translation, and is especially useful with regard to translating finely nuanced constructions and semantically richly layered and complex expressions that constitute essential elements of the narrative. Specific examples of English translations of literary works of Bohumil Hrabal, a Czech author known for his highly idiosyncratic style and innovative expressive methods,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Gricean principles. Recognition of implicatures in the text is shown to be absolutely essential for an effective translation. The detailed examination undertaken in the paper highlights both the great challenge to translators presented by the underlying complexity and semantic richness of Hrabal’s writing, and the possibility of gleaning more of the nuances of the author’s intention through understanding, in light of Grice’s communicative principles, how he achieves his ends. A comparison of translations also demonstrates that failing to recognize and identify implicatures in the original may lead to ineffective, one-dimensional translations that lack the richness and expressiveness of the sourc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