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저모방반사면(BSR)을 이용한 하이드레이트 퇴적층 분류체계 분석 연구

        성원모,왕지훈,박정균,이정환,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3

        In this study, the complemented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he hydrate sedimentary configuration is presented in order to systematize and classify each sedimentary structure and feature of regions in which hydrate reserves verified, based on the form of bottom simulating reflector (BSR). Gas chimney which indicates fine permeability and high saturation of both hydrate and free gas exist in deposit type A, while type B is the hydrate sedimentary layer which contains anticline or syncline structures, folds, and faults. The hydrate layers classified into deposit type C lay horizontally. In the case of the type of deposit D, BSR is indistinct and discontinuous due to nonexistence of free gas underneath the hydrate layer, and the productivity of the type D structure is less favorable. Through the new classification criterion of hydrate sedimentary layer this study presents, we intend to put it into practical application for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hydrate lay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이 연구에서는 하이드레이트층 하부에서 관측되는 해저모방반사면(BSR)의 형태와 하이드레이트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 여러 지질학적 특징들에 기초하여 보완된 하이드레이트의 퇴적형태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의 하이드레이트 퇴적층을 포함, 전 세계의 하이드레이트 부존 확인지역의 자료들을 조사하여 각 퇴적층 구조 및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체계화하여 분류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분류 기준을 세분화하여 하이드레이트의 부존형태를 총 4가지로 분류하였다. 부존타입 A, B, C는 하이드레이트층 하부에 자유가스가 존재하는 구조로서 생산성이 양호한 형태이며, 부존타입 A는 양호한 투과도와 하이드레이트 및 자유가스의 높은 포화율을 지시하는 가스침니가 존재하는 형태, B는 배사․향사구조, 습곡 및 단층이 나타나는 형태의 하이드레이트 퇴적층, 부존타입 C는 하이드레이트층이 수평한 형태이다. 부존타입 D는 하이드레이트층 하부에 자유가스가 존재하지 않아 BSR이 희미하고 불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생산성이 비교적 양호하지 않은 구조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새로운 하이드레이트 퇴적층 분류기준은 향후 동해의 울릉분지에 부존하는 것으로 확인된 하이드레이트층을 대상으로 한 탐사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객체 분자에 의한 트리메틸아민 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변이 분석 연구

        윤여범,차민준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4

        This paper reports the structural transition of trimethylamine (TMA) hydrate induced bya type of guest molecule. Powder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MA + H2) hydrates reveal the formation of hexagonal P6/mmm hydrate, but those of (TMA + CH4) hydratesindicate the formation of cubic Fd3m hydrate. Without the gaseous guest molecule, the crystal structure of pure TMA hydrate is identified as hexagonal P6/mmm. Therefore, inclusion of gaseous methane in TMA hydrate can induce a structural transition from hexagonal to cubic hydrate or the formation of a metastable cubic hydrate. To further clarify this possibility, we also check the time-dependent structural patterns of binary (TMA + CH4) hydrates for 1 - 14 day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uctural transitionof TMA hydrate from hexagonal P6/mmm to cubic Fd3m can occur during the methane inclusion process. 이 연구에서는 객체 분자의 종류에 따라 발생한 트리메틸아민(TMA) 하이드레이트의 구조변이에 대한 결과 를 확인하였다.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얻은 (TMA + H2) 하이드레이트의패턴은 육방정계 P6/mmm 하이드레이트 형성 을 나타냈으며, (TMA + CH4) 하이드레이트의 패턴은 입방정계 Fd3m 하이드레이트의 형성을 나타냈다. 가스가 포집 되지 않은 TMA 하이드레이트의 경우 육방정계의 구조를 나타내기 때문에, 메탄가스의 포집은 TMA 하이드레이트 의 구조 변이 혹은 준안정한 입방정계 구조의 형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이가능성을 확실하게 검증하기 위해 시 간에 따라 (TMA + CH4)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메탄가스의 포집에 따라 TMA 하 이드레이트는 육방정계로부터 입방정계로 구조 변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미래 에너지로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개관 및 물리/화학적 특성

        차민준,민경원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6

        본 논문에서는 미래 에너지로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이해하기 위해,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물리/화학 적 특성, 생성 기원과 세계 분포, 매장량과 생산기법, 하이드레이트의 지구환경적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하이드레 이트의 구조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자연계에 매장된 하이드레이트의 특성 분석, 분포와 매장량 산출에 필수적일 것으 로 판단된다. 안정적인 에너지 회수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하이드레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는 하이드레이트의 상 평형, 해리 엔탈피, 열전도도, 비열, 열확산도, 유체투과율 등이 있다. 하이드레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생산기법으로는 감압법, 열자극법, 억제제 주입법, 맞교환기법이 있으며, 감압법이 현재까지 해상 및 육상 하 이드레이트에 대해 모두 시험생산에 적용된 유일한 기법이다. 또한, 하이드레이트의 해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에 의 한 지구환경적 영향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This paper reviews the structure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rigins and global distribution, amount of energy resources, production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gas hydrates to understand the gas hydrates as future energy sources. Hydrate structures should be studied to clarify the fundamentals of natural gas hydrates, hydrate distributions, and amount of energy sources in hydrates. Phase equilibria, dissociation enthalpy, thermal conductivity, specific heat, thermal diffusivity, and fluid permeability of gas hydrate systems are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the efficient recovery of natural gas from hydrate reservoirs. Depressurization, thermal stimulation, inhibitor injection, and chemical exchange methods can be considered as future technologies to recover the energy sources from natural gas hydrates, but so far depressurization is the only method to have been applied in test productions of both onshore and offshore hydrates. Finally, we discuss the hypotheses of environmental impacts of gas hydrates and their contribution to global warming due to hydrate dissociation.

      • KCI등재

        활성탄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Chloral hydrate 제거 특성

        배상대(Sang Dae Bae),손희종(Hee Jong Son),정철우(Chul Woo Jung) 大韓環境工學會 200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야자계, 목탄계 활성탄과 흡착능이 없는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하여 클로랄하이드레이트에 대한 흡착 및 생물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활성탄 공정에서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기작은 운전초기에는 흡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부착미생물의 활성이 증진되면서 부착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와 흡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생분해능이 큰 물질들로 조사되었다. 입상활성탄 재질별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석탄계와 야자계 활성탄에서 제거율이 높았고, 목탄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능을 보였으며, 안트라사이트 biofilter에서 가장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활성탄 재질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가 가장 높았고, 야자계, 목탄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변화에 따른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수온이 10℃ 이하로 저하될 경우 부착 bacteria의 생체량과 활성도 감소로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은 수온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부착 bacteria에 의한 직접적인 생물분해가 주 제거 메카니즘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시 유입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흡착능이 소진된 활성탄이나 흡착능이 없는 여재를 사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는 수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유출 가능성이 있었다. Coal-, coconut- and wood-based activated carbons and anthracite were tested to evaluate adsorption and biodegradation performances of chloral hydrate. In the early stage of the operation, the adsorption was the main mechanism for the removal of chloral hydrate, however as increasing populations of attached bacteria, the bacteria played a major role in removing chloral hydrate in the activated carbon and anthracite biofilter. It was also investigated that chloral hydrate was readily subjected to biodegrade. The coal- and coconut-based activated carbon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adsorbents in adsorption of chloral hydrate. Highest populations and activity of attached bacteria were shown in the coal-based activated carbon. The populations and activity of attached bacteria decreased in the order: coconut-based activated carbon>wood-based activated carbon>anthracite. The attached bacteria was inhibited in the removal of chloral hydrate at temperatures below 10℃. It was more active at higher water temperatures(20℃<) but less active at lower water temperature(10℃>).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hloral hydrate obtained by using four different adsorbent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s. Water temp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moval of chloral hydrate in the anthracite biofilter because the removal of chloral hydrate depended mainly on biodegradation. Therefore, the main removal mechanism of chloral hydrate by applying activated carbon was both adsorption and biodegradation by the attached bacteria. The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coal- based activated carbon to the water treatment should be the best for the removal of chloral hydrate.

      • KCI등재

        입자결합모델을 이용한 하이드레이트 함유지층의 공벽안정성 분석

        류정현,이경재,박장준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2

        Hydrate dissociation may cause many drilling related problems while drilling in hydrate bearing sediments (H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mechanical wellbore stability before drilling in HBS. In this study, PFC3D is used to simulate mechanical wellbore stability in HBS with a bonded particle model. Results of stability analyses are quantified by average displacement of formation particles, number of cracks, and the ratio of displacement to the hole diameter. The effects of dissociation range, in-situ stress, dissociation rate, and mudcake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increases of dissociation range of hydrate and in-situ stress cause formation instability by making more cracks and displacement of formation particles. On the other hand, hydrate dissociation rate and cohesion of mudcake are not critical factors in wellbore stability. Higher hydrate saturation accelerates wellbore instability. 가스하이드레이트 함유지층의 시추 시 발생하는 하이드레이트의 해리는 입자간 점착력을 감소시키고 변위를 유발하여 공벽안정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하이드레이트 층의 시추에 앞서 역학적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추공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하기 위해 입자결합모델인 PFC3D를 이용하여 시추공의 거동과 역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유무, 해리범위, 지하응력, 해리속도, 이벽(mudcake)의 존재유무와 강도 변화에 따른 각 인자들의 영향을 평균변위와 균열수, 시추공지름대비 변위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해리가 발생하는 경우 해리가 일어나지 않을 때에 비해 지층의 균열과 지층입자의 변위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공벽안정성이 약화되었다. 민감도분석 결과, 해리범위와 지하응력은 변위와 균열을 크게 증가시키며 안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해리속도와 이벽에 의한 지층강도의 증가는 지층안정성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포화도의 증가는 공벽의 불안정성을 가속화시킴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국제 동향과 특허 분석

        김대형,이재욱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4

        Gas hydrates are solid crystalline compounds in which gas reside inside cages formed by hydrogen-bonded water molecules in a crystalline lattice. As the world wide estimated resources of gas hydrate is so huge (between 1016 to 1019 SCF), after 21 century, a lot of research work for the commercial use of gas hydrate is conducted. In this study, recent important gas hydrate R&D trends & programs were reviewed, and carried out several analyses on patent documents for techniques of gas hydrate exploration and production. The patents including abstracts, claims and drawings from 1975 up to 2008 were surveyed and 141 patents were collected finally. The patents were investigated as to countries, assignees, and techniques. As a result,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of patent application and management on gas hydrate. 천연가스가 저온, 고압 하에서 물 분자와 결합되어 형성된 고체 물질로 주성분이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국제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된 부존과 막대한 매장량으로 인해 기존의 석유, 가스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2000년 대 중반 이후 석유 등 화석연료 가격이 폭등하면서 국제적으로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상업적 개발, 생산 및 이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진 바 있다. 본고에서는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조사·탐사, 개발, 생산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975-2008년까지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조사·탐사, 개발·생산 및 안전성 관련 국내외 특허 141건을 분석하여, 국제적 기술 흐름의 추세와 함께 특허보유 국가 및 출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효과적인 특허 출원 및 관리를 위한 시준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스하이드레이트 냉동기 응용을 위한 하이드레이트 상평형 및 포집률 변이에 관한 연구

        임준혁,이윤제,한규원,윤지호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2

        Gas hydrate is formed by a physical reaction between relatively small guest molecules and host water molecules under high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Gas hydrates have been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not only as a large energy resource but also as a target medium for various technologies using i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ere are a lot of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separation processes, natural gas storage-transportation and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In particular, the refrigeration system using properties of gas hydrate is expected to be environment-friendly coolants. It is a non-toxic and energy saving process which can be used to replace CFCs which are well known as a main reason of destroying the ozone layer. In this study, the phase equilibrium and cage occupancy of the multi-guest hydrate systems including methane and carbon dioxide a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gas hydrates to the refrigeration system. To test and prove th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a newly designed experimental apparatus, the dissociation pressures of pure methane hydrates are measured at the range of 268~285 K and 2.0~7.5 MPa and compared with the literature values. The three-phase equilibrium conditions of methane + acetone, carbon dioxide + acetone, methane + tert-butyl methyl ether (TBME), carbon dioxide + TBME, and carbon dioxide + tetrahydrofuran hydrates are measured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and pressures. To obtain the heat of dissociation of gas hydrate, the cage occupancy of relatively small guests are estimated using the van der Waals-Platteeuw model. 가스하이드레이트(gas hydrate)는 물 분자(host)가 메탄, 에탄, 이산화탄소 같은 저분자가스(guest)와 고압, 저온의 평형상태에서 포접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규명되어져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에너지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치뿐만 아니라 그것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 응용 기술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분리공정 기술, 에너지 가스의 수송 및 저장 기술,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 등이 대표적인 응용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가스하이드레이트 냉동기 시스템은 기존의 냉각제로써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널리 알려진 CFC(chlorofluorocarbon)-형, HFC(hydrofluorocarbone)-형 냉각제들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냉각제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레이트 냉동기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다중객체 하이드레이트에 대한 상평형 및 포집률 변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새로 고안된 장치의 적합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268~285 K의 온도범위와 2.0~7.5 MPa의 압력범위에서 순수 메탄 하이드레이트에 대한 상평형 연구를 실시하였고 기존 문헌의 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methane + acetone, carbon dioxide + acetone, methane + tert-butyl methyl ether(TBME), carbon dioxide + TBME, and carbon dioxide + tetrahydrofuran의 3상 상평형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해리열을 계산하기 위해 van der Waals-Platteeuw 모델을 이용하여 포집률을 예측하였다.

      • KCI등재

        연소 전 이산화탄소 회수기술을 위한 실리카겔 공극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수소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강성필(Seong-Pil Kang),장원호(Wonho Jang),조완근(Wankeun Jo) 한국청정기술학회 2009 청정기술 Vol.15 No.4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수소 혼합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기 위한 공정개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상평형 조건을 측정하였다. 100 nm의 공극 직경을 갖는 실리카겔 공극 내에서 형성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물?기체의 삼상평형 하이드레이트 해리조건을 측정하였으며, 274.15 K에서 하이드레이트?기체의 이상조건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변화에 따른 기상 및 하이드레이트상의 가스 조성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온도조건에서 기상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평형해리압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순수 물에서의 상평형 압력과 비교하면 실리카겔 공극에서의 하이드레이트 상평형은 모세관효과에 의해 생성저해 현상이 발생하였다. 42 mol% 이산화탄소와 58 mol% 수소 혼합가스로부터 얻어지는 가스하이드레이트상의 조성은 이산화탄소 95 mol% 이상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순수 물을 이용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농축, 분리하는 방법에 비해 매우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이드레이트 슬러리를 제조하여 2단 반응으로 분리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 방법은 고정층 반응기로 쉽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유용한 연소 전 이산화탄소 회수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modynam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CO₂ from fuel gas (the mixture of CO₂ and H₂) by forming gas hydrates with water where water was dispersed in the pores of silica gel particles having nominal 100 nm of pore diameter. The hydrate-phase equilibria for the ternary CO₂+H₂+water in pores were measured and CO₂ concentrations in vapor and hydrate phase were determined under the hydrate-vapor two phase region at constant 274.15 K. It was shown that the inhibition effect appeared due to silica gel pores, and the corresponding equilibrium dissociation pressures became higher than those of bulk water hydrates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addition, direct measurement of CO₂ content in the hydrate phase showed that the retrieved gas from the dissociation of hydrate contained more than 95 mol% of CO₂ when 42 mol% of CO₂ and balanced H₂ mixture was applied. Compared with data obtained in case of bulk water hydrates, which showed just 83 mol% of CO2 where 2-stage hydrate slurry reactor was intended to utilize this property, the hydrate formation in porous silica gel has enhanced the feasibility of CO₂ separation process. Hydrate formation as not for slurry but solid particle makes it possible to used fixed bed reactor, and can be a merit of well-understood technologies in the industrial field.

      • 제올라이트-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성에 대한 비교 연구

        박성식(Park, SungSeek),안응진(An, EoungJin),김남진(Kim, Nam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 조건에서 물분자들의 격자구조에 메탄가스분자가 포획되어 수소결합으로 형성되는 외관상 얼음과 비슷한 결정성 화합물이다. 1m³의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표준상태에서 172m³의 메탄가스와 0.8m³의 물로 분해되며, -10?C{sim}-20?C의 온도에서는 하이드레이트 입자표면에서 생성되는 얼음막으로 인하여 상압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하는 자기보존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을 천연가스 수송 및 저장의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162?C의 초저온을 만들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는 기존의 LNG 수송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특히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을 0.4 ~ 1.0 million ton으로 가정했을 때, 하이드레이트 수송방법은 LNG 수송에 비해 18 ~ 25% 정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이드레이트를 인공적으로 제조할 경우 물분자와 가스분자의 반응율이 낮기 때문에 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하이드레이트에 포획되는 가스분자의 양도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공성 물질인 천연 제올라이트와 제올라이트 13X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 혼합유체를 제조하였으며, 메탄가스와 반응시켜 하이드레이트를 생성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레이트 생성 시 천연 제올라이트와 제올라이트 13X 모두 0.01 wt%의 혼합비율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이드레이트에 포획된 가스의 양은 같은 과냉도 조건에서 천연제올라이트와 제올라이트 13X 혼합유체를 이용하여 하이드레이트를 생성 시켰을 때, 증류수보다 각각 4배, 5배 높음을 보였다. 또한 낮은 과냉도에서 하이드레이트 생성 시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13X 혼합유체에서 하이드레이트 생성시간이 증류수에서 하이드레이트를 생성시킬 때보다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한 해저 CSEM탐사 설계변수 고찰

        강서기,설순지,변중무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2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general operating and design parameters of marine controlled source electromagnetic (CSEM) survey for gas hydrate detection. Numerical forward modelings were execu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source-receiver offset with variable resistivity of depth to the gas hydrate layer. To estimate the detectability of gas hydrate layer, the total electric field of the gas hydrate model was normalized by that of the half-space model respons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as the depth to the gas hydrate layer increases, the domain of transmission frequency and source-receiver offset with the maximum detectability moves to the area of low frequency band and far offset range.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propose operating and design parameters of Marine CSEM survey - source-receiver offset, source height from seafloor and transmission frequency - at the East sea where the existence of gas hydrate has been confirmed. In addition,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air wave, we carried out numerical modelings with variable sea depth. 이 연구에서는 해저 CSEM을 이용한 일반적인 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시의 설계변수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의 전기비저항과 부존 심도를 변화시켜가며 송신주파수와 송수신기 간격에 대하여 수치모형반응 계산을 시행하여 층의 탐지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탐지가능성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정규화로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이 있는 모형의 반응을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이 없는 모형(half-space)의 반응으로 나눈 값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층의 부존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탐지가능성을 갖는 영역이 저주파수 대역의 원거리 송수신기 간격으로 이동하며, 층의 전기비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광대역의 큰 탐지가능성을 갖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부존이 확인된 동해 울릉분지에서의 해저 CSEM탐사의 설계변수를 제안하였다. 이때 제안한 변수들은 해저면으로부터의 송신원 높이, 송신주파수, 송수신기 간격이다. 또한, 해수의 심도를 변화시켜 가며 air wave의 특성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