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센터의 스포츠 수요 만족을 위한 효율적 경영관리

        구우영,임연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like the following by the subject of 431 memberships and 230 staffs who took part in sports activities in the city of Busan or Ulsan : that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information course, utility purpose, transportation, demand items about sports center, thus to operate sports center effectively and to arrange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grasp the desire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The cross analysis to inquire frequence and differences ab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as practic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memberships, in the course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sports center, were getting it directly in the center, while most staffs by means of somebody-family, relatives and etc. An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utility purpose demonstrated that both memberships and staffs utilized sports center for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their health. Also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ransportation demonstrated that most of people utilized their cars while they went to the center.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demand items showed that memberships demanded convenience facility expansion strongly, while staffs wanted a moderate exercise environment. 본 연구는 부산, 울산 시내의 스포츠센터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스포츠센터 회원431명과 스포츠센터 종사자 230명을 대상으로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경로, 이용목적, 교통수단, 요구사항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스포츠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소비자의 욕구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인식도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론은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의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에서는 회원들은 스포츠센터에서 직접정보를 얻고 있다가 가장 높은 반면, 종사자들은 회원들이 인편(가족, 친지)등에 의해서 스포츠센터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용목적에 대한 분석에서는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 모두 건강유지 및 증진이 스포츠센터를 이용하게 되는 목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스포츠센터 이용시 교통수단에 대한 분석에서도 스포츠센터 회원과 종사자 모두 자가용의 이용이 스포츠센터를 이용할 때의 교통수단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에서는 스포츠센터 회원은 편의시설확충에서 가장 높았고, 종사자는 좋은 운동환경에서 가장 높았다.

      • KCI등재

        A DETERMINISTIC INVENTORY MODEL FOR TIME-VARYING DEMAND AND HOLDING COST WITH PARTIAL BACKLOGGING

        DHARAMENDER SINGH,BANI MUKHERJEE 장전수학회 2018 Proceedings of the Jangjeon mathematical society Vol.21 No.4

        In this article, we propose inventory model for deteriorat- ing items with time-varying demand and holding cost. Deterioration rate is assumed to be constant. The shortage is allowed and assumed to be partially backlogged. The demand rate varies with time until the shortage occurs; during shortages, demand rate becomes constant. The backlogging rate is variable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waiting time for next replenishment. Taylor series to used for exponential terms approximating up to second-degree terms. We solve the proposed inventory model to obtain the optimal value of order quantity and total co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inimize the total cost and maximize total profit of inventory with optimal order quantity. The convexity of the cost function shown graphically. A numerical example is given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sensitivity analysis is also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ore sensitive parameters in the system.

      • KCI등재

        이공계열 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윤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이공계 학생들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삼았다. 이 연구를 위해 수도권 대학 이공계 대학 재학 중인 학생 128명에 대해 12개의 설문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글쓰기 중요도에 대한 인식 측정,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자가 평가, 글쓰기와 불안감 인식, 이공계열 학생들의 글쓰기 교육 요구 사항으로 4가지 항목에 설문 문항은 12개로 구성하여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로 이공계열 학생들은 현재 및 미래 사회에서 글쓰기의 중요 인식 측정값은 전체 학생 평균보다 낮았다.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평가도 전체 학생 평균 이하였다. 이공계열 학생들은 4명 중에 1명은 글쓰기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고 불안감에 대한 유보적 태도를 보인 응답률이 높아 글쓰기 불안감으로 전향될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하겠다. 불안감 극복은 극복하지 않거나 할 수 없다는 부정적 의견이 있어 주목되었고, 극복 방법으로는 학습과 독서에 의해 극복할 수 있다는 경향성을 보였는데 단과대별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이공계열 학생들은 실용적인 글쓰기 강좌에 대해 요구하고 글쓰기 서술과 내용 만들기에 대한 학습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udents' writing awareness and anxie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 wanted to check the situation on the writing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students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studied the perception of writing and tried to clarify the anxiety caused by their writing.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students' require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From June 20 to June 27, 2015, 207 students from K - metropolitan a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2 questions. The survey method was measured by the self - diagnosis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way. 1)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2) evalu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of writing, 3) awareness and overcoming of writing anxiety, and 4) requirements for writing education as a learner.

      • KCI등재

        자치구 조정교부금 산정기준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박성문(朴成文) 한국정책과학학회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5 No.2

        최근 지방자치단체 간에는 주변 환경 및 지역 간 차별화, 산업화로 인해 지역 간 경제력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방세와 세외수입을 근간으로 하는 자주재원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자치구 간 재정력 격차의 해소를 위해서는 자치구 사이에 존재하는 재정수입의 격차가 어떠한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과 다양한 여건 등으로 인해 자치구 간 세입격차가 발생하므로 재정력 격차의 완화 기능을 담당하는 조정교부금의 합리적 운영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조정교부금의 기준재정수요액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단위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고, 재정여건을 진단하여 지역 간 재정 격차문제를 더 근본적 차원에서 해소할 수 있는 정책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치구 조정교부금의 재정수요 측정단위가 현재 서울시 조례로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측정단위가 타당성 높게 적용되어 운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된 변수를 적용하여 단위비용과 고정비용을 산출한 결과 일반관리비, 안전관리비, 환경보호비, 장애인복지비 측정항목에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모형의 결정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측정단위에 대한 조정도 있었는데, 보육사업비, 지역관리비, 인건비 측정항목도 변수를 대체함으로 재정수요 추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조정교부금의 기준재정수요 산정기준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는 지표의 다양화를 통해 다양한 재정수요에 반응하는 제도를 만들어가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 제도를 운용하는 입장에서는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지표의 다양화를 획기적으로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 모든 것이 정책적 판단의 영역이겠지만 제도의 운용 안정성을 확인하고 이에 맞추어 점진적으로 산정기준의 다양화를 도모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기준재정수요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발굴해내고 이들에 대한 타당성 검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Recently, differences in economic power between regions have occurred among local governments due to the differenti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regions. As a result, there is a gap in voluntary resources based on local tax and non-tax income. In order to resolve the fiscal power gap between autonomous district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w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re causing the gap in fiscal income between autonomous districts. Accordingly, a rational operation of adjustment grants that can adjust the fiscal power gap is necessary. An in-depth analysis of the units of measurement that affects the calculation of the standard financial demand for adjustment grants is required, and the search for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solve the fiscal power gap problem at a fundamental level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is the validity of the current unit of measurement that measures the financial demand of the autonomous distri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stimating the standard financial demand by adjusting the unit of measurement in general management expenses, safety management expenses,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ses, welfare expenses for the disabled, and regional management expenses. Regarding the calculation criteria for standard fiscal demand, it seems theoretically reasonable to create a system that responds to various fiscal demands through diversification of indicators. However, if the worries about how to allocat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from the standpoint of operating the actual system are not resolv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drastic diversification of the indicators. All of this will be the realm of policy judg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system and gradually diversify the calculation criteria according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종류매매에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의 제한

        강혜림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42 No.2

        Where an unascertained good has a defect, apart from the cancellation right of contract and the claim for damages, our civil law provides, under Article 581 Clause 2, that the buyer can claim a delivery of new good without defect from the seller, i.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a sale of unascertained goods. The seller’s liability to provide the good in respons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the liability to provide the same, but flawless good without receiving any payment from the buyer. Thus, i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allowed to the point the seller’s disadvantage increases excessive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ler’s liability, it can oppose the essence of marketing, which is “equivalent trading relationship.” At some point, the right must be limited. While civil law does not place any limitation on this right,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been lim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the 2012다72582 sentence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fairness. Referring to the German legal bibliography, which has a relatively detailed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and to the content of the amendment of Japanese civil law, which recently established a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which is a type of claim for appeal, can be limited on the basis of inability, which is the exclusion grounds of the right of execution under law on default. It can also be limited when it is admitted that the seller’s liability is unfair un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Meanwhile, our civil law recognizes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only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so it would be r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be eliminated on the basis of reasons above. If anything,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there might be cases where defect maintenance is impossible. Furthermore, in a situation wher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inhibited due to reasons under principle of good faith, whether the implementation is just or unjust should be judged by comparing the seller’s cost in providing the new good and the buyer’s marginal benefit in reflection of social norms. At this time, aspects, such as the severity of the defect of the good, the ease of defect maintenance, the potential of fixing the defect, the reduced value of the used good due to the defect,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after defect maintenance, the price of the flawless good, the potential for fulfilling the contract purpose due to the defect, the property of the good,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with defect that will be returned to the seller, and the avoided cost or gained benefit by the seller du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considered. Meanwhile, on the basis that the buyer did not separately choose defect maintenance under defect liability, it would generally be difficult for the buyer’s claim for damages against the seller to be recognized. The verdict does not provide clear standards for how much the cost of providing a new good, compared to defect maintenance, should be for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to be limited. Even though there is space for improvement, the judgment that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limited in specific situations is considered to be fair. 우리 민법은 종류매매 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계약해제권, 손해배상청구권 외에도, 제581조 제2항을 두어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하여 하자 없는 새로운 물건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즉 완전물급부청구권을 부여하고 있다.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에 대응하는 매도인의 완전물급부의무는, 매도인이 이미 인도한 목적물과 종류는 동일하지만 하자가 없는 물건을 매수인으로부터 별도의 비용을 받지 않고 다시 제공하는 의무를 말한다. 그러므로 완전물급부의무의 이행으로 인해 매도인의 불이익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에 대해서까지 완전물급부청구가 전면적으로 허용된다고 본다면 ‘등가(等價)적인 거래관계’라는 매매의 본질에 반할 수 있는바, 일정한 경우 제한되어야 한다. 민법은 이 권리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고 있지 않지만 최근 대법원은 2014. 5. 16. 선고 2012다72582 판결에서 공평의 원칙을 근거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행사를 제한하고 있다. 추완청구권에 관하여 비교적 자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독일 입법례와 최근 추완청구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한 일본 민법 개정안의 내용을 참고해보면, 추완청구권의 일종인 완전물급부청구권은 크게 채무불이행법상 이행청구권의 배제근거인 불능을 이유로 제한될 수 있고, 완전물급부청구권만의 특유의 제한 사유, 즉 매도인이 완전물급부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신의칙상 불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우리 민법은 종류물에 대해서만 완전물급부청구권을 인정하므로 동 사유에 의해 그 행사가 배제되는 경우는 드물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종류매매에서는 하자보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겠다. 다음으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이 신의칙을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 그 불상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완전물급부로 인한 매도인의 불이익과 매수인의 추완이익을 비교형량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규범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이 때 고려되어야 하는 대표적인 요소들로는 하자의 정도, 하자수선의 용이성, 하자의 치유 가능성, 하자보수로 인한 중고가치 감소율, 하자보수 후 물건의 교환가치, 하자 없는 물건의 가액, 하자로 인한 계약목적달성 여부, 물건의 성질,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에게 반환되는 하자 있는 물건의 교환가치,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이 면하게 되는 손해나 취득하게 되는 이익의 정도 등이 있겠다. 한편 매매의 경우 하자보수가 일반적인 추완의 방법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당사자 간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하자보수를 별도로 정하였다는 사정 등이 없는 한,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한 하자보수청구권이 일반적으로 인정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판결은 상대적 과도함이 문제되는 경우 하자보수에 비해 완전물급부가 어느 정도 비용이 더 들 경우 제한되는지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시의 아쉬움이 있지만, 구체적 사실관계에 비추어 볼 때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가 허용될 수 없다는 결론 자체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수학 수업 지도안에 나타난 교사가 설계하는 형성평가 분석

        이다은 ( Lee Daeun ),김구연 ( Kim Gooye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4

        수학교사가 수업 중에 형성평가를 통해서 강조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 내용과 형식을 알아본다. 각 시·도 교육청 혹은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서 최근 5년 동안에 작성된 총 93개의 수업에 해당하는 형성평가 자료를 수집하였고 형성평가의 내용과 유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수업자료에 제시된 형성평가의 문항 총 307개의 문항을 교과서와 비교하였으며 인지적 노력수준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가 수업에서 제시하는 형성평가 문항들의 대부분이 절차의 개념의 연결성 없이 공식이나 규칙, 알고리듬 등의 특정 절차를 적용해서 답을 구하는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문항들이 교과서의 문제들과 유사한 형태이며 수식 등에서 숫자를 변형하거나 할 뿐 구조적으로 크게 다른 점은 드러나지 않았다. 형성평가를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방법의 측면에서 3가지 유형 즉 관찰평가지, 자기평가지, 동료평가지 등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주로 자신이 학생을 관찰하기 위해 구성한 관찰평가지, 학생들이 스스로의 학습을 평가하도록 하는 자기평가지와 동료평가지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요한 사실은 교사들은 학생들이 수학의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파악하기보다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모둠활동 시 맡은 역할을 잘 수행했는지 등 수업 태도 등에 더 관심을 둔다는 점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mathematics teachers focus on and how they assess students’ thinking during lessons enacted. For this purpose, we googled and searched internet sites to collect formative assessment materials for the year 2014 to 2019. The formative assessment task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vels cognitive demand levels and tasks suggested in textbooks in terms of degrees to which how they are related. The data analysis suggested as follows: a) most of the formative assessment tasks were at the low-level, in particular, PNC level tasks that require applying particular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 to concepts and meaning underlying the procedures, b) the assessment tasks appeared to be very similar to the tasks suggested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c) it seemed that 3 types of formative assessment, observation notes,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were dominantly utilized during mathematics lessons and these different types of formative assessment were employed apparently to find out whether students participated actively in class and in group activity, not how they go through understanding or thinking processes.

      • KCI등재

        종류매매에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의 제한

        강혜림(Kang, Hye-Lim)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2

        우리 민법은 종류매매 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계약해제권, 손해배상청구권 외에도, 제581조 제2항을 두어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하여 하자 없는 새로운 물건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즉 완전물급부청구권을 부여하고 있다.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에 대응하는 매도인의 완전물급부의무는, 매도인이 이미 인도한 목적물과 종류는 동일하지만 하자가 없는 물건을 매수인으로부터 별도의 비용을 받지 않고 다시 제공하는 의무를 말한다. 그러므로 완전물급부의무의 이행으로 인해 매도인의 불이익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에대해서까지 완전물급부청구가 전면적으로 허용된다고 본다면 ‘등가(等價)적인 거래관계’라는 매매의본질에 반할 수있는바, 일정한 경우제한되어야 한다. 민법은이 권리에 대해서는아무런제한을두고있지않지만최근대법원은2014. 5. 16. 선고2012다72582 판결에서공평의 원칙을 근거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행사를 제한하고 있다. 추완청구권에 관하여 비교적자세한 규정을두고 있는독일 입법례와최근추완청구권에 관한규정을 신설한일본민법 개정안의 내용을 참고해보면, 추완청구권의 일종인 완전물급부청구권은 크게 채무불 이행법상 이행청구권의 배제근거인 불능을 이유로 제한될 수 있고, 완전물급부청구권만의 특유의 제한 사유, 즉 매도인이 완전물급부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신의칙상 불상당하다고인정되는 경우에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우리 민법은 종류물에 대해서만 완전물급부청구권을인정하므로동사유에의해그행사가배제되는경우는드물것이라고생각된다. 오히려종류매매에서는 하자보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겠다. 다음으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이 신의칙을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 그 불상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완전물급부로 인한 매도인의 불이익과 매수인의 추완이익을 비교형량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규 범적으로판단되어야 한다. 이때 고려되어야하는대표적인 요소들로는하자의정도, 하자수선의용이성, 하자의치유가능성, 하자보수로인한중고가치감소율, 하자보수후물건의교환가치, 하자 없는 물건의 가액, 하자로 인한 계약목적달성 여부, 물건의 성질,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에게 반환되는 하자 있는 물건의 교환가치,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이 면하게 되 는손해나취득하게되는이익의정도등이있겠다. 한편매매의경우하자보수가일반적인추완의 방법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당사자 간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하자보수를 별도로 정하였다는 사정 등이 없는 한,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한 하자보수청구권이일반적으로 인정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판결은 상대적 과도함이 문제되는경우 하자보수에비해 완전물급부가어느 정도비용이더 들경우 제한되는지에관한명확한기준을 제시하지못하고있다. 이와같은설시의 아쉬움이있지만, 구체적 사실관계에비추어 볼때 매수인의완전물급부청구가 허용될수없다는 결론자체는 타당하다고생각된다. Where an unascertained good has a defect, apart from the cancellation right of contract and the claim for damages, our civil law provides, under Article 581 Clause2, that the buyer can claim a delivery of new good without defect from the seller, i.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a sale of unascertained goods. The seller’s liability to provide the good in respons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the liability to provide the same, but flawless good without receiving any payment from the buyer. Thus, i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allowed to the point the seller’s disadvantage increases excessive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ler’s liability, it can oppose the essence of marketing, which is “equivalent trading relationship.” At some point, the right must be limited. While civil law does not place any limitation on this right,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been lim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the 2012다72582 sentence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fairness. Referring to the German legal bibliography, which has a relatively detailed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and to the content of the amendment of Japanese civil law, which recently established a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which is a type of claim for appeal, can be limited on the basis of inability, which is the exclusion grounds of the right of execution under law on default. It can also be limited when it is admitted that the seller’s liability is unfair un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Meanwhile, our civil law recognizes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only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so it would be r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be eliminated on the basis of reasons above. If anything,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there might be cases where defect maintenance is impossible. Furthermore, in a situation wher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inhibited due to reasons under principle of good faith, whether the implementation is just or unjust should be judged by comparing the seller’s cost in providing the new good and the buyer’s marginal benefit in reflection of social norms. At this time, aspects, such as the severity of the defect of the good, the ease of defect maintenance, the potential of fixing the defect, the reduced value of the used good due to the defect,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after defect maintenance, the price of the flawless good, the potential for fulfilling the contract purpose due to the defect, the property of the good,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with defect that will be returned to the seller, and the avoided cost or gained benefit by the seller du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considered. Meanwhile, on the basis that the buyer did not separately choose defect maintenance under defect liability, it would generally be difficult for the buyer’s claim for damages against the seller to be recognized. The verdict does not provide clear standards for how much the cost of providing a new good, compared to defect maintenance, should be for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to be limited. Even though there is space for improvement, the judgment that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limited in specific situations is considered to be fai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