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 -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에서 -

        박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3

        This paper aims to study on a metho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cultivating public citizenship. The civi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communicative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ty spirit that monitors and criticizes a policy of the state or economic action of companies to protect freedom and rights of citizens from a standpoint of public good and justice. But the civil society exercises its influence over policy decision and people. Thus the state and companies attempt to weaken it by a subsidy, repression of public debate and the press. Because civil society is weaken, citizens degenerate into a spectator of public debate in the public sphere and their freedom and rights are violated by the state and companies. Therefore the social studies must cultivate public citizenship to protect freedom and rights of citizens by revitalizing of the civil society. To educate public citizenship,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must be organize by problem-centered or issue-centered approach and teachers should make use of debate or question and answer method. 이 논문은 현대 시민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적 시민의 자질을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시민사회의 위축으로 약화된 공적 시민의 자질을 회복하기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을 제안한다. 현대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장경제로부터 분화된 제3의 공적 영역으로 성장하였다. 현대 시민사회는 정부와 기업의 활동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 교환하고 민주적 토론을 통해 비판·감시하고 합리적 해결책을 찾는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력, 공동체 의식을 지닌 공적 시민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정부와 기업이 공적 영역에 침투하여 시민사회를 위축시키고자 시도한다. 시민사회가 위축되면서 공적 시민의 자질이 약화되고 결국 시민의 자유와 권리가 위협받게 된다. 따라서 시민사회를 활성화하여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확보하고 더 민주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적 시민의 자질을 회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민주시민의 자질을 육성하고자 하는 사회과는 공적 시민성을 목표에 포함시켜야 한다. 교육과정은 공적 시민성을 기르기 위해 국가와 시장경제와 관련된 문제 또는 쟁점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교수방법은 토론수업이나 문답식 수업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덩정라이(鄧正來)와 사회과학논쟁 -중국(법학)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임상범 ( Sang Bum L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6 No.-

        Deng Zhenglai, A Hayek specialist,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bate among Chinese social scientists in the 90s, and yet currently there is no research on him in South Korea. Nonetheless he made important arguments in the fields of social and political sciences in China. He asked three questions. The first was on how to guarantee independence in creation of social science knowledge. The second was on how to create China`s own academic tradition. The last was on how the Chinese intelligent can contribute to the humanity`s future amid the current transformation of laws and social structure in China. For these questions, he suggested ``an ideal picture of the China Law,`` emphasizing the role of the political science in Chin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Of course, at a first glance, the research of Deng Zhenglai seems to be an amalgamation of various Chinese and Western ideas. Further, he exaggerates his role and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may result in questioning the originality of hi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author believes such characteristics of Deng Zhenglai can help understand the modern Chinese people, sometimes contradictory and yet full of ambitions, and certain contemporary Chinese scholars who seem to exaggerate themsel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