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를 바라봄": 플라톤과 플로티누스를 중심으로

        이순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이 논문의 의도는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서 "미를 바라봄"의 의미를 모색하는 가운데, 감각적인 미에 대한 시각적 경험에서 예지적인 절대미에 대한 관조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감성계의 아름다움에 눈을 돌리는 "보는 힘"이 바로 진정한 아름다움, 즉 진리의 원천을 인식하는 출발점임을 강조하는 데 있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미는 사물이 미의 형상에 참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되는 사물의 한 속성이다. 그래서 영혼은 아름다운 사물을 바라보면서 영혼이 이전에 보았던 미의 형상을 상기함으로써 미를 시각적으로 경험한다. 감성적인 미의 원인은 예지적 원리이다. 모든 감성적인 미는 일자로부터 유출된 형상에의 참여에 근거하므로, 오직 조화, 균제, 비례와 같은 단일성의 현상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적 특질을 지닌 감성적 미는 아름다움의 원인인 비가시적인 근원을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따라서 감성적 미의 원인이 본질적 의미에서 아름답다. 우리의 영혼이 감성적 미로부터 그것의 원인인 예지적 원리를 보는 것은, 스스로가 단일한 존재인 형상 혹은 지성이 되는, 자기 자신으로의 상기적인 회귀 즉 영혼의 정화를 통해서이다. 이때 모든 덕들은 영혼을 자신의 고유한 원리로 인도해 가는 일종의 정화로서, 영혼을 단일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영혼은 덕의 미에 의한 정화를 통해서 감성적 미를 벗어나 예지적 미를 볼 수 있다. 스스로 지성이 된 덕스러운 영혼은 더 나아가 모든 미의 원천인 절대적인 미 즉 일자를 추구한다. 영혼은 정신적 수양을 통해 육안을 닫고 심안을 떠야 마침내 단일한 절대적 미를 관조할 수 있다. 심안을 통해 영혼은 자기 자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내적으로 아름답게 된다. 일자는 절대적 미이며 모든 미의 초월적인 원인으로서, 모든 존재자들에게 단일성을 부여하며 그와 동시에 모든 것을 아름답게 만든다. 이때 미는 자신의 원인인 일자의 비가시적 초월성을 매우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즉 미는 일자의 가시화이다. 따라서 영혼은 미를 봄으로써 미의 현상적 특징인 단일성을 단서로 하여 감성적 세계에서 예지적 세계로, 더 나아가 자신의 원천인 일자에 도달하는 정신적 상승을 성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도 가시적인 상을 통해 예지적 원리를 비쳐 보임으로써, 우리 영혼에게 미의 원천을 상기시켜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있어서 "미를 바라봄"은, 우리 영혼이 감각적 세계로부터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 진리에 이르는 애지의 출발점이자 "디딤돌"이며, 따라서 영혼은 감각적 미를 바라보는 경험을 동인으로 하여 감각계와 예지계의 매개를 성취할 수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at the sight's ability to turn one's eyes to the sensible beauty is the starting point to apprehend the true beauty, the source of trut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proceeding from the visual experience of sensible beauty to the contemplation of the intelligible and absolute beauty, in exploring the meaning of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For Plato and Plotinus, beauty is a property of things which are made beautiful by participating in Form of beauty. So the soul perceives visually beauty by recalling the Form of beauty which the soul have seen before, in looking at a beautiful thing.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the intelligible principle. Every sensible beauty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Form which is emanated from the One and therefore it appear only in the phenomenal form such as symmetry, proportion and harmony. The sensible beauty of this phenomenal quali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origin, or the cause of beauty. Therefore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intrinsically beautiful. Our soul attains from the sensible beauty to its intelligible principle, or its cause through purification that is its anamnestic return to its original self by which soul itself becomes the Form or intellect(vovs) as single being. Here all virtues make soul single and beautiful as a purification of soul bringing it back to itself and its origin in intellect and the Forms. So soul is able to leave the sensible beauty and see the intelligible beauty through purification by the beauty of virtue. Further the virtuous soul which itself has become intellect seeks the absolute beauty, or the spring of all beauties, the One(τo εν). When soul shuts its eyes and wakes the inner sight through a spiritual discipline, just then it can contemplate the single and absolute beauty. By the inner sight soul goes back into itself and further makes itself beautiful internally. The One is the absolute beauty and the transcendent cause of all beauties, and so it gives unity to all beings and makes all things beautiful at the same time. Here beau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transcendence of the One, its own cause. In other words, beauty is the visibility of the One. Therefore soul can ascend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further to the One, or its own source by seeing beauty and making the unity that is a phenomenal character of beauty its motive. In this way, soul achieves the spiritual ascension. In this sense, art is also able to play a role in helping soul go up to the intelligible world. For works of art are transparent about the intelligible principle through their visible image, they are fully capable not only of recalling the source of beauty but of providing direct access to intellect and the One. Thus, "the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stepping stone for "philosophia" which goes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then toward the truth. So, soul realizes the link between the sensible and intelligible, by being provoked from the experience to look at the sensible beau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